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책 표지에 나타난 시각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 왈리드 타헤르의 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소피아 엘콜리,곽대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도서 표지 디자인의 중요성과 2013년 이집트 카이로 국제 도서전에서 최고의 아동 도서 작가상을 수상한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왈리드 타헤르의 미취학 아동들을 위해 펴낸 4권의베스트셀러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책 표지 디자인이아이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성공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가 존 토마스 스미스가 제시한 ‘3분할 법칙’에 의거하여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컬러, 페이지 레이아웃과 같은 4가지 디자인 요소들에 집중함으로써, 이 요소들이 표지에 어떻게 표현되고 조화롭게 어우러져 매력적인 표지를 만들어내는지 또한, 이러한 표지 디자인이 어린 독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본 연구는 왈리드 타헤르의동화책이 교육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책은 아이들에게 긍정적 가치를 전달하고, 사회적, 육체적, 교육적인 가치를 가르친다. 왈리드 타헤르는 단순한 글자와 화려한 색감을 섞어 아이들의 시각적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페이지 레이아웃을 창작한다. 따라서 이연구는 아이들이 친숙하면서 다채로운 색감의 삽화표지에 이끌린다는 것을 증명하고 그러한 표지가 아이들의 시각적 사고, 읽기를 강화 시킨다는 것을 분석한다. 효과적인 제목, 강렬한 그래픽, 흥미로운 색감은모두 매력적인 책의 요소이다. 부모는 미취학 아동들의 동화책을 선택할 때 반드시 함께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표지 디자이너는 어린 아이들의 읽기 습관을위해 아이들의 관심을 도출하고, 그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책 표지를 디자인하길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hildren’s book cover designs, and their impact on their educational success through a close analysis of four bestseller books for preschool children in Egypt by the Arabic author and illustrator “Walid Taher”, winner of the award for best children’s book during the Cairo International Book Fair in 2013. Based on four design elements such as the typography, the illustration, the color, and the page layout, as per the “Rule of Thirds” by the painter John Thomas Smith which is used as a guideline, this study figures out how these elements are expressed and coordinated together to create an attractive cover and how cover art functions influence children. This study indicates that “Walid Taher” books are educational books; they teach a child many positive values, social, physical and educational values. “Walid Taher” combined simple text, vibrant colors and striking illustrations together to create a good page layout that enhances the visual sense of a chil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children gravitate toward covers that are represented with colorful illustrations that they are familiar with as well as strengthen their visual thinking and reading. An effective title, striking graphics, and interesting colors all contribute to an attractive cover book. Parents must involve their preschool children in choosing their books. Finally, I hope that designers should design book covers for children that grab their attention, entertain them, arouse their curiosity, and stimulate their imagination to encourage early reading.

      • KCI등재

        궁서와 디와니서체 캘리그래피를 컬래버레이션한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연구

        소피아 엘콜리,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Recently,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has been gaining great popularity in the Arab world and spreading rapidly. It has broken the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 between the Koreans and Arabs through (Korean dramas, popular songs, movies, food, fashion, literature, language, etc.). Collaboration across cultures seeks to harmonize people with diverse cultures to benefit from each other and discover a new vision and concept for society. T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aborate two types of calligraphy scripts, “Korean Gungseo script” and “Arabic Diwani script” to innovate contemporary collaborative calligraphy designs for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Which reflects the Korean and Arabic cultural heritage beauty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each culture and displaying its calligraphy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The collaborative designs will provide consumers with a new experience that grape their attention to unique designs. In addition, keep pace with the modern trend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xtile and fashion products. Enhance opportunities to establish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in fashion industry and strengthen design competitiveness. The scope of the study is first, selecting two scripts that have the same commonalities in terms of the place of use in ancient imperial palaces and calligraphy characteristics. The Korean “Gungseo” script was used in the “Korean” palace,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as used in the “Ottoman palace”. As for calligraphy characteristics, both scripts are distinguished by the curved lines. Second, two words were selected “Love and Hope” for the design concept to be implemented in the selected textile & fashion design products to suit female consumers in the age of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hese words were inspired by the “king’s Sejong” policy and philosophy to improve the lives of his people through love and hop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llaboration definition and types besides the history of Korean “Gungseo script” and the Arabic “Diwani script”, will be review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websites, museums, and other publication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en, designing motifs and sources will be developed by using computer graphics software Photoshop and illustrator, and simulations are conducted to produce prototypes. Analyzing the new collaborative design scripts through the four calligraphy elements such as the sensory element, the semantic element, the constitutive element, and the emotional element.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and fashion design products in collaboration between “Gungseo” and “Diwani” scripts. The two calligraphy styles above have their own distinct visual language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ir collaboration can create a harmonious fusion of two different artistic traditions. Both calligraphy scripts have a rich tradition of flexible connection, the strokes are clear and the shape is neat, and there is a variety of thickness in which combining them can create a vibrant and dynamic visual Image. The first design suggestion with the word “Love” wa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attention at the age of thirty. Women at this age are practical and effective, and warm-hearted. The second design with the word “Hope” was designed to attract customers in their twenties. People at this age are active, looking to the future, and enthusiastically promote the Korean wave culture. Finally, the newly collaborated calligraphy design is expected to open new markets and economic channels to Korean and Arab consumers who are enthusiastic about the Korean cultural wave (Hallyu). It is also hoped that the new collaborative designs can remove barriers and serve as a cultural bridge between Korea and Arab worl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 최근 세계에서 한류가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음식, 패션, 문학, 언어 등을 통해 한국과 아랍 사이의 문화적, 언어적 장벽을 깨지고 있다. 따라서 문화 간 컬래버레이션으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조화롭게 만들며 서로 혜택을 주고 사회에 대한 새로운비전의 개념을 발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의 두 가지 서체를 컬래버레이션하여 섬유&패션제품의 현대적 캘리그래피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을 혁신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과 아랍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을반영하면서도 각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서체적 특성과 미학을 보여준다.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새로운 경험을 제안함과 동시에 섬유&패션 제품의 디자인과 구현에 있어 현대적인 추세에 발맞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패션산업의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을 구축할 수있는 기회를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강화한다. 연구범위는 첫째, 한국(조선)과 아랍(오스만 튀르크) 궁중에서 각각 고대 황궁의 사용처와 특성의 측면에서공통점이 있는 서체인 ‘한국 궁서체’와 ‘아라빅 디와니체’를 선정하였다, 이 두 서체의 특징은 모두 곡선의부드러움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을 담은 사랑(Love), 희망(Hope)을 콘셉트로 하여 20~30대 소비자에게 적합한섬유&패션 상품에 응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위한 국내외 선행연구를바탕으로 관련 논문, 박물관 자료, 서적, 인터넷, 기타각종 간행물 등에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시작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위해 두 서체의 공통점과특징을 살리고 4가지 요소로서 감각적 요소, 의미적요소, 구성적 요소, 감성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했다.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포토샵, 일러스트를 이용한디자인 리소스와 모티프를 전개하였고, 시제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한글 궁서와 아라빅 디와니 서체의 컬래버레이션 섬유&패션 제품디자인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시켰다. 위의 두 서체 양식은 그들만의 독특한시각적 언어와 문화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의 협력은 두 가지 다른 예술적 전통의 조화로운 융합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두 서체는 글자의 연결이 유연하며획이 깔끔하여 이를 조합하면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첫 번째 제안 ‘사랑’은.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감각, 따뜻한 가정의 느낌즉, 활동적인 30대 여성의 니즈를 부합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두 번째 제안 ‘희망’은 역동적인 미래를 내다보며, 한류 문화를 열정적으로 증진할 에너지를 가진 20대들이 열광하는 한류문화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컬래버레이션한 캘리그래피 디자인이 ‘한류’에 열광하는 한국과 아랍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시장과 경제 채널들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를 컬래버레이션한 현대 디자인 제품의 다양성을 통해 한국과 아랍 국가 간 장벽을 제거되고 문화적 다리가 놓여지길 기대한다. 이러한 이유로본 연구는 한국과 아랍권의 문화적 협력을 통해 섬유&패션 제품디자인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강조된다.

      • KCI등재

        A Case Analysis Study of Hijab Design Applying Egyptian(Mamluk Era) Patterns

        Elkhouly, Sofia Abdel Moneim A(소피아 엘콜리),Eom, Kyoung Hee(엄경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히잡은 이슬람 여성들이 이슬람 성 쿠란(Quran)의 히잡 원칙에 따라 그들을 보호한다는 의미로 착용하는 의복이다. 과거에는 히잡이 주로 단순한 문양으로 이루어졌으나 현대에는 다양한 문양, 형태, 컬러가 히잡디자인에 적용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측면에서 개성과 미적 요소가 가미한 디자인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집트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하고 전통적인 제품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집트 역사상 위대한 예술 작품의 황금기인 맘루크시대 만들어졌던 예술품 표면에 표현된 장식문양들은 고찰 분석하고 이러한 문양들이 최근 이집트 여성의 히잡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를 알아보고 향후 히잡디자인 개발에 도움을 줌으로써 이집트 국가브랜드 이미지 위상을 높이고자 함이 본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관련된 문헌, 논문, 서적, 전문인터넷 사이트, 관련 사진 자료수집, 등을 통해 맘루크시대와 이집트 히잡디자인 개념과 스타일 및 현황사례를 고찰분석 하였다. 연구범위는 첫째, 이집트 맘루크시대의 대표적인 문양 특징 중 식물, 기하학적, 아랍 캘리그래피를 선정하여 온라인 전문 히잡매장을 통해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디자인 요소 인 컬러, 형태, 공간, 소재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더불어 디자인 원칙(대비, 반복, 리듬, 균형, 통일성)뿐만 아니라 아랍 캘리그래피 미학(스타일, 유연성, 구적법, 겹침 및 발성 표시 “Tashkeel”)적 측면의 범위를 선정하여 고찰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여성들이 선호하는 이집트 역사상 위대한 예술 작품의 황금기인 맘루크시대 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 매장 즉, “The lace garment, Tie Shop, Jude, Esh-Esh”를 중심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따라서 이집트 맘루크시대 문양을 응용한 히잡 디자인 사례분석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맘루크시대 문양은 히잡디자인에 주로 식물, 기하학 그리고 아랍 캘리그래피 규칙과 반복과 형태의 균형을 중심으로 표현되었다. 히잡 디자인은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나 이집트 여성들은 편안하고 착용감과 기능성인 측면에서 쉬폰과 실크소재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맘루크 시대 문양이 나타난 면이나 린넨 소재는 여대생이 들은 선호하는 인기 상품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동물문양 히잡디자인 문양에 대한 사용 및 미학 측면에서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은 맘루크 시대 꽃문양을 활용하였으나 얼굴형태 보다 크기가 컸으며, 컬러가 비교적 어두웠다. 기하학 문양을 활용한 히잡디자인은 다양한 기하학적 별점을 사용하여 표현되었으며, 변화를 원하는 여성에게 적합하게 디자인되었다. “Thuluth 및 Kufic” 스크립트와 같은 아랍 서체로 사용하여 일상생활에 인간들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주도록 디자인되었다. 그러나 맘루크시대 문양 형태에 대한 표현은 비교적 잘 나타나 있으나 좀더 소비자 요구에 적합한 형태와 다양한 컬러가 이루어지면 이집트 국가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랍 유산의 부활을 위해 이집트 히잡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히잡디자인 문양과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A hijab is a garment worn by Muslim women to protect them according to hijab principle of the Islamic Holy Qur’an. In the past, hijab was mainly composed of simple patterns, but in modern times, various patterns, shapes, and colors are applied to hijab designs and are commercialized. However, in terms of hijab design in Egypt, designs with individuality and aesthetic elements are being developed, but unique and traditional product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corative patterns that were expressed on the surfaces of antiques from the Mamluk era, which is considered the golden age of great artworks of art in Egyptian history, examining cases where these patterns were applied recently to hijab design for Egypt women, and helping to develop hijab designs in the future to raise the status of the Egyptian national brand image.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cept, style, and current status of hijab designs in the Mamluk era in Egypt will be reviewed and analyz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papers, books, specialized internet sites, and related photo data collection. The scope of the study was first, investigating the vegetal, geometric, and Arabic calligraphy patterns that were selected among the typical antique patterns of the Egyptian Mamluk era, and cases will be analyzed through online specialized hijab stores. Second, considering and analyzing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shape, space, and material. In addition, selec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principles (contrast, repetition, rhythm, balance, unity), as well as Arabic calligraphy aesthetics (style, flexibility, quadrature, overlapping, and vocalization or “Tashkeel”). Lastly, the case analysis will be conducted focusing on hijab design stores that use the patterns of the Mamluk era, favored by women today namely, “The Lace Garment, Tie Shop, Jude, and Esh-Esh”.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from hijab design case analysis study applying the Egyptian Mamluk era patterns. The patterns of the Mamluk era were mainly expressed in hijab design, focusing on the vegetal, geometry, and Arabic calligraphy rules and the balance of repetition and form. There are various styles of hijab designs, but it was found that Egyptian women prefer Chiffon and Silk fabrics in terms of comfort, fit, and functionality. Subsequently, it was judged that the preference for hijab design with an animal pattern was low in terms of use and aesthetics. Hijab design that applied vegetal patterns from the Mamluk era was expressed by using a flower in a larger than the face shape, and the color was relatively dark. Hijab design that applied geometric patterns was expressed by using various geometric asterisks and it was designed for women who look for change. Hijab design that applied Arabic calligraphy scripts like the “Thuluth and Kufic”, was designed to give positive messages to humans in their daily life. However, the expression of the pattern of the Mamluk era was relatively well shown, but it is thought that the Egyptian national brand image can be emphasized if the shape and various colors are made more suitable for consumer need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gyptian hijab design for the revival of Arab heritage, and it is expected that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hijab design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An Analysis of the Visual Design Elements of Preschool Children’s Book Cover

        Elkholy, Sofia Abdel Moneim Ab(소피아 엘콜리),Kwak, Dae Young(곽대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도서 표지 디자인의 중요성과 2013년 이집트 카이로 국제 도서전에서 최고의 아동 도서 작가상을 수상한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인 왈리드 타헤르의 미취학 아동들을 위해 펴낸 4권의 베스트셀러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책 표지 디자인이 아이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성공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가 존 토마스 스미스가 제시한 ‘3분할 법칙’에 의거하여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컬러, 페이지 레이아웃과 같은 4가지 디자인 요소들에 집중함으로써, 이 요소들이 표지에 어떻게 표현되고 조화롭게 어우러져 매력적인 표지를 만들어내는지 또한, 이러한 표지 디자인이 어린 독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본 연구는 왈리드 타헤르의 동화책이 교육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책은 아이들에게 긍정적 가치를 전달하고, 사회적, 육체적, 교육적인 가치를 가르친다. 왈리드 타헤르는 단순한 글자와 화려한 색감을 섞어 아이들의 시각적 감각을 기를 수 있도록 페이지 레이아웃을 창작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아이들이 친숙하면서 다채로운 색감의 삽화표지에 이끌린다는 것을 증명하고 그러한 표지가 아이들의 시각적 사고, 읽기를 강화 시킨다는 것을 분석한다. 효과적인 제목, 강렬한 그래픽, 흥미로운 색감은 모두 매력적인 책의 요소이다. 부모는 미취학 아동들의 동화책을 선택할 때 반드시 함께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표지 디자이너는 어린 아이들의 읽기 습관을 위해 아이들의 관심을 도출하고, 그들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책 표지를 디자인하길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hildren’s book cover designs, and their impact on their educational success through a close analysis of four bestseller books for preschool children in Egypt by the Arabic author and illustrator “Walid Taher”, winner of the award for best children’s book during the Cairo International Book Fair in 2013. Based on four design elements such as the typography, the illustration, the color, and the page layout, as per the “Rule of Thirds” by the painter John Thomas Smith which is used as a guideline, this study figures out how these elements are expressed and coordinated together to create an attractive cover and how cover art functions influence children. This study indicates that “Walid Taher” books are educational books; they teach a child many positive values, social, physical and educational values. “Walid Taher” combined simple text, vibrant colors and striking illustrations together to create a good page layout that enhances the visual sense of a child.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children gravitate toward covers that are represented with colorful illustrations that they are familiar with as well as strengthen their visual thinking and reading. An effective title, striking graphics, and interesting colors all contribute to an attractive cover book. Parents must involve their preschool children in choosing their books. Finally, I hope that designers should design book covers for children that grab their attention, entertain them, arouse their curiosity, and stimulate their imagination to encourage early rea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