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2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4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공인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좋은 수업과 창의성 교육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과, 창의인성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창의성 교육과 학생주도적 교수학습을 잘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student’s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226 students, and we developed 12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24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Beghetto, Kaufman, Baxter’s creative self-efficacy test and Kaufman’s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it significant that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focuses more on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than general school.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Sung, So-Yeon),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고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내생변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변인을 선정하고,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 검증 실시 및 적합도 지수(CFI, TLI, RMSEA)를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인과관계파악을 위해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01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has a di 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mediator between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a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소연(Sung So Yeon),배성아(Bae Sung 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특성 및 개인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까지 서울, 경기, 충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 3곳에서 재학생 282명(남 161명, 여 12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교수 및 교육성과 요인과 신경증, 성실성 및 적극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환경 및 개인특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대학환경에서는 교수와 대학의 교육여건 및 교육성과가, 개인특성에서는 신경증과 성실성 요인이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환경 중에서 ‘대학의 행정체제’ 요인은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수준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환경과 개인특성은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제고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수준 향상에도 유의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진로결정수준보다는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대학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결정에 선행하는 이슈임을 인지하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environment, personality traits,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sample for this study is 282 college students(male: 161, female: 121)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Chung-chung province in Kore from April to June in 2015. The conclusions that resulted from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trait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Especially, professor and educational outcomes factors of college environment and neuroticism,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re more related to college students’ adjustment.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trait on career decision level. In detail, educational condi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factors of college environment and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re more related to career decision level. B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tor does not have an effect both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sum, this study indicates that college environment and personal traits influence both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y affect more on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han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 개발

        성소연(Sung, Soyeon),박혜영(Park, Hye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들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평가하고 점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교수자 136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실시 후 내적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284명의 교수자 대상으로 한 본조사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수자 배경변인 간의 차이 분석을 하였다. 최종적으로 기본역량(열정적 태도, 다양성 존중, 입체적 사고) 12문항, 강의역량(전문적 교과지식, 강의개발, 강의운영, 상호작용) 18문항으로 구성된 전체 30 문항의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수자의 직급과 재직기간에 따른 교수역량을 살펴본 결과, 조교수와 부교수의 교수역량이 교수보다 더 높고, 신임 교수자가 21년 이상 재직한 교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수역량자가진단도구는 교수자의 교수역량에 대한 세부적 진단을 가능하게 하고, 교수자가 자기인식에 기반하여 강의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ools that can self-evaluate and check the teaching competency of university professor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136 professors, then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rough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urvey of 284 professors was conducted,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questionnaire were verifi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rofessor background variables were analyzed. Finally, self-lecture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consisting of 12 in basic competency (passionate attitude, respect for diversity,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18 in lecture competency (professional knowledge, lecture development, lecture oper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rofessors’ potions and length of servi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assistant professors and associate professors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and that of professors with 0-3 years of service was higher than that of professors over 21 years. The self-diagnosis tool for teaching competency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detailed diagnosis of the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rofessors to respond based on self-awareness to check and improve lectures.

      • KCI등재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 도구개발

        성은현(Sung Eun Hyun),성소연(Sung So Ye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수업을 참관하면서 수업 관련 요소와 창의성 교육 요소를 준거로 수업담당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과 창의성 교육 요소들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요소는 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 인적ㆍ물적 자원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 요소는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 요소로 나타났다. 수업을 참관한 초중등학교 교사와 교장 교감 44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평가하는 수업요소 20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0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일성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동질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Soh(2000)의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사행동평가척도(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를 통해 수렴타당도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창의ㆍ인성 연구학교와 일반학교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연구학교가 일반학교보다 평균값이 높았으나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과 수렴적 사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한계가 소개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asking teachers of what are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four hundred forty five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and we develope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analy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Soh's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 We foun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and general school except the components of personal/physical resources and convergent think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배성아(Bae, Sung Ah),성소연(Sung, S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 한 4년제 대학교에서 2014학년도 2학기 중간고사 전 2주 동안 수집한 322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성격강점,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변인에서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측정변인들 간의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성격강점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자기조절 학습을 경유하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주도학습이 성격강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성격강점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대학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고 활용하여 우수한 결과와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대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 administered a survey to and collected data from 322 student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 weeks before mid-term of fall semester in 2004.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ost subcategories of the three variables showed difference among grades. Last, character strength ha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a mediat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finding of the study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strength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university plays a role in helping students find and utilize their character strength to improve their grades.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배성아(Bae Sung Ah),성소연(Sung S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4년제 대학교 3곳의 재학생 397명(남 217명, 여 18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지지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대학생에게는 부모의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고, 다른 변인들에서는 각각 진로계획과 학업계획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지지는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보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사회적지지가 자기주도학습에도 영향을 주지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때 자기주도학습을 보다 더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케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 교수, 친구 등의 사회적지지자들이 대학생에게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지지해 주면 이들은 더욱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해 나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We collected data from 398 students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Seoul, Kyung-gi, Chung-nam reg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the results, first,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Especially, for college students, parents support has the greates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In the other variables, career planning and school industry were the most influentia. In addition,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ated by self-directed learning than on direct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social support has an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but has an effect of increasing self-directed learning when increas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learner can learn more self-directly if the students support the learner so that the social supporters can increas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임민택(Min Taek, Lim),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아동의 특성, 현재 실행하고 있는 창의성 교육 방법과 이상적인 창의성 교육방법, 창의성 교육의 방해요인을 알아보고, 창의성 교육을 위해 시급히 필요한 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아동의 특성은 인지, 성격, 행동의 측면으로 나누어지며 인지적 측면에서는 독창성을, 성격적 측면에서는 호기심을, 행동적 측면에서는 언어적 표현을 대표적인 창의적 아동의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창의성 교육을 위해 현재 실행하고 있는 교육방법은 학생들을 존중하고 격려하고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상적인 창의성 교육 방법은 학생들을 존중하고 격려하고 ‘유아중심’ 교육을 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창의성 교육의 방해요인으로는 ‘융통성 없는 수업’, ‘권위적 규칙중심의 분위기’,‘주입식 교육’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이 계속 이루어져야하며 교육환경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reative children's traits, creativity education method which is ideal and currently executed, obstacle factors against creativity education and to recognize urgent necessity for creativity education. For this, open typ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64 kindergarten teacher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raits of creative children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re classified into tree aspects: cognition, personality, and behavior. Regarding typical traits of creative children, originality was recognized in cognitive aspect, curiosity was recognized in personality aspect, linguistic expression was recognized in behavioral aspect. Second, currently executed education method for creative education is respecting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and make many questions. And the teachers answered ideal creativity education method is respecting and encouraging the students and conducting children centered education. Third, regarding obstacle factors against creativity education, ‘inflexible instruction’, ‘prescriptive atmosphere’ and ‘cramming education’showed highest frequenc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for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executed continuously and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김은영(Kim Eun Young),성소연(Sung S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사회적지지와 취업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구조모형 검증으로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취업준비행동 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논의를 얻었다.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 계를 확인한 결과,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 자아탄력성과 취업준비행동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적지지와 취업준비행동 간에는 일부 요인 간에 다소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로써 사회적지지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취업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자아탄력성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지지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며, 취업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지를 함에 있어서 자아탄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내적․외적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취업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대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study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by verifying structural model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key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tions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ego-resilienc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a somewhat low static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s allowed us to infer that social support has a greater indirect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ego-resilience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affect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showed that social support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ego-resilience. This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is a factor that affects ego-resilience,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ego-resilience in social support in order to increas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providing the basis for programs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employment preparation.

      • KCI등재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성은현(Eun Hyun Sung),성소연(So Yeon Sung),김누리(Noo ri Kim),Young Suk Hw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교사 스스로 수업계획과 실행 단계 각각에서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ㆍ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중등학교 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전과 수업중각각에 대해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5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15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일성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동질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oh(2000)의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사행동평가척도(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를 통해 수렴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계획과 실행의 측면을 나누고, 수업의 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점이 소개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self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each period of plan or execute the instruct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asking teachers of what are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two hundred forty five teachers, and we developed fifteen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fteen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analy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Soh's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each period of plan or execute the instruction.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and general school except the components of personal/physical resources and convergent think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