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개흉폐생검으로 확진된 신장이식 후 발생한 흉강내 Kaposi육종 -1례 보고-

        성기익,김영태,성숙환,김주현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4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received immunosuporessive agent are in high risk of development Kaposi's sarcoma. In Korea a few report of Kaposi's sarcoma has been pubilshed but any report of intrathoracic Kaposi's sarcoma provedn by open lung biopsy has not been pulbilshed until now. We report a case of intrathoracic Kaposi's sarcoma developed in a 25 year old Korean man, who had been operated renal transplantation due to end stage renal disease and received cyclosporine and prednisolone as immunosuppessive agent, without any other organ involvment and was proven by open lung biopsy. Although discontinuation of immunosuppressive agent, temporary symptomatic and radilolgic improvement were observed, he died 11 days later after open lung biopsy because of intractable resiratory failure.

      • KCI등재

        면역학적 처리 없는 이종 심장 판막 도관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성기익,서정욱,김원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

        배경: 심장판막 및 그 주변의 큰 혈관들의 내피세포는 다른 부위와 달리 훨씬 완화된 면역 반응을 보이는 것에 착안하여, 고정액이나 면역학적 처치를 거치지 않은 이종 판막의 대동맥 판막의 임상적 유용성을 돼지-염소 간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 이식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 폐동맥 판막도관은 특별한 면역학적 처치를 거치지 않은 채 준비하여 인공심폐기 가동 하에 염소의 우심실 유출로에 이식하였다. 염소들은 군당 2마리씩 배정하여 이식 후 하루, 1주, 3개월, 6개월, 12개월 동안 각각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하기 전 심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판막의 움직임을 관찰하였고, 이종 장기를 적출한 후 판막도관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총 12마리 중 10마리에서 정해진 기간 동안 생존하였다. 이식된 폐동맥의 전벽의 동맥류가 12개월과 3개월 관찰한 각각 한 마리의 염소에서 발견되었다. 심초음파 검사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폐동맥 판막 폐쇄부전의 소견을 보였으나 판막의 협착이나 혈전형성, 증식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이식 세포의 핵은 핵농축 및 핵융해를 통해 없어졌지만, 이식된 이종 판막도관의 세 구역(폐동맥, 폐동맥 판막, 누두부)은 구조가 보존되면서 점차적으로 시간에 따라 숙주 세포로 대체되었다. 결론: 면역학적 처리를 거치지 않은 이종 폐동맥 판막도관이 돼지-염소 간 이종 이식실험에서 다소의 문제점이 발견되기는 하였지만 성공적으로 숙주 세포로 대체되어 기존의 조직판막의 대안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중혈관 관상동맥 환자에서 Y-문합을 이용하여 양쪽 내흉동맥만을 사용한 우회술의 조기 성적: 관상동맥 조영술 분석

        성기익,이영탁,박계현,전태국,박표원,한일용,장윤희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3

        Early Result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with Purely Bilateral InternalThoracic Arteries Using Y-anastomosis in Multiple Coronary Artery DiseasePatients: Coronary Angiographic AnalysisKiick Sung, M.D.*, Young Tak Lee, M.D.*, Kay-Hyun Park, M.D.*, Tae-Gook Jun, M.D.*Pyo Won Park, M.D.*, Il Yong Han, M.D.*, Yunhee Chang, M.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활동성 심내막염에 대한 조기 수술의 단기 성적

        성기익,박표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11

        Short-Term Results of Early Surgery for Active Infective Endocarditis 배경 : 활동성 심내막염의 외과적 치료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조기 수술에 대한 좋은 보고들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활동성 심내막염에 대한 수술 결과를 수술 전 항생제 사용기간에 따라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3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활동성 심내막염으로 삼성서울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받은 환자 51명에 대해서 후향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남녀 성비는 39:12였고, 평균 연령은 44.5±17.8세(범위 : 13~74세)였다. 감염된 판막은 승모판막이 17례(33.3%), 대동맥판막이 15례(29.4%), 승모판막 및 대동맥 판막이 12례(23.5%), 삼첨판막이 5례(9.8%)였다. 그 중 인공판막 심내막염이 10례(19.6%)였다. 감염 균주는 포도상구균이 19례(37.3%), 연쇄상구균이 17례(33.3%), 장내구균이 3례(5.9%), 진균이 3례(5.9%), 기타균이 5례(9.8%), 균주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가 6례(11.8%)였으며, 4례(7.8%)에서는 2가지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 환자들을 수술 전 항생제 사용기간에 따라 2군으로(A : 7일 이하, B : 8일 이상) 나누어 두 군간의 수술 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 A군은 16명이었으며 B군은 35명이었다. 판막륜 재건을 A군에서는 10례 (62.5%), B군에서 10례(28.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수술 후 조기 사망은 B에서 1례 있었다. 2명을 제외한 49명(96.1%)의 환자에서 추적관찰이 이루어졌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8.7±23.6개월로 재발은 A군에서 1례, B군에서 2례 있었다. 만기 사망은 B군에서 3례에서 있었다. 재발률과 생존율 모두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활동성 심내막염에서 조기 수술하는 경우도 수술 전 항생제를 충분히 사용한 경우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여 활동성 심내막염의 조기 외과적 치료가 효과적으로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23.Witchitz S, Regnier B, Wolff M, Rouvieux E, Laisne MJ Surgery in infective endocarditis. Eur Heart J 1984;5(suppl C):87-91.

      • KCI등재후보

        급성 상행대동맥 박리증 수술에서 액와동맥 삽관술의 역할

        유지훈,박계현,박표원,이영탁,김관민,성기익,양희철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5

        배경: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 수술 시 대퇴동맥이 동맥삽관 장소로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관류장애 및 역행성 색전증의 발생 위험이 적은 액와동맥삽관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대퇴동맥 삽관술과 액와동맥 삽관술을 이용한 수술성적을 비교하여 액와동맥 삽관술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0월부터 2001년 9월까지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으로 수술을 받은 7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전의 상태, 수술범위 및 방법, 수술 후 경과를 분석하였다. 대퇴동맥삽관은 40명으로 평균 연령은 57세, 액와동맥삽관은 31명으로 평균 56세였다. 결과: 액와동맥군의 평균 체외순환시간과 순환정지시간은 각각 207분과 39분으로 대퇴동맥군의 263분과 49분보다 의미있게 짧았고(p<0.05), 수술 후 입원기간 역시 액와동맥군에서 15일로 대퇴동맥군의 35일에 비하여 의미있게 단축되었다(p<0.05). 수술 후 사망률(액와동맥군 6.5%, 대퇴동맥군 10%)과 영구적 신경계 합병증 발생률(액와동맥군 3.2%, 대퇴동맥군 2.5%)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시적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률은 액와동맥군에서 12.9%, 대퇴동맥군에서 25%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대퇴동맥군 중 2명의 환자에서 수술 중 대동맥궁 분지의 관류 부전이 발견되어 삽관 위치의 변경이 필요하였다. 액와동맥 삽관에 따른 합병증으로는 1명의 환자가 정중신경 손상을 경험하였다. 결론: 급성 상행대동맥박리증 수술에서 액와동맥 삽관은 뇌허혈시간의 단축과 이에 따른 수술 후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률을 낮추는 데 기여하는 안전한 술식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에 따라 대동맥궁에 내피 손상부위가 있는 환자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수술 적용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Non-Surgical Resolution of Inflow Cannula Obstruction of a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A Case Report

        이윤서,성기익,김욱성,정동섭,신성호,조양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2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4 No.6

        A 55-year-old woman who had received an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3 months earlier presented with dyspnea and a low-flow alarm of the device. Computed tomography and log-file analysis of the device system suggested inflow cannula obstruc- tion. Since the patient had cardiogenic shock due to pump failure, venoarterial extracor- 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initiated. With ECMO, surgical exchange of the pump was considered. However, the obstruction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t turned out that an obstructive thrombus was washed out by rebooting the pump. Moreover, the thrombus was embolized in the patient’s left subclavian artery. The patient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4 months after the pump obstruction accident and continued to do well.

      • KCI등재

        일차 심장 이식 후 발생한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의 치료로서의 심장 재이식 −1예 보고−

        심만식,성기익,김욱성,이영탁,전은석,박표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1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3 No.1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CAV) is a major factor that limits the long-term survival after cardiac transplantation. Because the main feature of CAV is a diffuse stenosis that predominantly develops in the distal arteries, reperfusion therapy has shown poor outcomes. The results of cardiac retransplantation for CAV are better than that for acute resection and the survival is identical to that of patients who undergo primary transplantation. We describe a case of performing cardiac retransplantation in a 28 year-old male patient with refractory CAV and who underwent primary transplantation due to dilated cardiomyopathy 8 years previously. Cardiac allograft vasculopathy (CAV)는 심장 이식 환자의 장기 생존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원위부 혈관의 미만성 병변을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재관류요법을 적용하기 어렵고 성적이 좋지 않다. CAV에 대한 치료로서 심장 재이식은 급성거부반응으로 재이식을 하는 경우보다 예후가 좋고 일차 심장이식 후의 결과와 비슷한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28세 남자 환자로 8년 전에 확장성 심근증으로 일차 심장이식을 받은 뒤 만성 거부 반응으로 CAV가 발생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을 시행하였으나 재협착과 심부전의 반복으로 더 이상의 재관류요법이 어려운 환자에게 심장 재이식을 하여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Diagnosis of Graft Infection Using FDG PET-CT

        심훈보,성기익,김욱성,이영탁,박표원,정동섭 대한흉부외과학회 201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5 No.3

        Graft infections after aortic replacement are a rare, but severe complication. Because surgical removal of the infection source is essential, an accurate diagnosis is required to prevent unnecessary treatment. Both of the patients described herein were diagnosed with graft infections using dual-modalit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one patient was a false-positive, and the other was confirmed with an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