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포츠 경쟁 상황에서 분노행동의 유형 및 측정구조

        성창훈 ( Chang-hoon Seong ),최마리 ( Ma-ree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시합 중 경쟁 상황에서 선수들이 보이는 분노행동의 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7명의 고등, 대학, 실업선수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예비척도를 개발하고 541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심리측정적 구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시합 중 분노행동은 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조절, 분노무기력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후속적으로 4요인 모형은 특성분노와의 상관분석 및 집단차이검증을 통해 타당성이 지지되었다. 즉, 특성분노 수준은 분노표출 및 분노무기력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에 분노억제 및 분노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분노무기력과 같은 행동적 차원은 다른 분노행동 척도들에서 발견되지 않은 구조로서 스포츠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 분노행동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anger behavior that athletes illustrated in competitions.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purpose, 167 high school, college, and professional athletes responded to open questionnaires. Targeting 541 players, the structural validity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was ver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urces of anger behaviors during matches, four factors of anger-out, anger-in, anger control, and anger-helplessness were deduced. Afterwards, the validity of 4 factor-model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trait anger and verification of group differences. That is, the level of trait ange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of anger-out and anger-helplessness while i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in and anger-control. Especially, the behavioral aspect such as anger-helplessness is a structure that has not been found in other criteria of anger behavior and it reflects the uniqueness of sports situation. Based on su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sport anger behavior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절초점이 씨름선수의 동기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창훈 ( Changhoon Seong ),박상혁 ( Sanghyuk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동기 수준을 예측 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의 씨름선수 187명이었으며, 조절초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홍준희(2005)의 한국판 조절초점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선수들의 동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활용된 설문지는 Lonsdale 등(2008)의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동기를 어떤 자극이나 반응에 대한 시계열적인 동기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한 스포츠 행동 조절 척도(BRSQ: behavioral regulation in sport questionnaire)를 활용하였다. 조절초점을 판별하는 동기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신경망 분석(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옵션은 다중레이어 인식(multilayer perception)으로 결정하였다. 분석결과 씨름선수의 향상초점이 보다 내적인 동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씨름선수의 예방초점은 외적인 동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절초점이 운동선수들의 동기 수준을 예측 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향상화된 초점이 보다 내적인 동기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r not regulatory focus can predict motivation level. 141 Ssireum player completed Korean self-regulatory focus of Hong(2005) assessing their self-regulatory focus, and Behavioral Regulation in Sport Questionnaire(BRSQ) of Lonsdale, Hodge & Rose(2008) accessing motivation level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alysis was utilized to find motivation factors that determine the regulatory focus, and the option was multi-layer perception. The result represented promotion focus predicted intrinsic motivation. Also, the prevention focus predicted extrinsic motivation. This result provided that self-regulatory focus can predict player`s motivation level and promotion focus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운동선수의 훈련관여 측정도구 타당성 검증

        성창훈 ( Changhoon Seong ),장채욱 ( Chaeouk Jang ),문경원 ( Kyungwon Moon ),최마리 ( Maree Choi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5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raining engagement in sport based on the theory of Academic engagement that is being spotligh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develop a scale for it. Methods: A focus group interview and a structural survey were done to 20 coaches and 389 high school and university sport players to collect data. Grounded on the psychometrical procedure, TES’s factor structures and constructs were verified.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just like Academic engagement, TES also implies ‘the intensity of an active and voluntary intervention and the quality of emotion that players show when they begin and perform their training’, and to measure it, 16 questions’ both structure and in the four dimensions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agentic were verified. These findings discuss the value of TES in the research of sport psychology and also its utilization in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 및 운동행동변화단계별 차이

        성창훈 ( Chang Hoon Seong ),유루경 ( Lu Kyung Yoo ),장채욱 ( Chae Ouk J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을 탐색하고 범이론적 모형(TTM)에 기초하여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제약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운동을 실천하고 있거나 실천하지 않는 60제 이 상 10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운동실천 제약요인 척도를 활용하여 309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제약요인의 구조 및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운동실천을 제약하는 6개요인(부상우려, 운동지식 부족, 건강상실과 질병, 운동동기 부족, 시간기회 부족, 경제여건)이 발견되었으며,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제약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과 연령 및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 및 주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성과 연령을 함께 고려할 때, 운동행동변화단계를 가장 잘 판별하는 제약요인은 건강상실과 질병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의 타당성과 중재전략 개발 의 방향성 및 후속연구의 과제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based on hierarchial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and trans-theoretical model(TTM), aimed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exercise constraints in the aged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open-ended questionnaire(103 age of over 60) and self-administrated residents questionnaire survey(309 aged people) in incheon city in Korea. content analysis, descriptive and inferential analyses including factor analysis, three-way MANOVA through the stepdown F-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straint dimension of exercise in the aged were 6 multi-dimensional factors, which wer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exercise, bed health and illness, motivation loss, lack of time and chance, low economic condition. Furthermore,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6 constraints of exercise offere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wards the prediction of the stages of change. The bed health and illness dimension was the best predictor for distinguishing among the stages of change considered the gender x age x stages of change effect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relate to cross validity of constraints and strategy of intervention for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등재

        배드민턴 복식 선수의 팀워크 체험 특성

        성창훈 ( Changhoon Seong ),장예나 ( Yena Chang ),박상희 ( Sanghee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배드민턴 월드클래스 선수들의 복식경기 경험을 바탕으로 팀워크(teamwork)의 역할, 영향, 발달 등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 팀워크 연구와 훈련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배드민턴 국가대표 복식 선수로 9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남녀 6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개인 심층면담과 집단초점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현상학적 방법에 의거 내용분석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배드민턴 국가대표 복식 선수로 9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남녀 6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개인 심층면담과 집단초점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현상학적 방법에 의거 내용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선수들은 경기력이 열세이거나 시소게임 혹은 경기 종반과 초반에 팀워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둘째, 경기 중 팀워크의 변화는 개인의 인지, 정서적 안정성과 신체적 수행에 영향을 주며, 이는 팀 역량 및 팀 분위기와 연결되어 팀 수행에도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기 중 팀워크는 개인의 정신력이나 수행뿐만 아니라 파트너, 지도자, 심판, 관중 등 다양한 요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넷째, 선수들은 경기 중 팀워크 유지를 위해 자기역할 충실, 인내, 파트너 배려, 대화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팀워크의 발달을 위해서는 신뢰 구축, 상호의존 강화, 팀 경기력 증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팀워크의 본질을 구체화하고 있어 향후 팀워크의 측정도구 개발이나 팀워크 강화를 위한 팀빌딩 훈련의 방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eamwork, such as its role, influence,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competition experience of world-class badminton doubles play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sports teamwork research and training based on this. Methods: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rom 6 research participants, male and female, with more than 9 years of experience as national badminton doubles players, an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as analyzed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s. Results: First, the play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mwork in close matches, at the early or late stages of a match or when their performance was poor. Second, changes in teamwork during the game affected a player’s cognition, emotional stability, and physical performance, which in turn is linked to the team’s competence and mood, thereby affecting the team’s performance. Third, teamwork during the game was influenced not only by a player’s willpower and performance, but also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ir partner, coaches, referees, and spectators. Fourth, the players used strategies such as faithfully carrying out their roles, persevering, being considerate to their partners and having conversations to maintain teamwork during matche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building trust, strengthening interdependence, and enhancing team competence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mwork.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bodies the essence of teamwork, and it provides the direction for team building training to help develop teamwork measurement tools and strengthen teamwork in the future.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의 재미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성창훈(Chang Hoon Seong),백성수(Sung Su Bae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체육수업에서 경험하는 재미의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분석하였다. 606명의 남녀학생들이 촉진(302명)과 저해요인(304명)을 묻는 개방형 설문지에 각각 반응하였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770개의 촉진요인과 816개의 저해요인 원자료는 3단계 범주화 방법을 통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미를 촉진시키는 요인으로는 과제의 선택성과 자율성(40.6%), 긍정적 수업방식(25.4%), 운동의 심리 ·생리적 효과(14.8%), 교사(7.5%), 경쟁과 시합(3.9%), 실기평가(3.6%)의 6개 일반영역이 도출되었으며, 저해요인은 과제의 선택제한(27.2%), 부정적 수업방식(30.4%), 열악한 교육환경(14.2%), 교사(14.1%), 평가(7.3%), 교실수업(7.0%), 학생요인(2.0%), 잡일하기(1.7%)의 8개 일반영역으로 대분되었다 특히, 하위 분류 영역에서 나타난 체육수업의 재미요인들은 스포츠 연구들에서 제시된 재미요인들과 비교하여 현저한 개념적 차이를 보였다. 나아가 재미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의 하위 주제들 간에도 다소의 차이를 보였으며, 촉진과 저해요인에 포함된 각 주제의 반응빈도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 역시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동기와 정서를 보다 잘 이해하고 이에 바탕을 둔 학교 체육프로그램의 내용 선정과 운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motive and interuptive sources of enjoyment in middle school-based Physical Education(PE). Middle school students(301 boys, 305 girls) responded an open-ened question regarding the factors promotive and interuptive sources of enjoyment in PE. A total of 1586 reponse(770 promotive and 816 interuptive sources) on the open-ened question were content-analyzed. In the 1st subject analysis, the 18 promotive and 15 ineruptive dimensions of enjoyment were emerged, and in the details area of 2nd subject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the 11 promotive and 10 interuptive dimensions. It the general area of the final classification, the 7 promotive sources were the task, instruction method, psychological/physiological effect of exercise, to like the teacher, competition and match, skill measure, others etc., and the interuptive sources were classified into task, instruction method,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er, skill measure load, classroom work, student, to do the miscellaneous works, lack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thers etc. The dimentions generally fit into the students` experience catagories in PE(Goudas & Biddle, 1993). However, some unique sources of enjoyment reflect the nature of middle school PE in korea. Gender difference in the dimention and the level of PE enjoyment were also identifi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