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곱셈의 연산 성질을 강조한 초등 수학 수업에 따른 3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선우진,방정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3 No.1

        초등학교 수학에서 최근 대수적 사고의 중요성과 함께 수와 연산의 성질을 암묵적으로 다루기보다 그 자체로 의미 있게 탐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곱셈 단원을 재구성하여 연산의 성질을 지도한 후,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가 어떻게 신장되었는지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3개의 학급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곱셈의 연산 성질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체로 곱셈의 결합법칙, 교환법칙, 분배법칙을 (두 자리 수)×(한 자리 수)의 맥락에서 적용하는 문항,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맥락에서도 연산 성질이 적용되는지 추론하는 문항에서 정답률이 향상되었으며, 일부 학생들은 연산 성질에 대해 일반화해서 설명하는 능력이 신장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수학에서 연산 성질을 지도하는 방안과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algebraic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it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that the properties of number and operations need to be explored in a meaningful way rather than in an implicit way.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ird graders could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operations in multiplication after they were taught such properties through a reconstructed unit of multi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ents from three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completed pre-test and post-test of the properties of operations in multi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post-test most students were able to employ the associative property, commutative property, and distributive property of multiplication in (two digits) x (one digit) and were successful in applying such properties in (two digits) x (two digits). Some students also refined their explanation by generalizing computational properties. This paper closes with some implications on how to teach computational proper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 KCI등재

        LPA 분석을 활용한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

        선우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학연구 Vol.32 No.2

        Although interest in lesson design has been increasing among mathematics teacher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analyze the mathematics lesson design. Given this backgound, this study explored prior studies to extract four elements for analyzing lesson design and collected 104 lesson plans from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lesson designs. This study then analyzed their lesson plans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ith four elements (i.e.,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tasks, considering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connecting to mathematics content, and assessment). The results show that mathematics lesson plans designed b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lesson design that lacks understanding of learning goal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 lesson design that indicates superficial consider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a well-prepared lesson design with all of the elem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mathematics lesson design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s well as subsequent research. 최근 수학 교사의 수업 설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수학 수업 설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 수업 설계를 분석할 수 있는 네 가지의 기준(수학적 과제에 대한 이해, 학생의 수학적 사고 고려, 학습 내용에 대한 연결성, 평가 계획)을 도출한 후 예비 초등 교사의 수업지도안 104편을 수집하여LPA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는 크게 학습목표와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수업 설계,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대해 피상적으로 고려한 수업 설계, 잘 준비된수학 수업 설계라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수업 목표에 대한 명확한인식과 설정이 수학 수업 설계의 토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 설계에 대한 교사 교육 측면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선우진,방정숙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4

        Although the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important among teachers’ professional noticing,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such ability among Korean teachers. This study surveyed 95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n aim to investigate their responding ability with five sub-components. A written assess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tudents’ solution strategies regarding four operations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whole nu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ny teachers were able to identify the core mathematical elements in the student's strategy, interpret the student's strategy by us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terms, and suggest an appropriate teaching method. However, some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pose inappropriate problems or provide superficial teaching methods in response to th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t was unusual for them to anticipate the student's future strategie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aspects that are further needed for prospective teachers to promote their ability to respond to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교사의 전문적인 노티싱 중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반응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러한 능력에 대해 자세히 분석한 연구는 별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연수의 사칙연산별로 초등학생의 해결 전략을 제시하고 95명의 예비 교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5가지 하위 요소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은 학생의 해결 전략에서 주요한 수학적 요소를 인식하였고 적절한 수학 개념이나 용어를 사용하여 학생의 해결 전략에 대해 추론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도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예비 초등 교사들은 피상적인 수준에서 지도 방안을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생의 향후 전략까지 고려하며 반응하는 경우는 드물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 교육에서 학생의 수학적 사고에 반응하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남자 태권도 선수에서 고비중 리포단백 콜레스테롤 (HDL-c)과 체력 및 성호르몬 종합단백 (SHBG)과의 관련성 분석

        선우진,박수복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2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physical fitness evaluated by speed at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OBLA-SP), sex hormones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SHBG) o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in 12young male players. These players has a higher level and wide range of intraindividual variance (44 to 93㎎/㎗) for HDL-c. The serum estradiol level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pprotein AI(ApoAI), and serum testosterone level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both HDL3-C and apoprotein AⅡ(ApoAⅡ). The SHBG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both HDL-c and HDL2-C. Age, certain anthropometric parameters such as percentage body fa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distribution evaluated by waist to hip ratio, and physical fitness levels were not associated with HDL-c and other lipids and apoproteins. Three results suggest that the HDL-c level in Taekwondo player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not only male but also female hormones, and SHBG, being independent of ag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level.

      • KCI등재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범자연수 곱셈의 연산 성질을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비교·분석

        선우진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初等 數學敎育 Vol.22 No.3

        범자연수의 곱셈을 개념적으로 의미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곱셈의 연산 성질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논문은 한국, 일본, 미국의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범자연수 곱셈의 연산 성질을어떻게 지도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곱셈의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을 처음 도입하는 맥락, 연산성질을 활용하는 맥락, 연산 성질을 일반화하는 맥락으로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지도 맥락에서 어떠한 시각적 모델을 사용하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나라는 (한 자리 수)×(한 자리 수)의 지도 맥락에서 곱셈의 연산 성질을 처음 도입한다는 점, 곱셈의 연산 성질을지도할 때 세 나라가 모두 유사한 시각적 모델을 사용한다는 점 등에서 공통적인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두자리 수 이상의 곱셈에서 곱셈의 연산 성질을 활용하거나일반화하는 맥락에서는 나라별로 지도 방안의 측면에서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초등학교 수학 교육에서 범자연수 곱셈의 연산 성질을 지도하는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ven though the properties of operations in multiplication serve a fundamental basi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multiplication with whole numbers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in this field.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tructional methods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operations in multiplication (i.e., commutative property of multiplication, associative property of multiplication, distributive property of multiplication over addition) in a series of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and the US. The overall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a) when and how to deal with the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in three instructional context (i.e., introduction, application, generalization), and (b) what models use to represent the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howed that overall similarities in introducing the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in (one digit) x (one digit) as well as emphasizing the divers representation. However, subtle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nalyzed in applying and generalizing the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some implications on how to teach the properties of operations in multiplication proper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 John Donne's "Holy Sonnets" as Poetic Devotion

        선우진 서울신학대학교 2004 교수논총 = (A)collection of treatises Vol.16 No.-

        사무엘 존슨은 “시적 헌신”은 실패할 운명에 처해져있다고 말 한다: “묵상 적 경건, 혹은 하나님과 인간의 영적인 교통은 시란 형태로 표현할 수 없다. 그의 창조자의 자비를 구하고 그의 구세주의 공로를 노래하는 인간은 이미 시가 부여할 수 없는 어떤 초월적 경지에 이미 도달해 있기 때문이다.” 존슨에 의하면 과장된 시어는 영혼의 운명을 좌우하는 쟁점들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다; 영적인 생과 사의 절박함은 상상할 수 있는 그 어떠한 창조적 영감도 초월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존슨의 주장은 명상적 시의 순수성에 대한 의심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존 던 과 같은 17세기 영국시인들의 작품을 살펴보면 이들에게서 종교와 시 사이에 어떤 한 대립도 발견할 수가 없다. 오히려 이들은 다윗의 성시라는 최상의 문학적 선례에 기원을 두는 시적 형태에서 하나의 신성한 시적 양식을 발견하고 있다. 존 던의“시적 헌신”들은 이 양식 속에서 다양한 표현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들은 하나님에게 불평과 찬양을 늘어놓기도 하고 그들 삶에 대한 자기반성을 하며 하나님의 가르침을 살펴보기도 하고 하나님을 연인으로 표현 하며 그들의 신앙심을 검증하기도 한다. 신학을 헌신 및 예술과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시적 헌신”은 지성과 영혼에게 “환희”와 함께 도전을 제공한다.

      • KCI등재

        Laughing at Church Abuse in Chaucer’s The Canterbury Tales: Satire as a Tool for Reform

        선우진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4 현대영어영문학 Vol.6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satire to criticize church abuse in Chaucer’s Canterbury Tales. Humor, wit, laughter and irony abound in the descriptions of clerical characters in The Canterbury Tales. And, through satirical and humorous ways in which they are depicted, The Canterbury Tales is intended to enlighten and educate the audience to the abuses of the Church. The point of Chaucer’s anticlerical satire is to underscore the “morally reprehensible disjunction between religious precept and religious practice.” The satire is directed against individual clerical figures who are guilty of abusing their clerical office rather than against the whole clerical status per se. The proof of this lies in the omission of the higher clergy from the General Prologue and most of the tales themselves as well as singling out for satire, marginal figures such as the Friar or the Pardoner for satire. In so doing Chaucer is careful to contain his biting anticlerical satire in The Canterbury Tales from devolving into a sharp cleavage and redirecting it towards “moral and spiritual self-evaluation.”

      • KCI등재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계산 원리에 대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직사각형 배열 모델을 중심으로

        선우진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학연구 Vol.30 No.2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distributive property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providing explanations for multi-digit multiplication of whole numbers, the array model has been widely used to teach distributive property effectively.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ird graders could understand multiplication in (two digits) × (two digits) and how their understanding could be expanded and applied to algebraic ideas after being taught reconstructed units of multiplication using the array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students represented the principle of computation between two-digit number and two-digit number using the array model as well as reasoned which picture represented the product of two numbers. Also, the participating students successfully applied the principle to the computation between three-digit number and two-digit number, and some students represented the product of two numbers by using variables (e.g., □, △). This paper concludes with some implications on how to teach multiplication of whole numb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분배법칙은 범자연수의 곱셈 계산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원리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직사각형 배열 모델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의 A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모눈종이를 사용하여 (두 자리 수)×(한 자리 수)와 (두 자리 수)×(두 자리 수)를 지도한 후 학생들이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계산 원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나아가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계산 원리를 대수적인 아이디어로 확장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A초등학교 3학년 87명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계산 원리를 모눈종이에 나타내고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눈종이 그림을 보고 어떤 두 수의 곱을 나타낸 것인지 추론할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은 (두 자리 수)×(두 자리 수)의 계산 원리를 (세 자리 수)×(두 자리 수)의 맥락으로 적용할 수 있었고, 일부 학생들은 임의의 변수를 사용하여 두 수의 곱을 나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범자연수 곱셈을 지도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