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와 부모의 관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자율적 동기와 통제적 동기의 병렬매개효과 검증

        성지현 ( Jihyun Sung ),장덕선 ( Duksun Ch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와 부모의 관계가 자기결정동기를 매개로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배드민턴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중·고등학교 배드민턴 선수 259명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관계, 자기결정동기, 회복탄력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병렬적 구조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 for SPSS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부모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 하위요인 자율적동기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배드민턴 선수의 부모와의 관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 하위요인 통제적동기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모와의 관계가 삶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회복탄력성과 자율적 분위기의 동기 형성으로 긍정적 방향을 제시하는 자기결정동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될 것이라 보고, 이를 바탕으로 부모가 선수에게 긍정적, 자율적 동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선수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adminton players and their parents on the resilience by using self-determination as a medi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or 259 middle- and high-school badminton players who were registered in the Korea Badminton Associ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to verify the multiple mediated effect with a parallel structure. Results: First, autonomous motivation,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badminton players parents and with resilience. Second, controlling motivation,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badminton players parents and with resilience.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a relationship with parents can serve as a critical factor to not only the resilience that leads a life of adolescent player to desirable direction but als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at presents a positive direction by forming a motivation of an autonomous atmosphere. In this regard, it can be thought that paren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ilience of adolescent players by enabling them to establish a positive and autonomous motivation.

      • KCI등재

        핵­부가에 대한 병합(MERGE)접근법적 분석

        성지현(Jihyun S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Chomsky et al. (2019)은 통사운용의 핵심은 병합 (Merge)이며 이 병합 (Merge) 통사운영의 전제조건으로 7가지 고려사항을 제안하고 단순 병합을 검색(mapping)과 작업공간 업데이트라는 내용을 향상시켜 병합(capital MERGE)으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병합 접근법의 분석으로, 우선 7가지의 고려사항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과 핵-부가에 있어 병합 (MERGE)접근법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하는 학자들의 제안을 분석함으로써 필자의 제안에 이르는 것이다. Kitahara (2017)는 짝병합에 대한 핵-부가는 기존의 작업공간이 아닌 또 다른 도메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Hosono (2019)는 [{<v*, R>, {NP, {R, NP}}}]에서 R이 v* 와 결합하는 것은 R이 v*로 이동하여 <v*, R>로 대체되는 것이라 주장한다. Omune (2019)는 자질 상속이라는 기제가 통사운용에서 v*과 R의 특정 관계를 형성하여, MERGE 체계에 있어 다른 통사체 검색이 이루어지지 않아, {R, {R, v*} 통사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통사체는 ZFC의 원리로 <R, v*>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Shim (2019b, 2020)은 Kuratowski (1921)의 원칙을 적용하여 {{v*}, {v*, R}} = <v*, R> 이라는 초기의 분석에서 어휘부에서 이루어지는 짝병합의 형태, 즉 LPM으로 그 분석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필자의 제안은 Chomsky (2015)에서 주장한 아말감 형태의 병합이다. 이에 덧붙여, 필자는 R이 카테고리가 없다는 점과 아말감 형태의 병합은 작업공간 원소제한조건을 위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Chomsky (2015)의 주장이 설명적 타당성을 지닌다고 본다. Chomsky et al. (2019) illustrate a research direction where they propose general conditions of Universal Grammar called ‘Seven Desiderata’ and redefine Merge as (capital) MERGE.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Seven Desiderata and (capital) MERGE. The second purpose of this work is to critically review some of the recent analyses of Head Adjunction in (capital) MERGE based system, Kitahara (2017), Hosono (2019), Shim (2019b, 2020), and Omune (2029). Kitahara (2017) proposes that a different domain is required for the ordered pair. He assumes that simply applying MERGE operation does not ensure Head Adjunction. Hosono (2019) insists that the derivation [{<v*, R>, {NP, {R, NP}}}] is simply generated by merging R to v* in a part of the existing structure. He calls it “Replacement.” Hosono (2019) claims that v* can be replaced into <v*, R>. Omune (2019) considers Feature Inheritance (FI) as a module for v* and R that takes advantages of the relation with MERGE based system. Some Lexical items except R and v*, therefore, are inaccessible and invisible to MERGE. MERGE can easily generate {R, {R, v*}} which is equal to <R, v*> according to ZFC. Shim (2020) suggests that the ordered pair <v*, V> is generated within the Lexicon. It is called ‘Lexical Pair-Merge’, which is upgraded from his previous suggestion that came from Kuratowski (1921)’s principle. Chomsky (2015) claims that raising of R to v* yields an amalgam with v* adjoined to R. My support goes to Chomsky’s assumption since syntactic object R is without category. I assume that non-categorical SOs can amalgamate one on another. ‘Amalgam’, therefore, is needed to be verified further in MERGE based system.

      • KCI등재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과 발달 수준 및 공감 능력과의 관계 탐색

        성지현 ( Jihyun Sung ),변혜원 ( Hye Weon Byun ),남지해 ( Ji Hae Na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start time and frequency of use of smart devices and preschoolers’ developmental level and empathy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developmental level and empathy depending on parents’ media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0 mothers of three-to five-year-old children enrolled in a daycare center and a kindergarten in Seoul and Kyung-gi-do. The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for demographic backgrounds, media usage, and K-CDI (2nd) and the Empathy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s, and Mann-Whitney U tes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began to use smart devices from 2-3 years old and used them 1-2 times a week. Second, the start time of the use of smart devices was posi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elf-help behavior, fine motor skills, language, and over all developmental level. The frequency of use of smart devices was negatively related to preschoolers’ self-behavior and fine motor skills. The relationships between use frequency and empathy and between use frequency and attention to other’s feelings as a subscale of empathy were significantly negative. Third, depending on parents’ intervention in their children’s media us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and language understanding development. Depending on parents’ intervention in program 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evelopment, language understanding development, and empathy, especially attention to others’ feelings. These findings provided developmental tendency between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preschoolers’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the need for appropriate standards and guidance on the use of smart devices for the preschool period.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노출 시기 및 사용 빈도가 유아의 발달 수준 및 공감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자녀의 미디어 매체 이용에 대한 부모의 개입에 따라 유아의 발달수준 및 공감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4,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유아의 미디어 매체 이용 실태 조사지, K-CDI(2nd) 아동발달검사, 유아공감능력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Mann-Whitney U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만 2세-3세부터 사용하기 시작하며, 사용 빈도는 주1-2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사용 시작 시기가 늦을수록, 유아의 자조행동, 소근육 운동, 글자 및 전체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 빈도는 자조행동, 소근육 운동과 부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또한 스마트기기 사용 빈도는 공감, 그중 타인의 감정에 대한 주의와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셋째. 매체 이용 시, 부모의 시간제한 개입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언어이해 발달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의 프로그램 이용 개입에 따라 사회성 발달, 언어이해 발달, 유아 공감 능력 중 타인의 감정에 주목하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시기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발달적 영향 및 올바른 스마트기기 사용에 대한 규준과 안내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였다.

      • KCI등재

        아동 놀이성향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지현(Jihyun Sung),변혜원(Hye-weon Byun),남지해(Ji-hae Na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 양식 및 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아동 놀이성향 척도(CPD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으로, 만 5-7세 아동(월령 범위 51~106개월)의 부모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다중지능이론과 관련 척도를 검토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전문가를 통해 문항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확인받은 뒤, 문항들은 탐색적 요인 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6요인의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6요인은 각각 주도성, 언어성, 탐구성, 예술성, 운동성, 감수성이다. 본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CPDS의 각 요인과 유아용/초등용 다중 지능 체크리스트의 하위 요인 및 총점간의 관계를 통해 산출하였으며, CPDS 각 요인의 신뢰도 범위는 .53∼.79이다. 본 척도는 아동의 발달적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아동 발달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아동의 놀이 콘텐츠 제공과 놀이방법 등을 적절하게 지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hildren’s Play Disposition Scale(CPDS) which could be used to evaluate children’s play patterns and pre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of 437 5-7-year-old children (age range from 51months to 106months).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scales, confirmation of item adequacy and content validity. After the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perts, these items were edited down to a final list of 27 items representing 6 factors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6 factors of the scale consists of initiative, linguistic activity, logical-mathematical activity, art and craft, physical activity, and sensitivity respectively. Concurr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each factor of the CPDS and sub-factors and the total scores of Multiple Intelligence Checklist for preschoolers (Multiple Intelligence Institute Co., Ltd, 2008) and Multiple Intelligence Checklist for elementary schoolers (Multiple Intelligence Institute Co., Ltd, 2007).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as measured by Cronbach’s α, ranged from .53 to .79. The CPDS provides the developmental and educational information for strengthening childrens developmental forte and for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al weakness. This scale can be used on developing childrens play contents and guiding play methods in the future.

      • KCI등재

        언플러그드 로봇을 활용한 5세 유아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지현 ( Sung Jihyun ),이지영 ( Lee Ji Young ),박지영 ( Park Ji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여러 영역에서의 놀이 및 활동과 통합이 용이하고 직접 체험이 가능하여 유아들의 발달에 적합한 언플러그드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과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목적 및 학습목표, 교구 및 자료,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ADDIE모형을 기반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개발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유아들의 컴퓨팅 사고력과 수학적·과학적 기술 및 태도를 기르는 것이며, 이를 위한 언플러그드 로봇과 이를 활용하거나 연계하여 할 수 있는 놀이와 활동자료를 구성 및 제작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은 ‘생활도구’라는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로봇의 기본조작법과 명령법, 알고리즘과 설계과정 등 컴퓨팅 사고의 기초가 되는 개념과 지식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내용이 점차 확장되도록 각 주차별 목표와 내용 및 중점 놀이와 활동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방법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하여 유아들이 언플러그드 로봇을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을 제안하였고, 프로그램 실행 및 적용에 대한 평가 결과를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언플러그드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시 고려할 점과 유의할 점에 대해 논의하고, 국가적 관심과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EAM program for 5-year-old children old using unplugged robots. The STEAM program was designed to utilize unplugged robots appropriate for children’s development as it is easy to integrate with various play and to link up with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gram and the purpose and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resources, material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program development was processed through the reciprocal procedure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DDIE model. The goal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o develop young children’s computational thinking, mathematical and scientific skills and attitudes. For this purpose, unplugged robots were selected. Play, activities, and play resources were constructed and produced, utilizing or associating with unplugged robots. The contents were composed of concepts and knowledge underlying computational thinking such as basic operation, command method, algorithm, and design process of robots in conjunction with the topic of "living tools". This study presented goals, contents and core play and activities for each week so that these contents could be expanded gradually. Using the project approach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he role of a teacher was proposed to help young children explore the unplugged robots freely, and the evaluation for the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repor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ssues and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using the unplugged robot were discussed, and the national interest and support were proposed.

      • KCI등재

        원단종류에 따른 한복 전통배색의 이미지 차이 연구

        성지현(JiHyun Sung),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서구문물의 유입과 한복의 예복화로 인해 한복이 일상복으로 입혀지기 꺼려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한복 소재의 세탁 및 관리의 어려움이 대표적으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서 면과 린넨 같은 현대 의복소재로 디자인한 한복패션이 유행함으로써,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또한 한복의 매력적인 요소로 가장 많이 손꼽히는 전통배색을 이용한 현대의복소재를 사용해 한복의 기능이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을 현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한복배색을 현대원단으로 제시하였을 때, 이를 전통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평가하고 현대화된 한복에 사용 가능한 현대원단과 전통배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한복배색과 한복에 사용되는 원단과 현대의복에 사용되는 원단 종류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이론적 연구를 진행한 후, 본 연구에 활용할 전통한복배색과 전통원단 및 현대원단들을 선정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작한 배색 샘플을 제시하여 배색에서 느껴지는 전통성과 감성이미지를 조사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후 연구결과를 배색종류별, 원단종류별, 원단표면특성별로 분류하여 각각의 전통성과 감성이미지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적배색, 황청배색, 백흑배색 순으로 전통적이라 느끼고, 갑사, 면과 같이 원단의 광택이 적고, 원사가 굵을수록 조화롭고, 자연적이고, 전통적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녹적배색처럼 강한 대비가 특징인 전통배색들은 조화롭고, 수수하고, 단정할수록 전통성이 약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적 원단을 이용한 전통한복배색을 활용하여 한복의 전통성을 유지하며 현대화할 수 있는 방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Because of western culture and formalization of Hanbok, the biggest problem is difficulty in washing and managing Hanbok material in this situation that Hanbok is less preferred to be worn as everyday dress. However, recently as Hanbok fashion designed with modern clothes materials as cotton and linen, etc. among 2030 generation, a direction to modernize Hanbok has been suggested. Also, there"s a necessity to improve the function of Hanbok by using modern clothes materials using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the attractive factor of Hanbok. Here, this research intended to evaluate the degree that people feel the traditionality of Hanbok when suggesting it in modern fabric with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nd suggest modern fabric and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available for modernized Hanbok as a method to modernize Hanbok. For this, this research selected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traditional fabric, and modern fabric to utilize for this research after conducting theoretical research that investigated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on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fabric used for Hanbok, and the kinds of fabric used in modern clothes, and conducted empirical study that researched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in color arrangement by suggesting color arrangement sample produced by using this. Then,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each traditionality and emotionality image by classifying the research results into color arrangement type, fabric type, and fabric surface characteristic. As the result, traditionality was felt in order of green red arrangement, yellow blue arrangement, and white black arrangement, and harmonious and naturalness and traditionality were felt in order of the fabric with less gloss as cotton, and gapsa. However, traditional color arrangement, which has strong contrast as green red arrangement on characteristic, traditionality could be weakened when they are harmonious, simple, and nea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raditionality of Hanbok could be maintained and a direction to modernize it could be derived by utilizing traditional Hanbok color arrangement using modern fabric.

      • 장난감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작화 놀이

        성지현(Jihyun Sung),김종훈(Jonghoon Kim),현은자(Eunja Hyun),권민주(Minju Kwo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또래들과의 극놀이 상황에서 전자 장난감과 전통 장난감 제공에 따른 유아의 가작화 놀이의 빈도, 수준,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7명(남아: 3명, 여아: 4명)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유아들은 가작화 수준과 상관없이 전자 장난감에서 가작화 활동 빈도가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전자 장난감의 경우 유아들은 놀이감의 기능에 의존하는 가작화 활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완구시장에 전자 장난감이 대부분인 시점에서 유아들의 전자 장난감의 가작화 놀이 수준과 내용이 어떠한지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pretend-play in preschool, especially when given electronic toy and traditional toy in a situation of dramatic playing with their peer group. A total of 7 young children (3 boys and 4 girls) attending preschool we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showed more frequent pretend-play with electronic toy. Second, young children showed more frequent pretend-play activities depending on a toy supplement accessary provided such as a bone and the function of the toy when dealing with electronic toy. Given a situation that electronic toys take account for the majority in the toy market today, it is a meaningful finding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level of pretend-play and play contents with electronic toy.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윤서희(Seohee Yoon),성지현(Jihyun Sung)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sought to illuminate a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on the associ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child`s emotional regul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292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ged between 4 and 5. The children were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or Gyeonggi-do province in Korea. The questionnaires on mother`s parental efficacy,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ere distributed to mothers through their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Although mothers` parenting efficacy had relatively higher effects up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an their fathers` involvement, the effect of a fathers` involvement was still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fathers` involvement in leisure activities moderated the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comprehension and regulation(one of the sub-factors of emotional regulation).

      • KCI등재

        스마트폰 색채에 따른 시니어의 가독 특성

        이윤진(Younjin Lee),성지현(JiHyun Sung),민혜성(HyeSeong Min),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니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특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사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시니어 세대는 시지각적 측면에서 색채의 인식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화면의 색채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을 알아보고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배경색과 글자색의 조합에 따른 가독성을 평가하여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이 반영된 스마트 콘텐츠용 색채 가이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니어군 50명과 일반군 15명이 스마트폰에 제시되는 98개의 가독성 평가용 화면을 < 잘안보인다 ? 보인다 ? 잘보인다 >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가독성은 배경색과 글자색 간의 명도차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작은 명도차에서도 가독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차가 커질수록 두 집단 모두 가독성은 증가하지만 시니어군은 일반군에 비해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이 작은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색과의 조합에 따른 글자색의 가독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높은 가독성을 나타냈으며, W색상 배경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인 우위의 경향을 보인 반면, Bk색상 배경에서는 W색상일 때 보다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시니어군의 경우 밝은 배경의 어두운 글자 조합보다 어두운 배경의 밝은 글자 조합의 경우가 가독에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가 작은 경우,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일반군에 비해 높다는 특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시니어군에게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가독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increasement of senior population, the senior market is expanding in scale and in particular, senior targeted smartphone penetration and usage has upsurged. In comparison, for the senior generation in terms of perceptual, the range of colors reduces and therefore, study for color on senior targerted smartphone screen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visual attributes and the senior targeting smartphone scr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color combination effecting the readability is evaluated to be reflected for color guide basis material.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are as follows; Nintyeight smartphone screens were shown to the senior group of 50 people and general group of 15 people for readability assessment using a rating scale of <not seen well ? seen ? well seen>. In result, readability was found to have relationship with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Comparison of the color comb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readability,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scores for lower brightness difference than the senior group. Also, with higher brightness difference,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ncrease of the readability, the senior group showed smaller increase than the general group. Secondly, comparing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ext color,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senior group in general, for W background the general group showed tends to lead while senior showed higher readability for Bk than W background. Therefore, for the senior group, a combination of a dark background with bright letters had better readability than a bright background with darker letter combination. In addition, R color letters that has small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the senior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general group.

      • KCI우수등재

        유아의 실행기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조다연(DaYeon Cho),성지현(Jihyun Sung)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mong executive function (EF),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4, 5, and 6-year-old children, as well as the impacts of EF on peer competence.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ether children’s playful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F and peer competenc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94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The three EF subcategories (working memory, inhibition, and shifting) were measured using the Digit Span task, the Day-Night task, and the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Playfulness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 and peer competence was measured using the Peer Competence Scal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was confirm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childrens EF according to ag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between the age groups. (2) After controlling for ag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among EF,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3) Playful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F and peer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children’s playfulness is an essential factor both forming and maintaining successful peer relationships, and makes clea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pproaches for cultivating children’s playfulness in order for them to create and maintain successful peer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