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聖賢의 ‘氣象’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Phronesis

        成賢昌 한국동양철학회 2003 동양철학 Vol.19 No.-

        본고에서는 ‘權‘의 판단에 필요한 외계에 대한 적절한 행위 판단을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을 주희가『大學』에 유래하는 ‘慮‘에서 찾았음을 지적한 후에, 그것과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윤리학』에 보이는 ‘賢慮‘와 헤르바르트의 교육적 택트 이론과의 비교를 시도한다. 주희에 의하면 ‘慮‘는 대상에 대한 단순한 지식과 달리, 실제로 외물에서 작용해 온 단계에 있어서 대상에 대해서 작용하는 널리 두루 미치는 사려에 머물지 않고, 지향하는 행위에 도달하기까지 탐구를 진행해 가는 것이어서, 거기에서 개별 장면의 도리에 따른 행위에 진입하는 것이다. 이는 보편적인 행위 윤리를 고려하면서, 개별 상황도 고려에 넘는 실천지인 아리스토텔레스의 ‘賢慮‘로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賢慮‘있는 사람인 ‘프로니모스‘가 되는 데는 감정을 억제하는 단계에서 습관에 의한 덕의 완성으로라는 일련의 과정을 밟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프로니모스는 항상 악으로 흘러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情을 性으로 統御할 수 있어서 눈앞에 나타나는 외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를 항상 유지하는 성인에 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천의 영역에서 개별이 보편보다 진실이라고 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는 주희의 ‘權‘설이 理의 발현을 개별적 상황에서 찾았다고 하는 의미를 생각할 때의 참고가 된다. 교육학에서의 이론과 실천과의 매개의 문제에 대해서, 교육적 택트의 개념으로 착수한 헤르바르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賢慮‘를 자신의 행위론에 도입한다. 그에 의하면 택트를 실행하는 것은 교육적 상황을 파악해서 그 상황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며, 그 순간에서 행하는 것이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행해야만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이고 그 결과 올바른 것을 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적 택트는 교육현장에서의 상황 상황의 적합한 상태를 구하는 것이고, 이른바 ‘時中‘에 따른 교육적 판단으로서 이해될 것이다. ‘時中‘은 ‘權‘을 성립시키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성현의 氣象의 설명으로서도 이해할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賢慮‘라는 개념은, 교육학 영역에서 택트로서 응용되었다. 그것은 더 나아가서는 ‘權‘을 부연하는 개념으로서도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주자학의 보편성을 생각하는 단서도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thesis, I am trying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Lu(慮), after pointing out the fact that Zhu-Xi(朱熹) sought out the function of mind, which enables to practice a judgment concerning appropriate behavior toward outer world that will require for the judgment of Quan(權) in ユ that derived from Da Xue 大學, and Phronesis(賢慮) that appeared in 『『Nicomachean Ethics』 by Aristotle and Educational Tact Theory of Herbart. According to Zhu-Xi, Lu is, different from simple knowledge about subjects, not staying at the widely spread virtue of Thoughts or Consideration that affects the subjects in the stage of actual functions in outer world, but it is to keep proceeding quests until accomplishing the behavior, and at that point of accomplishment, it is to enter into a behavior in accordance with principle(Li 理) of each individual situa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ristotles Phronesis that is actual practice or realization in consideration of each individual situation on the basis of universal behavioral ethics. And Aristotles argue that in the aspect of practical domain individuality is more true than universality can be a good referenc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Zhu-Xi, in his Quan theory, searched for manifestation of principle(Li) in individual situation. And educational tact is to look for an appropriate state depending on each different situation of the locale of education. It can be understood as educational judgment according to, so to speak Shizhong(時中). Shizhong, is a concept that completes Quan. As above, Aristotles Phronesis concept, which may be understood by the sages explanations likewise, has been applied as a tact to the area of education.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it can be construed as a concept that will explain the Quan, and also it is a clue that will lead to a thought of universality of Zhu Xi School.

      • KCI등재

        천문 이미지 디지털 아카이빙 시스템 개발

        성현일,김순욱,배영호,최준영,Sung Hyun-Il,Kim Soon-Wook,Bae Young-Ho,Choi Joon-Young 한국천문학회 2006 天文學論叢 Vol.21 No.1

        An archiving system designed to enable documenting database of astronomical images, with functions of search and download, is being developed by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KADC) of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KASI).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PCs for web server, database server, and system management server. The search program for the web environment is operated in the web server. In the management server, several utility program we developed are installed: input program for the database, program for transfer from fits to jpg files, program for data recovery and management, and programs for statistics and connect management. The collected data would be sorted out by the system manager to input into the database. The online input is possible in an observatory where the data is produced. We applied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CMS) module for the database management. On the basic of CMS module, we set up a management system for the whole life cycle of metadata from creation and collection to storage and deletion of the data. For the search function, we employed a technique to extract indices from the metadata. In addition, MySQL is adopted for DBMS. We currently display about 2,700 and 25,000 photographs for astronomical phenomena and astronomical objects on the data, respectively.

      • KCI등재

        보현산천문대 관측자료 Archive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성현일,김상철,남현웅,김봉규,임인성,윤요나,Sung, Hyun-Il,Kim, Sang-Chul,Nam, Hyun-Woong,Kim, Bong-Gyu,Yim, In-Sung 한국천문학회 2003 天文學論叢 Vol.18 No.1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 (KADC, http://kadc.kao.re.kr) in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 has constructed an archive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1.8m telescope data. The archive is consisted of photometric (1KCCD, 2KCCD) and spectroscopic data of 400GB amount for the period of 1997 to 2002,and the first web service is made of the data from 1997 to 2001. In the search page, primary search criterion of object name or coordinates is used. Users can also refine the search criteria using parameters such as observation date, observer(s), data type, and/or instrument. The data identified from the search can be uploaded to the FTP site for further downloading in FITS format. This archive is the first DB of astronomical data made in Korea.

      • KCI우수등재
      • KCI등재

        DIGITIZED SKY SURVEY I 자료의 검색 DB 구축

        성현일,김상철,김봉규,임인성,안영숙,손상모,양홍진,Sung, Hyun-Il,Sang, Jian,Kim, Sang-Chul,Kim, Bong-Gyu,Yim, In-Sung,Ahn, Young-Suk,Sohn, Sang-Mo-Tony,Yang, Hong-Jin 한국천문학회 2005 天文學論叢 Vol.20 No.1

        The First Generation Digitized Sky Survey (DSS-I) is a collection of digitized photographic atlases of the night sky taken from the Palomar Observatory (northen sky) and the Anglo-Australian Observatory (southern sky). DSS-I is widely used by the astronomical community for a number of applications including object cross-identification and astrometry. However, accessing and retrieving the actual images are nontrivial owing to the huge size (> 60 GB) of the dataset. To facilitate retrieval process of DSS-I data for the public,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 (KADC) developed a web application that provides not only data retrieval but also visualization functions. The web application consists of several modules developed using Java Applet, Jave Servlet, and JaveServer Pages (JSP) technologies. It allows users to retrieve images efficiently in various formats such as FITS, JPEG, GIF, and TIFF, and also offers an interactive visulization tool, ImgViewer, for displaying/analyzing FITS images. To use the web application, users require a Java-enabled web browser.

      • KCI등재

        국내 천문학 논문 검색 DB 구축

        성현일,김순욱,임인성,Sung, Hyun-Il,Kim, Soon-Wook,Yim, In-Sung,Sang, Jian 한국천문학회 2006 天文學論叢 Vol.21 No.2

        The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KADC) in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KASI) has developed a database of astronomical journals published by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nd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It consists of all bibliographic record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JKAS), Publicatio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PKAS), and Journal of Astronomy & Space Sciences(JASS). The KADC provides useful search functions in the search page such as search criterion of bibcode, publication date, author names, title words, or abstract words. The journal name is one of the search criterion in which more than one journal can be designated at the same time. The criterion of author name is provided bilingually: English or Korean. The abstract and full text can be downloaded as PDF files.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papers related to a specific research topic published in Korean astronomical journals, provided by the KADC, which often cannot be found the worldwide, Astrophysics Data System(ADS) services. The KADC will become basic infrastructure for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and hence, make the society of Korean astronomers more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의 동양철학

        성현창(成賢昌)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3 No.1

        인문학의 위기 속에서 교양과목으로서 철학, 특히 동양철학은 변방학으로 절락되었고, 심지어는 변방의 끝자락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강좌명을 바꾸는 등 온갖 지혜를 짜내고 있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 안타까운 현실 속에서 본고에서는 교양교육으로서의 동양철학의 역할이 사유의 역동적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동양철학의 고전을 통해서 인간의 존재의의와 인간다움의 가치를 온전히 드러내는 데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교양교육으로 동양철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것도 나름 의의가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먼저 교양의 어원적 배경을 통해서 교양교육과 인문학이 추구하는 목표가 동일함을 제시할 것이다. 특히 교양이 아래에서 위에로의 질적인 변화를 지향하는 교육인 것과 bildung이 완전한 자기형성을 지향하는 것은 플라톤의 『향연』의 주된 주제인 eros와 周敦頤의 『通書』 「志學」에 보이는 希가 아래에서 위-무지에서 완전한 지혜, 生(범인)에서 熟(성인)-를 지향하는 동태적인 정신적 활동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더욱 에로스의 열정적인 정신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그 해답을 찾으려는 의지적이고 의식적인 행위인 생각하기와 상통함을 밝히므로써 생각하기가 곧 철학하기이며, 선비에서 현인을 거쳐 성인에 도달하려는 간구(希)는 바로 동양적 에로스, 즉 동양철학을 하는 정신임을 제시할 것이다. 이것은 동양철학, 특히 유학의 聖人可學論이 인문정신의 고양의 중심에 있고, 인문학으로서 동양철학이 내재화된 덕(=仁)을 회복하는 과정임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교양교육에서 동양철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대답을 논자의 실제 강의내용의 일부를 소개하는 것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