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발달장애 학생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 개발 및 활용

        서효정,박윤정,신소은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6 No.2

        This article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to support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using the developed framework to establish the basis for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n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field. First, we analyzed the framework of the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CCR) in the United States. A total of 20 experts in the field of transition education participated in Delphi surveys on content validity and field suitability to modify the U.S. CCR framework, and to make it adequate for a domestic situation. In consequence of the iterative refinement process, the Korean version of the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framework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and included 6 domains, 16 subcategories, and 58 indicators. Seco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unit objectives of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using the proposed framework. The relevance rate between the developed CCR framework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low at 29.3% in total, and only 11 out of 16 subcategories were related to the unit objectives. Based on the results, the article provides implications for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CCR framework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for enhancing efforts to improve student capacities for college. 이 연구는 중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대학 진학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현재의 국내 실정에 맞추어 개발하고, 개발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로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교육현장에서 보다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미국의 진학 및 진로를 위한 준비 역량(College and Career Readiness, CCR) 체계를 분석하고 전환교육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및 현장적합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게 CCR 체계를 수정·보완하였다. 그 결과, 6개 대영역, 16개 하위영역, 58개의 세부요소로 구성된 중등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중등 발달장애 학생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를 활용하여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 단원목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과의 관련성 비율은 전체 29.3%로 다소 낮은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전체 16개 하위영역 중 11개 하위영역만이 단원목표와 관련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대학 진학 준비 역량 체계의 개발 의미와 중등 발달장애 학생들의 대학 진학 준비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환자경험 변인 탐색: 중회귀 및 수정된 ISA를 통하여

        서효정 한국병원경영학회 2022 병원경영학회지 Vol.27 No.2

        Purposes: This study tried to extract variables affecting patient-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in hospital situation, using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ISA(Revise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and to explore variables needed to be improved. Methodology: A mobile-based online patient-experience survey was conducted in eleven general hospitals in A city.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test, this data was compared with the data from Health-Inst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n,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extracted from 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importance scale to be used in ISA. Finding: Taken together, the areas with the highest contribution for the in-hospital patient-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were medication and treatment process and hospital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revised ISA which can show satisfaction and importance both with simultaneously and multi-axis way would be useful in hospital improvement activities. Prac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mobile-based patient-experience survey, and to extract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patient-satisfaction level and to identify variables need to be improved. Finally, this should help hostipals to prepare the assessment process with various improvement activities.

      • 한국 청소년의 건강행동과 사회적 지지

        서효정 한국사회학회 2009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Vol.2009 No.1

        Since both health-related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have been neglected in the field of studying the adolesc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 among the adolescents. Still, main focus is to observe what exactly types of them tend to have a high or low level of social support in terms of health-related behaviors. In order to congregate with the purpose a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behavior and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was analyzes with Socioeconomic Statu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testify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behavior and social support. Consequently four different results were revealed. 1) Eating habits were highly affected by an appraisal support from father and interaction with parent. 2) Regular exercise is fully influenced by friends endowing an appraisal support. 3) While the parent acts as a buffer to prevent risk-behaviors by proving both emotional and appraisal support, friends offer totally opposite types of social support which promotes to do risk-behaviors. 4) School grade is highly related with every realm of health-related behaviors which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Thus, this paper suggest that different types of support and network for health-related behaviors are required to improve and develop health of the adolescent ultimately.

      • KCI등재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 2002-2013년 국내 중재연구를 중심으로

        서효정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2

        Adaptive behavior, along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iagnosing intellectual disability over last several decad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daptive behavior in liv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literature review examined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that aimed to improve levels of adaptive behavior demonstrated by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the criteria identified in this study, a total of 80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3 were included. Once selected, each stud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variables: (a) study topics (initial topics to categorize studies: an overall adaptive behavior, conceptual skills, social skills, and practical skills), (b) publication years and journals, (c) participants, (d) research methods, (e) interventions (independent variables), and (f) dependent variables. Based upon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re provided as follows: (a)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participants, (b)collaborating with family or other service providers to improve students`` levels of adaptive behavior, (c) taking advantage of the technology (especially the use of smart-phones), and (d) enlarging and/or balancing research areas of adaptive behavior.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증진은 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학생 및 학생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적인 영역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에 발표된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과 관련된 국내 중재연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적응행동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80편의 중재연구를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에 따라 1차적으로 분석을 하고, 발표 연도 및 학술지에 따른 연구 분포, 연구대상, 연구방법, 중재프로그램(독립변인), 측정변인 (종속변인)의 5가지 주제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적응행동 중재연구는 2000년 초반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고, 연구대상자가 저학년일수록 의사소통기술 및 기능적 학업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단일대상연구를 활용한 적응행동 중재연구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중재가 학교 내부의 환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중재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지역사회 중심교육과정, 활동 중심 프로그램, 자기결정 증진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적응행동의 하위 기술은 몇몇의 제한된 기술에 다소 편중되어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 KCI등재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적용한 영어 문식력(Literacy) 학습이 초등 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문식력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효정,배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초등학교 영어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영어 리터러시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부산지역 A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4명의 영어 학습 부진 아동이었고, 4명의 영어 학습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2012년 9월 10일부터12월19일까지 주 3회 30분씩10주 동안 연구자에 의해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활용한 영어 리터러시 학습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4명의 영어 학습부진아 모두 중재를 시작한 후,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기초선 구간보다 향상되었고, 그 행동은 영어 학습에 있어서 유지 및 일반화 되었다. 중재 기간 동안 실시된 영어 리터러시 영역 성취도 평가에서도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일반화 이후 실시한 리터러시 각 영역인 파닉스, 유창성, 어휘, 읽기에 관한 사후 시험결과 역시 사전 시험보다 전 영역에 걸쳐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영어 학습부진아들이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영어 학습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키울 수 있었고, 기존의 교사 주도적 학습부진아들을 위한 영어 지도법 및 지도 자료가 아닌 학생 주도적인 학습전략의 활용으로 영어 학습부진아들의 리터러시 학습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SDLMI) on the English literacy abilities including phonics, fluency,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comprehension for English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classroom.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four English underachievers was employed and four forth-grade English underachiev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four students studied English literacy content for one semester. Using the SDLMI, the students set their goals, developed action plans, implemented and adjusted their plans, and evaluated their progress. The entire study took 12 weeks to complete as a format as one-on-one instruction, and each intervention session ranged from 20 to 30 minu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four students in this study achieved and maintained self-selected goals to mastery levels. All four students showed positive achievement in their English literacy abil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In addition, all four students reached the goals which they set by themselves for English literacy achievement, including fluency and vocabulary knowledge. In conclusion, the SDLMI with English literacy learning program customized for underachievers appeared to be effective in assisting underachievers in their affective domains, self-directed learning, as well as their English literacy abilities.

      • KCI등재

        Hemodynamic Significance of Internal Carotid or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Detected o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서효정,Jefferson R. Pagsisihan,팽진철,최승홍,천기정,정준기,이동수,강건욱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5 Yonsei medical journal Vol.56 No.6

        Purpose: We evaluated hemodynamic significance of stenosis o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using acetazolamideperfusio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Materials and Methods: Of 171 patients, stenosis in internal carotid artery (ICA) and middle cerebral artery (MCA) (ICA-MCA)on MRA and cerebrovascular reserve (CVR) of MCA territory on SPECT was measured using quantification and a 3-grade system. Stenosis and CVR grad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ir prognostic value for subsequent stroke was evaluated. Results: Of 342 ICA-MCA, 151 (44%) presented stenosis on MRA; grade 1 in 69 (20%) and grade 2 in 82 (24%) cases. DecreasedCVR was observed in 9% of grade 0 stenosis, 25% of grade 1, and 35% of grade 2. The average CVR of grade 0 was significantly differentfrom grade 1 (p<0.001) and grade 2 stenosis (p=0.007). In quantitative analysis, average CVR index was -0.56±7.91 in grade 0,-1.81±6.66 in grade 1 and -1.18±5.88 in grade 2 stenosis. Agreement between stenosis and CVR grades was fair in patients withlateralizing and non-lateralizing symptoms (κ=0.230 and 0.346). Of the factors tested, both MRA and CVR were not significantprognostic factors (p=0.104 and 0.988, respectively), whereas hypertension and renal disease were significant factors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ICA-MCA stenosis detected on MRA does not cause CVR impairment despite a faircorrelation between them. Thus, hemodynamic state needs to be assessed for evaluating significance of stenosis, particularly inasymptomatic patients.

      • KCI등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주력하고 있는 교육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및 키워드 분석

        서효정,박윤정,한경근,전병운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4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et goals and to evaluate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goals so as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a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pecifi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97 special educators and 26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examined thre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analyzing goal contents and categor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examining student demographic variables that impacted the goals that teachers and students listed; and Research Question 3: identifying the primary key words in teachers’ and students’ goals).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First, the goal contents (social vs. academic vs. non-academic goals) and goal categories (outcome- vs. process-orient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severity of disability was the only factor that impacted specified goal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 the key words from specified goal contents varied between two groups, indicating the word cloud configuration of center and peripheral areas was distin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ut goals from both groups primarily focused on non-academic goa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장애학생이 스스로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하는 일련의 과정은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 197명과 특수교사가 지도하는 265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3가지의연구문제(연구문제 1: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연구문제 2: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변인 탐색, 연구문제 3: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진술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 파악)를 살펴보았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는 목표 내용(사회적 vs. 학업적 vs. 비학업적 목표)와 목표 범주(결과 중심 vs. 처리 중심)간에 차이가 나타나 각 목표 내용 및 목표 범주의 비율이 두 집단 간에다르게 보고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개인적 변인(학년, 교육배치 환경, 장애정도) 중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은 장애학생의 장애정도(경도 vs. 중등도 vs. 중도 + 최중도)로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진술한 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는 중심부와 주변부를 이루는 단어들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키워드는 대부분 비학업적 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DEA를 이용한 붉은대게 어업의 TAC제도 도입효과 분석

        서효정,박철형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3

        Overexploitation of fishery resources is a serious problem faced by Korean adjacent water. With the exploitation, the reduced resources has accelerated reductions in catch and production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 adopted ‘Total Allowable Catch system(TAC)’ in 1999. However, there has been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herefore, this study had performed Efficiency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AC system is related to resources management and whether it has improved the fishery productivi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red crabs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species of TAC system. Efficiency is measur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DEA). Analysis used the annual data(1993~2013)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production efficiency. The results by DEA method showed the production efficiency has been improved since the enforcement of TAC. CRS TE has been improved by 36% with the introduction the TAC system, VRS TE by 26%, and SE by 17%. All of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uper-Efficiency analysis also ended up with the same results. It has to be pointed up that the level of fishery resource has been recovered with TAC and hence there has been increase in ABC. The over 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us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the production efficiency in red crabs with the introduction of TAC. 정부에서 수산자원의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TAC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AC 제도가 어업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DEA를 이용하여 붉은대게의 연도별 생산효율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1993년부터 2013년까지 수집된 통계청의 연도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정책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TAC 효과 반영 이전과 이후로 기간을 나누어 생산효율성 변화를 비교해 보았다. 통계적으로 붉은대게의 TAC 효과는 제도 도입 3년 이후부터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DEA 분석결과 TAC 제도의 효과가 반영된 이후가 그 이전에 비해 생산효율성이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제도 도입이후 CCR 모형의 효율성은 약 100% 개선되었으며 BCC 모형에서는 약 38%의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적으로 TAC의 실행이후 자원이 회복되어 ABC 수준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TAC 제도가 붉은대게의 생산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서효정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self-determin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provided instructions leading to improv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336 teachers (Four teacher groups; 79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88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72 elementary special educators, and 97 secondary special educator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in areas of the choice making, decision making, and self-management/self-regulation and (b)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provided instructions in areas of choice making,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self-advocacy/leadership, self-management/self-regulation, and self-awareness across subgroups of teachers. The perceived importance on each of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self-determined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actually provided instructions, although different patterns emerged across teacher groups. Finally, the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students’ school liv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tailed results and implications to promot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자기결정행동을 구성하는 7가지 하위요소(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문제해결하기, 목표설정 및 달성하기, 자기옹호 및 리더쉽, 자기관리/자기조절하기, 자기인식하기)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교수 실행정도, 자기결정이 학생의 학교생활 및 성인생활에 미치는 이점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총 336명으로 일반교사가 167 명, 특수교사가 16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다변량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자기관리/자기조절 기술에서 교사집단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문제해결하기, 자기옹호하기/리더쉽, 자기관리/자기조절하기, 자기인식하기의 영역에서교사 집단별 교수실행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요도 인식정도와 교수실행의 상관관계는 교사 집단별로 다른 패턴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이 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학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일반 중등교사와 특수 중등교사의 인식정도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제안들이 제공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