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선택속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서초구를 중심으로

        서희봉,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5

        Residential environment is not only the physical aspects affected b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 social , economic , cultural , etc. are closely related to many environmental factors. This research is based on choice attribute theory that substantially explains how housing choice attributes affect loyalty via image, perceived value in Secho. This paper investigate empirically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properti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oyalty, moderating effect of image and perceived value. Results were comput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of choice attribute are divided into six factor, such as regional reputation, green environment, convenience, property value, safety, housing statu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housing choice properties gives a positive influence to the loyalty. Second, testing its mediating role, I use the three regression equation models by Baron and Kenny. When the mediator effect of image, perceived value was represented, the effect of image and perceived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the mediating role of image and perceived value was supported. It means the higher image and perceived value can enhance loyalty of Secho. 주거환경은 거주자의 독특한 특성에 영향을 받는 물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등 많은 환경적 요소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주거선택속성의 이론을 바탕으로 서초구의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경험적으로 주거환경의 선택속성이 애호도와의 관계에서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설문지를 배포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선택속성은 지역 명성, 녹색환경, 편리성, 부동산 가치, 안전성, 주택상태의 6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 주거선택속성은 애호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사용한 결과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는 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매개효과가 규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초구의 애호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요소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지각된 가치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강하구 수변경관에 관한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정량적 평가 분석 연구

        서희봉(Seo, Hee Bong),맹형재(Maeng, Hyeon Ja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교량건설, 택지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한강하구만의 경관을 고려하지 않고 토목과 건설 위주로 수변경관의 훼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경관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프랙탈 이론을 바탕으로 자연환경과 조화로운 구조물 경관의 평가방법을 공학적 접근방법이 아닌 디자인적 관점에서 정량적 형상경관으로 연구했다. 연구방법으로 경기도 경관관리 기본계획(2000.11), 경기도 경관계획(2010.4) 보고서와 한강유역환경청의 연구보고서 및 한강과 인접해있는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의 경관계획 보고서의 비교 분석,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논문과 도서,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로 진행됐다. 또한 자연과 조화로운 경관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프랙탈 분석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경관과 인공적인 경관을 비교 · 분석하는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는 서울시와 인천시 구역을 제외한 김포에서 파주까지의 한강하구를 공간적 연구 범위로 하였고 한강하구 수변경관에서 자연스러운 경관과 인공적인 경관을 구분하는 프랙탈 분석에 의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까지를 내용적 범위로 하였다. 이전까지의 프랙탈 분석을 적용한 일부 사례가 있지만 대부분 도시공간 · 교량경관과 같은 공학적 접근방법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아직까지 디자인 관점에서 수변경관에 대한 형상론적 접근방법인 정량적인 평가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그래서 한강하구 수변경관이 가지는 형상경관을 분석한 결과, 프랙탈 특성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경관과 인공적인 경관과는 형상의 프랙티티와 프랙탈 차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경관설계는 설계자 등의 주관적인 평가로 진행되어 왔지만, 연구 결과 프랙탈 특성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자연스러운 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형상경관 분석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설계 · 경관평가 시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을 만들어내기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 프랙탈 특성이 활용되길 기대한다. In regard to all sort of development works such as bridge construction, housing land development, and so on, civil engineerings and constructions without regard of the Han River Estuary’s representative waterfront frequently harm representative waterfront. Therefore, this research based on Fractal theory for seeking efficient Urban Landscape Management System studied structure landscape evaluation method harmonious with natural environment not from a engineering perspective but from a design perspective. As the method of the research, I investigated basic landscape management scheme of Gyeonggi-do(2000.11), reports of landscape planning of Gyeonggi-do(2010.4), research reports of H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comparison analysis of reports about landscape planning of Gimpo, Paju, and Goyang,domestic and foreign database using Internet, books and publications. Also, using Fractal theory which can quantitatively evaluate landscape harmonious with nature, I compared and analyzed natural landscape and Artificial landscape. The scope of study is the Han River estuary from Gimpo to Paju excluding Seoul and Incheon. The content range is quantitative appraisal by Fractal theory that distinguishes natural and artificial landscape in the Han River estuary. Although there were some examples applying Fractal analysis before,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Civil engineering landscape like city and bridge scenery. Quantitative assessment which is an approach quantitative method about waterfront landscape in the design perspective is inadequate yet. Therefore, as a result of form analysis of the Han River estuary’s landscape, natural landscape and artificial landscape are different fractal dimension in morphological fractal characteristic. Although landscape design has been proceed by subjective valuation like designers until now,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shape landscape analysis is possible which assesses objective and natural landscape using fractal 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ult, while in landscape evaluation and design, I expect that Fractal theory will be used as landscape analysis frame to make harmonious space with natural and artificial landscape.

      • KCI등재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서희봉(Hee Bong Seo),맹형재(Hyeon Jae Mae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2

        최근 디자인의 경향은 물질 만능주의가 가져온 인간성 부재를 인식하고 자연적인 흐름과 정신적 안정을 위하여 단순하고 순수한 것을 추구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앞으로의 디자인이 나가야 할 대안적 측면으로 기존 서양의 미니멀리즘과 는 다른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의 미니 멀리즘 디자인의 특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에서 발간된 일본 디자인 관련 보고서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논문과 도서, 출판물 등을 조사하였다. 서양의 미니멀리즘과 젠 스타일의 미니멀리즘이 디자인에 미친 영향과 차이점에 대한 것은 각각에 반영된 사상들에 대한 객관 적인 기술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범위는 서양의 미니멀리즘의 발전과정과 영향을 끼친 사상들 그리고 메이지유신(Meiji Restoration 1868년) 이후부터 일본 현대디자인에 나타난 젠 스타일의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와 디자이너까지를 연구 범위로 하였다. 연구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젠 스타일의 미니멀리즘 디자인은 와비·사비(侘寂)의 정신으로 물질적인 단순함이 아닌 고유의 정체성을 살려 일상의 소박함을 강조함으로써 과잉미학(過剩 美學)을 제거미학(除去 美學)으로 대치시켰다. 둘째, 슈타쿠(手澤)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손때가 묻어 인간과의 관계가 지속되면서 물성이 깊어져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을 일상생활에 반영해오고 있다. 셋째, 기능을 염두에 둔 단순하고 간결한 아름다움을 추구한 무인 양품(無印良品)의 디자인 전략과 실현 방안이 일상의 생활 속에서 상품화로 실현되었다. 본 연구는 서양의 물질중심인 디자인 사고와는 다른 동양적 미학을 바탕으로 한 젠 스타일의 미니멀리즘 디자인 사고가 앞으로의 디자인 관련 문제 해결 및 디자인 분야의 정신적 가치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recent design trend pursues something simple and pure for natural flow and mental stability, recognizing the absence of humanity which has resulted from the materialism. To keep up whit this trend,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Orient-centered minimalism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Western ideas,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future design, by considering minimalism characteristics in Japanese contemporary design. For this study, Japanese design-related reports published in Korea,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D/B, papers and books, and publications were examined. And also, the effects and differences of Western and Zen-style minimalism were analyzed based on the ideas that have been reflected in each design and objective descriptions. This study designates range fro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fluencing ideas of Western minimalism, to application cases and designers of Zen-style minimalism in Japanese contemporary designs since the Meiji Restoration in 1869. This study’s contents and result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Zen-style minimalism design is spirit of Wabi- Sabi, which is not material simplicity, but emphasis on the routine simple utilizing innate identity, which substitutes over-aesthetics for de-aesthetics. Second, in daily life is reflected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like Syutaku to become hand-stained, keep relation with people, deepen a property of matter, and finally be used for a long time. Third, design strategy and realization plan of MUJI pursuing simple aesthetic taking function into account come to the realizations in daily life. This study anticipates that unlike Western materialistic designed-thought, Zen-style minimalism designed-thought based on Oriental aesthetics can be used for solving design-related problem as well as practical use as a spiritual value in fields of design.

      • KCI등재

        루쉰의 신흥 목판화 운동에 나타난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이소,서희봉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u Xun in the emerging woodcut movement by analyzing the Western creative printmaking techniques introduced by Lu Xun during the movement and Lu Xun’s ideas of enlightenment, equality, and personal self-reliance in the works of the young Chinese printmakers of the time, to find its significance as the first art movement to take place in China. The research method will first analyze on Lu Xun’s thought according to current social structure and people’s life after study abroad. Secondly, during the beginning of the modern woodcut movement in 1930 to Lu Xun’s death in 1936, the woodcut exhibition held by Lu Xun, woodcut magazines and the activities of the modern woodcut association led by Lu Xun as the center, try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woodcut and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woodcut movement. Thirdly,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research on the evaluation from Lu Xun to the modern woodcut product and promoted the modern woodcut movement reflected in the ≪Complete Works of Lu Xun≫, ≪Lu Xun's Letters≫ and ≪Lu Xun’s Diary≫ in order to grasp Lu Xun’s aesthetic feature. At last, base on the”Everything””Thinking””Beautify” Utilitarianism Art, democratization of art from the Modern Woodcut moveme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first art movement in China, in order to solve the design problem faced by China now. Lu Xun’s aesthetic feature is to guide the modern woodcut artists while start the modern woodcut movement that all classes can understand and resonate through visual image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Lu Xun’s unique aesthetic feature appeared in the modern woodcut movement, which hope to arouse the real enlightenment and resonance of the public.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the modern woodcut is an assistant to help the public establish self-enlightenment. 본 논문의 목적은 신흥 목판화 운동 중 루쉰이 도입한 서양창작 판화 기법과 당시 중국 청년 판화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루쉰의 계몽·평등·개인의 자립사상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에서 일어난 최초의 미술운동으로서의 의미를 찾아봄으로써 신흥 목판화운동에 나타난 루쉰의 미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첫째, 루쉰이 귀국한 후 중국 내의 사회 구조 현황과 인민 생활에 나타난 루쉰 사상에대한 분석이고 둘째, 1930년 신흥 목판화 운동의 시작에서부터 1936년 루쉰이 사망하기까지 전개된목판화 전시, 간행된 목판화 잡지 및 신흥 목판화 단체 활동을 중심으로 신흥 목판화의 발전 과정을이해하고 신흥 목판화 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셋째, 문헌고찰을 통해 <루쉰전집>, <루쉰서신집>, <루쉰일기> 등 표현된 루쉰의 신흥 목판화 운동에 대한 추진 방법과 작품 평가에 나타난 루쉰의 미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신흥 목판화 운동에 나타난”만물””자기인식””미화” 공리미술과민주화 사상을 바탕으로 중국 최초의 미술 운동으로서의 의미를 찾아내어 현재 중국의 미술이 겪는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루쉰의 미학적 특성은 신흥 목판 화가들을 지도하면서 모든 계층이 이해하고 시각적 이미지를 통하여 공감이라는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신흥 목판화 운동을 진행한다. 연구 결과 신흥 목판화 운동에는 민중의 진정한 계몽과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루쉰만의 미학적특성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신흥목판화의 역할이 대중들에게 자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 계몽의 조력자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젠 스타일(Zen Style) 디자인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맹형재,서희봉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Japan has been striving to keep its own tradition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have its own identity through a dynamic modernization process. Such efforts began to bear fruit in the late 20th century with the ‘Zen Style’ trend, and by the 21st century, Japanese design has led the world’s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 of how a ‘Zen style’ design, which deviates from materialism and seeks spiritual fulfillment and value based on zen meditation ideas, has been formed. As a research method, we adopted a method to investigate a wide range of Internet-based database with reference to Japanese design-related papers, books, reports published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Japan’s natural, geographical, religious, traditional culture, and folk arts movements as internal factors of ‘Jen style’ design formation, and the world’s design contemplation and Bauhaus’ basic formation education as external factors, respectively, were included in the study. ‘Zen style’ design is based on zen meditation ideas, and seeks to give spiritual fulfillment with refined design expression through pure abstract language, away from materialism resulting from over-supply of material. In the end, the meaning of ‘Zen style’ design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been elevated from a design that pursues material value to one that pursues spiritual value, based on Oriental antiquity. Therefore, I believe that by identifying the cause of how ‘Jen style’ design was formed, we can confirm the meaning of Orientalcentered design values. At a time when materialism prevails amid a sense of crisis over an uncertain future and a flood of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Zen style’ design thinking, different from Western material-oriented design thinking, will be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s of future design. 일본은 역동적인 현대화 과정을 거쳐 오면서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갖기 위해 디자인분야에도 고유의전통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 노력이20세기말 ‘젠 스타일’ 유행에서부터 결실을 맺기 시작하더니,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일본 디자인은 기능성과 단순한 형태의 심플한 디자인으로 세계 디자인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선(禪)사상을 기반으로 물질로부터 벗어나 정신적인 충족감과 가치를 추구하는 젠 스타일 디자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에서 발간된 일본디자인 관련 보고서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논문과도서, 출판물 등을 조사하였다. 일본식 젠 스타일 디자인형성의 내적(內的)요인으로일본의 자연과 지리, 종교, 전통 문화와 민예운동을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외적(外的)요인으로는 일본 젠스타일 형성과정에 영향을 준 디자인 사조와 바우하우스 기초조형교육 등을 연구의 범위로 하였다. 젠 스타일 디자인은 선(禪)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젠 스타일은 물질의 과잉공급에서 물질로부터벗어난 순수추상 언어의 정제된 표현으로, 디자인을매개로 정신적인 충족감을 주는 데 있다. 즉 젠 스타일 디자인의 의미는 동양고유의 미학을 토대로 디자인의 대상을 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대상에서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대상으로 끌어올린 것에 있다. 따라서 젠 스타일의 디자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한 원인을 파악해 봄으로서, 동양 중심적 디자인가치에 대한 의미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서양의 물질중심인 디자인사고와는 다른 동양적 가치가 담긴 ‘젠 스타일’ 디자인과 사유 방식, 접근방식등은 미래 디자인의 제반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종합병원 방문환자의 동선구조에 따른 사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안내, 유도, 기명사인을 중심으로 -

        오가기,서희봉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With the complexity of spatial function, the internal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s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he moving route of outpatients becomes more and more complex.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ffective sign system that minimize the error of information recognition by outpatients through sign system cognition within the general hospital. For outpatients’ way finding in general hospital complex space-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Identification Sign are important p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clude the modeling and visual elements of sig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te relationship between outpatients and sign system, analyze the effective sign system brought by the complex moving route of outpatients, combined with the spatial structure to minimize the information cognitive errors for out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First of all, literature research uses relevant books, advanced research papers, characteristics of general hospital’s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s and types of sign system. Secondly, the empirical study selected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use Bluetooth equipmen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and Identification Sign from outpatients. Thir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put forward the design scheme to solve the problems of general hospital sign system arising in the moving route of outpati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ranged location of sign system can affect outpatients' moving route based on the type of outpatients moving route, and the effects and influences of sign system can be different.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specific sites in general hospitals and outpatients moving route structure, based on Announcement Sign, Guidance Sign, Identification Sign. Therefore, although the research is restricted, it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and offer help on sign systems when more public spaces use it. 공간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종합병원 내부 환경의 정보량은 증가하면서 방문하는 환자들의 이동동선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그래서 방문 환자들이 내부 사인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 줄이면서 좀더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종합병원의 복잡한 동선에서 방문환자의 길 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안내·유도·기명사인은 사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 방문 환자와 사인의 장소적 관계성이라는 측면에서 사인의 조형·시각적 요소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고 방문환자의 복잡한 동선에 따른 효과적인 사인 시스템을 분석하고 공간 구조와 결합해 종합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정보 인지 오류를 최대한 줄이는 사인 시스템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는 관련 서적, 선행연구 논문, 종합병원 진료의 특성과 사인 시스템의 개념, 종류에 관한 연구 자료를 활용한다. 둘째, 실증연구로는 서울지역의 종합병원 4곳을 선정한 뒤, 블루투스 기기를 활용하여 방문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한 동선을 기록하고 종합병원 안내·유도·기명사인의 현황을 조사한다. 셋째,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방문 환자의 동선에서 나타나는 종합병원 사인 시스템의 문제들을 종합하여 사인 시스템의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인의 배치 위치는ᅠ방문 환자의ᅠ동선에ᅠ영향을ᅠ주기때문에 연속성을 가져야하며 동선 유형에 따라 사인의 영향과 역할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종합병원을 방문하는 환자의 동선 구조를 기초로 하는 안내·유도·기명사인에 국한되며 앞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더 많은 공공공간 사인 시스템에 적용 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하라 켄야의 ‘백(白)’ 특성에 관한 연구 -무인양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맹형재(Maeng, Hyeon Jae),서희봉(Seo, Hee B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일본 현대디자인은 세계2차 대전 후 재건의 과정에서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보다 가장 먼저 서양의 디자인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일본만의 독자적인 디자인 사고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 70년대 이후 일본만의 독자적인 미의식인 와비 · 사비의 빈곤함 속에서 마음의 풍요를 즐기는 절제, 단순성에서 미를 찾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의 순수성과 여유로움, 정신적 안정이라는 와비 · 사비의 삶과 문화를 추구하는 디자이너 하라 켄야의 디자인 사상 ‘백(白)’의 특성과 무인양품 디자인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한국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해 보고 향후 디자인 관련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햅틱’, ‘리디자인’, ‘디자인의 디자인’ 등의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하여 하라 켄야의 디자인 철학을 파악한다. 둘째, ‘백(白)’에 관한 특성을 도출하고 셋째, 무인양품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백(白)의 특성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백(白)’ 특성을 바탕으로 향 후 한국의 정체성과 고유성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이 겪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연구 결과 무인양품은 기본적인 것은 일본의 전통문화와 생활양식에 기반을 둔 디자인을 실행하고 있었고 대중들의 생활패턴이나 요구사항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나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한국과 같은 아시아 문화권인 일본의 대표 디자이너 하라 켄야의 디자인 사상인 ‘백(白)’의 특성과 무인양품 디자인의 사례를 참고하여 디자인 철학의 감수성, 아이디어의 수용성, 노 디자인의 절제미, 디자인의 확장성 등의 사례분석을 통해 한국 디자인의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가 한국적인 문화를 바탕으로 고유성과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Since Japan embraced the western design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in asia while restoring the country after world war Ⅱ, the modern design of Japan sought for ideas that are unique to the country. As a result, certain beauty has been found in moderation and simplicity, where one relishes the richness of one’s mind amid the poverty of Wabi-sabi, the unique Japanese aesthetics that emerged after the 1970’s. This study examines the “white” design philosophy of Kenya Hara, who pursues the life and culture of Wabi-sabi including the innocence and composure of nature and mental relaxation, together with his designs for Muji.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design of Korea, and provide theoretical and organized academic resources so that it can benefit the future development of design-related industries.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by studying Hara’s various writings as references, such as “Haptic,” “Re-design,” and “Designing design,” I will grasp Kenya Hara’s philosophy on design. Second, I will deduce characteristics of “white,” and third, I will clarify how characteristics of “white” has been applied through analyzing cases from Muji. Lastly, based on deduced characteristics of “white,” I will propose ways to solve possible problems in the future in design development reflecting Korea’s uniqueness and sense of identity. In conclusion, Muji on a basic level has been producing design that is based on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lifestyle, while actively embracing the life patterns and demands of the mass, transforming them as their ow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provide a vision for the design of Korea by analyzing the cases of sensibility of design philosophy, accomodability of ideas, aesthetics of moderate design, and expansibility of design. In doing so, this study has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hite” design philosophy and the cases of Muji designs, promoted by the renowned Japanese designer Hara who belongs to the same cultural zone in asia. I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material for developing design that is based on the Korean culture and reflects the country’s uniqueness and sense of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