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우리는 매일매일>, <박강아름 결혼하다>를 중심으로

        성진수 한국영화학회 2022 영화연구 Vol.- No.91

        본 연구는 두 영화 <우리는 매일매일>과 <박강아름 결혼하다>를 형식의 측면에서 탐구한다. 현실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쟁점을 영화적으로 표현하는 데 있어두 영화가 공유하는 재현 방식을 분석하고, 그것을 빌 니콜스가 제안한 다큐멘터리 영화 양식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즉 각 양식들이 실질적으로 구현되는 방식과서로 조우하고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조사하고,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영화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는 결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두 영화의 재현전략과 그것의 정치적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두 영화가 사적인 것과 공적이고 정치적인 것을 관계 맺는 재현 방식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두 영화는 감독 ‘나’를 영화속에 재현하고 관객에게 제작 과정을 노출함으로써 감독이 재현 대상이나 관객과 평등한 관계에 놓이게 한다. 즉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고, 그 영화의 대상이되고, 그 영화를 보는 세 축의 주체들 간에 동일시에 의한 연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두 영화는 참여적 양식의 재현 방식을 통해 사적이고 특수한 ‘나’의 경험을 집단과 연결함으로써 그것에 공적인 위상을 부여한다. 셋째, 다큐멘터리 영화 양식의 측면에서 볼 때, 두 영화는 성찰적, 수행적, 참여적, 설명적, 관찰적 양식의 혼용과 상호작용 속에서 현실을 재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영화가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 양상을 보여주는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들은 관객을 더 잘 설득하고 더 깊게 영화에 연루시킴으로써 더 정치적일 수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방법론을 탐구하였고 성공적인하나의 사례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한국 영화 역사의 관점에서액티비즘으로서 다큐멘터리 영화 전통이 오늘날 어떻게 변모 혹은 진화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콘텐츠 구성의 관점에서 본 영화 잡지 ≪스크린≫의 특징과 의미: 1980년대를 중심으로

        성진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1

        This study is about the film magazine SCREEN, which was founded in the 1980s. SCREEN was a representative film magazine of the 1980s that appeared at a time when there were no popular film magazin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meaning of SCRE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agazine from March 1984 to December 1989.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in detail the main contents of the film magazine SCREEN, namely, articles corresponding to overseas figures and photos, domestic figures and photos, film reviews, overseas film industry issues, domestic film industry issues, and film theory, and the way they are covered. As a result, I identified tw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REEN and previously published movie magazines. First, compared to previous magazines, SCREEN is a visual magazine that emphasizes visually-oriented content. Second, SCREEN features more overseas-related content compared to past magazines. These features of SCREEN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Korean popular culture in the 1980s, such as the sophistication of visual culture and the growing interest of young people in foreign cultures amidst the globalization trend. 1984년 창간된 영화 잡지 ≪스크린≫은 한국에서 대중 영화 잡지가 전무하던 시기에 등장한1980년대를 대표하는 영화 잡지였다. 이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스크린≫ 1984년 3월호부터1989년 12월호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잡지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화 잡지 ≪스크린≫의 주요 콘텐츠인 해외 인물과 화보, 국내 인물과 화보, 영화평론과 영화소개, 해외 영화계 이슈, 국내 영화계 이슈, 영화 교양지식을 다루는 기사의 내용과 그것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전에 발행되던 영화 잡지들과 ≪스크린≫ 간의 유의미한 차이점이 크게 두 가지임을 확인하였다. 첫째, 이전 잡지들과 비교하여≪스크린≫은 시각 중심 콘텐츠를 중시하는 ‘보는 잡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둘째, ≪스크린≫은 과거의 잡지와 비교하여 해외 관련 콘텐츠를 더 많이 다룬다. ≪스크린≫의 이러한 특징은198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변화들, 예를 들어 시각문화가 고도화되고 세계화 추세 속에서 해외문화에 대한 젊은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는 시대의 흐름과 조우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OTT 시대의 영화 다양성에 관한 시론적 논의

        성진수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5 No.-

        The emergence of OTT, a new media based on the universal Internet, is bringing many changes to cinema.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discusses how film diversity can be sustained in the new phase created by OTT. Film diversity has been an important topic in the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artistic and social value of films. However, most OTT studies have focused on business and technology, and only a few have addressed film diversity.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notable features of OT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nd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ilm diversity in the OTT environment that have not been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we found two thing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TT and film diversity. First, film diversity in OTT may be practiced in connection with the industry logic of content differentiation. Second, the long-tail effect of OTT has a positive impact on film diversity. The long tail refers to the commercial value of niche products that are favored by a small number of people in online-based businesses, which is why OTTs offer more films with specific tastes. This trend is leading to the emergence of OTTs that specialize in certain films, such as independent films, documentaries, and women's films. Film diversity is also a political value, as it challenges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in cinema and seeks novelty in subject matter and form. According to Benjamin, who noted the political function of art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cinematic art, which is inherently tied to technology, is inherently political. Therefore, this study's discussion of cinema and cinematic diversity, which is changing under the influence of new technologies, can lead to a discussion of the nature of cinema in the 21st century. 범용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미디어인 OTT의 등장은 영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OTT가 만든 새로운 국면에서 영화 다양성이 어떤 방식으로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영화 다양성은 영화의 예술적이고 사회적인 가치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OTT 연구는 비즈니즈나 기술에 주목하였을 뿐이고, 영화 다양성을 언급하는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다양성의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OTT의 특징을 검토하고, 선행 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않았던 OTT 환경에서 영화 다양성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OTT와 영화 다양성의 관계에 대하여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OTT에서 영화 다양성은 콘텐츠 차별화라는 산업 논리와 연관되어 실천될 수 있다. 둘째, OTT의 롱테일 효과는 영화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롱테일은 온라인 기반 비즈니스에서 소수가 선호하는 틈새 상품들의 상업적 가치를 의미하는데, 이는 OTT가 특정 취향의 영화를 더 많이 제공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향은 독립 영화, 다큐멘터리, 여성 영화와 같은 특정 영화를 전문으로 다루는 OTT의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영화 다양성은 영화에서 나타나는 사회적ㆍ문화적 배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주제와 형식의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곧 정치적인 가치이기도 하다. 기술복제시대 예술의 정치적 기능을 주목했던 벤야민에 따르면, 태생적으로 기술과 결부된 영화 예술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의 영향 하에 변화하고 있는 영화와 영화 다양성에 관한 본 연구의 논의는, 21세기 영화의 본질에 관한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내 동아시아 영화 시장에 관한 연구: 2004년 이후의 현황을 중심으로

        성진수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3

        At the transition from the 20th to the 21st century, the world entered the post-Cold War era, and new technologies facilitated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During this period, South Korea restored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its neighbors, and the East Asian film market in South Korea began to form in earnes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film market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size and box office of Japanese, Chinese, Hong Kong, and Taiwanese films released in South Korea from 2004, when the country opened its doors to Japanese films, to 2022. Since 2004, the number of East Asian films released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in quantity, and the number of East Asian films released in South Korea in a single year has reached 20% of the total Korean film market. However, only 2% of the total audience in the Korean movie market has seen an East Asian movie. This means that, despite the popular success of some films, East Asian cinema is accepted as a subculture in the Korean film market, centered around a specific audience. The subcultural nature of East Asian cinema in Korea is also evidenced by the tendency for each country to specialize in certain genres. Japanese animations, Chinese historical action blockbuster films, Hong Kong action films, and Taiwanese romance films are the main genres driving the East Asian film market in Korea, while Japanese dramas and Chinese animation for children also have their own markets.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genre film stars and the “statelessness” of films ar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film market in Korea.

      • KCI등재

        한국 지역 여성영화제에 관한 고찰 :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성진수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2 아시아영화연구 Vol.15 No.1

        한국에서는 매해 160개가량의 영화제가 열리는데, 이와 같이 영화제가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들어서다. 다양한 영화제들 중에서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1990년대 신사회운동의 하나인 여성운동의 장으로서 시작된 여성영화제, 특히 지역 여성영화제이다. 1997년 서울여성영화제(현서울국제여성영화제)가 개최된 후 ‘여성’을 주제로 한 영화제가 지역 단위에서생겨나기 시작했고, 현재 한 해 동안 한국에서 개최되는 여성영화제는 모두 30개남짓에 이른다. 여성영화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가 여성주의 담론과 실천의 장으로서 영화제를 바라보는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지역의 여성영화제가 형성되고유지되는 과정과 관계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을 영화제 연구에 적용하면서 영화제를 행위자들 간의 특정한 연결망으로서 설명하고자 했던 마리케드 발크(Marijke de Valck)의 관점을 차용하여 지역 여성영화제를 검토한다. 발크가 주목한 네트워크 이론 중 하나인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의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주체와 객체를 구분하지 않고, 그들 사이의 혼종적 결합”의 관점에서 영화제를 이해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발크와 라투르의 아이디어에 기대어먼저 지역 여성영화제의 다양한 요인들을 현황 파악 차원에서 조사하여 행위자의 역할을 하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네트워크로서 지역 여성영화제를 설명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