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 사례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성용은(Sung, Yong-Eun),정육상(Jung, Yook-Sa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연구에서는 미국 내 인신매매의 실태와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특히 현장 조사내용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개선된 조사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현지에서의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해서 전체적인 연구방향의 설정과 실제적인 연구조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조사 실행방법(전략 및 표본선정)으로는 우선, 미국 내 한인단체 및 기관과 접촉을 통해서 성매매 업종에 종사하는 업주 및 한인 여성, 그리고 성 구매 남성을 접촉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한국 성매매 여성의 유형 별로(즉, 콜걸과 에스코트 서비스, 마사지 업소, 그리고 술집 접대업소) 표본을 선정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 심층면접을 위해서 조사대상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조사면접에 응할 수 있는 면접방식(예, 비공식 대화형식 면접 또는 정형화된 설문지 면접)을 채택해야 한다. 또한 면접비를 지불하여 피조사자의 신뢰성 있는 답변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성매매 업소를 직접 방문하여 참여관찰의 방법도 병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인 여성의 인신매매가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인신매매 과정에 관여한 피해자나 가해자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하여 미국 내 한인 지역사회가 잘 발달되어 있는 지역에서 조사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제안된 조사방법을 통해서 기대되는 연구결과의 학문적ㆍ형사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research methods for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condition of the human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di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study,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 of the prior empirical research and explores the sophisticate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1) pre-field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som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to set up the strategi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2) Methods for the conducting the research (strategies and sampling): efforts need to contact a well-known Korean community organization and/or agencies which may introduce an informants who help the researcher to find the research subjects such as Korean women sex worker, owner of a sex trade, and Korean male who buy a sex; sampling by the types of Korean Women sex worker (i.e., call-girls, massage parlors, and salon); the interview should involves the informal conversational interview and/or the formal questionnaire interview, and this make the interview more comfortable for building up a rapport; paying an interview fees (i.e., the give and take methods) can plays a critical ro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ir answer; the researcher also should try to visit inside the business location and observe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3) the research site should be considered the areas where are well established Korean commun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frequencies for contacting the victims and offenders (trafficker and associates) of human trafficking. Lastly, the study concludes with this study limitation and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n the human trafficking and the criminal justice policy after conducting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whi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성영애(Young Ae Sung) 한국FP학회 2016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계부작성행동의 효과를 분석하고 가계부작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가계부조사 가운데 2014년 원자료이다. 분석결과 가계부작성행동은 어느 정도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가계부를 작성하고 있는 집단의 경우 가계부작성의 효과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고, 가정생활로 인한 정신적 피로도 점수도 상대적으로 낮았고, 긍정적 감정의 점수 또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구매의 비율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이다. 즉 가계부를 작성하는 경우 심리적 효과와 충동구매억제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가계부작성행동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대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작성을 하고 있었으며, 주부들의 경우 작성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반대로 남성의 경우, 50대와 20대의 경우, 무직과 대학생의 경우 가계부작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들이 가계부를 작성하지 않는 이유는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가계부작성을 위한 촉진전략은 가계부를 작성하지 않는 이유에 따라 차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using the household ledger in order to determine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its use. The data came from the 2014 Survey of Housekeeping Book conducted by Embrain, an online research company.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record keeping behavior and the reasons for not using household ledgers. The results showed that 33.6% of the respondents used household ledgers and that these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highly evaluate the usefulness of record keeping. They felt less fatigue from home management and had more positive emotions in everyday life. They were also less likely to engage in compulsive buying. Record keeping behavior and the reasons for not using household ledgers vari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Females, those in their 30s and housewives were more likely to use household ledgers. The reasons for not using vari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occupation. Financial planners and educators should consider the reasons why many people do not use household ledgers.
THE LONGITUDINAL GROWTH CHANGES OF CRANIOFACIAL STRUCTURE IN KOREAN ADULT (DURING THE AGE 24 TO 31)
Park, Hyo-Sang,Sung, Jae-Hyun,Sohn, Dong-Seok,Bae, Sung-Min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6
최근 성인환자의 증가에 따라 왕성한 사춘기성장이 완료된 후 성인에서 일어나는 성장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임상교정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되었으나 이에 대하여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등은 한국인 성인의 두개안면부의 성장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성인 남자 25명과 여자 15명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한 후 7년후에 추적하여 다시 촬영한 연속 두부방사선규격 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자에서 하악골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으나 남자에 있어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하악골의 길이 변화는 없었다. ·여자에서 상악전치는 설측경사 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전안면고와 전하안면고의 증가가 있었고 여자에서 전하안면고의 증가가 후안면고의 증가보다 많았다. ·두개저는 관찰기간동안 변화가 없었다. ·성인 두개안면부의 성장은 개개인에 따라서 매우 큰 차이를 보이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었다. Recent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dult patient, it is neccessory to understand the growth changes of adult after cessation of active pubertal growth in clinical orthodon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nges of craniofacial structure after active growth period(adult) in order to use as reference in clinical orthodontics. Authors followed the 40 sample(male 25, female 15) from 24 to 31 years of age. By analyzing the serial cephalograms, authors could get the following findings. ·The mandible rotated clockwise in female, but not in male, and no incremental growth change in both genders. ·The anterior facial height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were increased in both genders, the increase of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exceed the posterior facial height increase in female. ·The cranial base was stable throughout observation period. ·The upper incisors uprighted slightly in female. ·There were quite great the individual variation in the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structure in adult.
번역을 통한 사회 참여-청소년 성소수자 담론을 중심으로
성승은 ( Seungeun Sung )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This paper aims to observe how translation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discourse on sexual minority among adolescents. Translation reflects trends in social discourse and at the same time engag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uch discourse. Four translations from English novels on sexual minorities aimed at adolescent readers are here examined. The paratexts of these texts are studi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Korean translations expand sexual minority discourse. Paratexts include titles, covers, blurbs, prefaces, and also texts dislocated from the books such as interviews of authors and translators. The main texts other than the paratexts are also examined to find out how sexual minority reference terms are translated. The terms in Korean can provide a yardstick to measure the familiarity of such terms to Korean readers. The results show that translations have added paratexts other than those in the original English texts and changed some of them to call for reader awareness about sexual minorities. The results also reveal an aspect of how the lexicon of sexual minority discourse is established.
공기호흡기용 공기충전기의 고순도 필터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성시민(Si-Min Sung),양정모(Jung-Mo Yang),박태율(Tae-yul Park),지대준(Dae-Jun Ji),오재성(Jaesung Oh),임우섭(Woo-Sub Lim),정재한(Jae-Han J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5 No.5
공기충전기를 통해 충전되는 공기는 불순물이 없고 순수해야 하므로, 수분, oil, 탄화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필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필터의 수명은 약 50 h이며, 이 수명을 초과한다면 정화기능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경제적,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필터의 수명 연장(60 h)과 정화기능 강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터 이전에 이물질 자동배출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출액, 배출 및 수집장치 최대 소음, 필터 수명을 실험 및의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배출액을 확인하여 자동배출장치의 오염물 배출기능 및 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최대 소음은 공기충전기 4면 모두 성능 기준인 80 dB 이하로 성능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60 h 사용 후 충전된 공기의 질을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모든 수치가 성능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r charged through the air charger must be pure and free from impurities; hence, the role of a filter that removes pollutants, such as moisture, oil, and carbides is very important. The lifespan of the filter is approximately 50 h, and if exceeded, the purification function decreases rapidly. Therefore, it must be replaced periodically. Howev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filt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sion of the filter lifespan (60 h) and enhancement of the purification function. An auto drain system was installed. The pollutant discharge, maximum noise, and lifespan were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and commissioned inspections to check the performance. The compatibility of the pollutant discharge func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auto drain system was verified by checking the discharge of pollutants. In addition, the maximum noise was certified to be less than 80 dB according to the performance-standard. Finally, the charged air quality was analyzed after 60 h of use, and all the analyzed values were confirmed to be within the performance-standard range.
성현준(Hyun Jun Sung),이지혜(Ji Hae Lee),홍동규(Dong Gyu Hong),박명호(Myoung Ho Park)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35 No.-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을 범죄피해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하여 재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년간(2023년~2024년) 범죄피해평가보고서 215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범죄피해평가보고서에서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상위요인 4개(경제, 신체, 사회, 2차 피해) 중 2점 척도로 구분된 47개의 하위항목을 코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범죄피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재피해를 겪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대조한 독립표본 t-test, 재피해를 예측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피해를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이혼·별거 등 가족해체, 실직 또는 학업 중단, 직장, 이웃관계 등에서 피해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사회적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 및 이직, 사회생활에서의 전반적 어려움, 가해자의 접촉, 가해자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이 유의하게 높았고 가해자의 원치 않는 방문은 유의하게 낮았다. 재피해 여부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는 변인은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이직과 가해자에 의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범죄피해자 재피해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victimization of crime victims based on the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help the daily recovery of the victims. For this purpose, 215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conducted during the last two years (2023-2024) were collected. From the collected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47 sub-questions among the four major factors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secondary damage) which were rated on a two-point scale were cod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rime victims, independent samples t-test comparing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and those who did no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predict re-victimization.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family disruption, such as divorce or separation; job loss or study interuption; negative perceptions of the victim at work or in neighborhoods;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general difficulties in social life; contact with the perpetrator;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and unwanted visits from the perpetrat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re-victimization were found to be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and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Based on the finding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policies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