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 제3차 태평양연안국가 국제화학대회

        소현수,So, Hyeon-Su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6 과학과 기술 Vol.29 No.4

        지난 연말 미국 하와이에서 열린 제3차 태평양연안국가 국제화학대회는 각 분야에서 1백50여개의 심포지엄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대회에 우리나라에서는 60여명이 참석해 논문을 발표했는데 2천년께 열릴 제4차 대회에는 더많은 한국학자들이 참가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소현수,So, Hyun-Su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1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hodology of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ndscapes through both life-oriented philosophy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which are similar to ecology. Also, useful tools for discovering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ased on the ecological thoughts in ancestors' life are shown. Ecological key words as interpretative tools on the traditional landscape replaced ecological concepts in Korean culture and landscape. There are 'Bonsung(本性; the original nature)', 'Chungjeol(中絶; moderation)', 'Hyoyul(效率; efficiency)', 'Sangsaeng(相生; symbiosis)', 'Jasaeng(自生; self-generation)', 'Chunghwa(中和; neutralization)', 'Bangtong(旁通; communication)', and 'Byuntong(變通; variableness)'. For the case study, the concepts of 'spatial structure', 'constructive elements in the traditional gardens', and 'structural elements in the dwelling houses' were extracted from $\ulcorner$Imwonkyeongjeji$\lrcorner$ as an interpretative subject. As a result, Jeongon house, Jongtaek of Choi's family(the first incoming resident) showed us an ecological technique of formation by interpretation on the composing elements. Namely, they are natural dwelling houses in harmony with natural conditions and delicate relational styles. Five kind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posed. They are: 1. land use method following natural features('本性' '相生' '中和'), 2. physical and spatial elements in a body with nature('中絶' '相生' '中和'), 3. sustainable circulation system by recycling limited resources('效率' '自生' '旁通'), 4. use of natural materials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中絶' '效率' '自生') and 5. plane and structural decision by microclimate('效率' '自生' '變通'). Consequently, the dwelling houses and their traditional gardens aimed at the consuming space of the efficient resources by utilizing and circulating natural energy more than different types of the traditional spaces.

      • KCI등재

        문화재 안내판의 배치와 디자인에 대한 고찰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소현수 ( Hyun Su So ),김해경 ( Hai Gyoung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서울시는 2008년 현상공모를 거쳐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문화재 안내판 디자인을 선정하고, 서울시 소재 국가·시지정 및 등록문화재에 도입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모니터링 성격으로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 26개소의 설치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문화재 안내판은 문화재 주변 경관까지 고려하여 설치 위치와 디자인을 선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써 첫 번째, 안내판 배치에 있어서 관람자 동선뿐만 아니라 관람자 시선의 방향 고려, 타 시설물과 가설물 등으로 방해받지 않는 위치, 유사한 문화재 안내판의 통합이 요구되었다. 두 번째, 강화유리 마감의 서울 유형문화재 안내판은 내구성과 가독성이 떨어지고, 해당 문화재보다 안내판이 눈에 띄는 단점이 확인되었다. 세 번째, 한 가지 디자인의 안내판을 일괄 설치함으로써 안내판의 배경이 되는 녹지·바위와 같은 자연물 또는 인공적 담장·건물 벽체 등 다양한 양상이 고려되지 못한 결과, 안내판의 규모·형태·재질이 주변과 조화롭지 못한 사례가 많았다. 종로구 소재 서울 유형문화재와 같이 도심에 산발적으로 분포된 ``나홀로문화재`` 유형은 안내판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것보다 배경이 되는 자연경관 또는 인공경관, 그리고 문화재의 형상을 고려한 복수의 안내판 유형이 디자인된 후, 그 중에서 개별 문화재에 어울리는 안내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모범적 사례를 토대로 하여 안내판의 대안 모델을 선정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된 대상지별로 적절한 안내판을 제안하였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lected the sign designs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a public prize contest from a public design perspective and applied the selected design format to the signs of the cultural assets that were designated by the central and Seoul governments and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08.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the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igns of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cated in Jongno-gu. The scope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expanded to cover the surrounding areas of cultural heritages in order to review the arrangement and design of such sig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not only the flow of travelers` movement but also the direction of sight, their locations in relation to the surrounding facilities or other installations and the integration with similar signs or notices were necessary to be considered in the arrangement of the signs; secondly, the current sings had low quality in terms of durability and readability and seemed utterly distance from the cultural assets indicated by the signs because they were finished with tempered glass; thirdly, the size, shape and materials of the signs were not harmonized with their surrounding areas as only one design was used in the entire cultural property sites without considering such natural or artificial backgrounds of individual signs as rocks, plants, walls or buildings. When selecting the design format of the signs of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located dispersively as Seoul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recommended to determine a group of most representative designs based on natural, man-made and cultural landscape rather than one unified design format and to use a unique well-matched sign for each cultural property.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alternative exemplary design models and proposed the type of signs appropriate for each cultural site.

      • KCI등재
      • KCI등재

        차경(借景)을 통해 본 소쇄원 원림의 구조 -「소쇄원시선(瀟灑園詩選)」과「소쇄원30영」을 중심으로-

        소현수 ( Hyun Su S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 전통경관을 이해하기 위해서 차경(借景) 개념에 착안하고「원야(園冶)」의 차경론과 의경론(意境論)이라는 중국 원림 이론을 빌려 전통정원을 해석하였다. 연구 방법론으로 원림 감상자가 취사 선택한 차경의 양상과 그 결과로서 의경이라는 추상적 경지에 도달하는 차경 구조를 도출하는데 적합한 시문 분석을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시대 소쇄원 방문자들의 감상 기록을 모아 번역한「소쇄원시선(瀟灑園詩選, 1995)」과 양산보(梁山甫, 1503~1557)의 5대손 양경지(梁敬之, 1662~1734)가 지은「소쇄원30영(1696)」을 중심으로 소쇄원의 차경 양상을 고찰하고, 차경과 연계하여 원림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 결과로서 기존에 시각 틀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이해한 차경 개념을 넘어서 시각적, 공감각적, 일시적, 관념적 차경으로 유형화하였다. 이에 소쇄원 방문자들은 실경과 허경으로 구성된 원림을 네 가지 유형으로 차경함으로써 소쇄원을 시적 정취와 미적 감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하여 의경을 성취한다는 차경 구조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결과로서 현재 계정(溪亭)위주의 내원(內園)으로 인식되는 소쇄원에 시각적, 공감각적, 일시적 차경이 이루어진 조망권과 함께 후대에 담장 밖 부지에 다양한 기능을 담았던 외원(外園), 그리고 소쇄원가 사람들이 도학적으로 교류한 인맥에 의한 증암천(甑岩川)권역과 신선세계를 갈망하며 읊은 명산(名山)등 관념적 차경으로 형성된 영향권원을 규정함으로써 세 가지 유형의 원림으로 이루어진 소쇄원의 영역과 구성요소들을 도식화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tatus of the borrowed scenety of Soshaewon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Byeolseo Garden using 「Soshaewon Sisun(瀟灑園詩選)」, which consists of a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people who visited Soshaewon during Joseon Dynasty with bibliographical explanations and 「the Thirty Poems of Soshaewon」, written by Yang, Gyeong Ji who was the fifth generation from Yang, San Bo. This study expanded the concept of borrowed scenery to include visual, synaesthetic, temporary and ideal features based on the theory of borrowed scenery in 「Won Ya(園冶)」, which emphasized the time feature and change, and explained that a landscape garden could be perfected by the presence of borrowed scenery beyond the previous borrowed landscape which was recognized through visual value. It would be correct to understand that the visitors to Soshaewon accomplished imaginary scenery(意境) through recreating Soshaewon into a space that stimulated poetic sentiment and aesthetic sensitivity by creating four types of borrowed scenery of a landscape garden composed of both real and fictitious scenery. At present the scope of Soshaewon tends to be limited to its inner garden covering the stream garden. However, in this study I took a new approach in defining the scope of Soshaewon, providing three types of Byeolseo Garden area ; more specifically, the expanded scope of Soshaewon covers the outer garden that secured the outlook of visual, temporary and synaesthetic objects for borrowed scenery and the right to use by purchasing more area by the descendants and the ideological garden that s composed of the ideal bonowed scenery created by the Confucian friends and colleagues who praised the Jeungamcheon Stream area and various famous mountains longing for the immortal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