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만족도, 교육성취 및 취업지원 참여도, 직무일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화정(Seo Hwa Joung),김병주(Kim Byoung 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교육만족도, 교육성취 및 취업지원 참여도, 직무일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2011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1GOMS1)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들이 대학 재학 중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에 만족할수록 취업 후 직무만족도, 직무내적만족도, 직무외적만족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는 직무만족, 직무내적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않지만, 직무외적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한 직무내용이 교육수준ㆍ기술수준ㆍ전공과 잘 부합할수록 직무만족도, 직무내적만족도, 직무외적만족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 조사를 통하여 이를 반영하여 양질의 교육인프라를 제공하고 맞춤형 교육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능력을 잘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취업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일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개인은 자신의 능력과 맞는 일자리를 찾기 위해 구직활동을 활발하게 하여야 할 것이며, 대학은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직무와 능력에 맞는 맞춤형 취업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degree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n programs for getting employment, and job match on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d employe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apted. 2011GOMS(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1) of KEIS(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re college graduates satisfied educational infra and curriculum of their colleges, the more they satisfied their jobs after employment. Secondly, participation of college graduates on programs for getting employment at colleges affect not on internal satisfaction but on external satisfaction of job. Thirdly, the more the work of employees coincided with level of education and skill and specialty, the more they satisfied their job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should provide good educational infra and design custom-made curriculum based on the survey on students' needs. Secondly, universities should provide various and systematic programs for getting employment of their students. Thirdly, job match should be raised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Students should search jobs fitting their capability actively, and universities provide custom-made information of employment fitting their graduates capability.

      • KCI등재

        취업준비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병주(ByoungjooKim),서화정(Seo, Hwa-J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3GOMS1)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할수록 취업 이후의 직무만족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일치의 매개효과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에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교육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도 하지만 직무일치라는 매개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취 업지원프로그램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프 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졸업이후 취업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졸업 후 직무일치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시절의 대학 교육만족도가 중요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o accomplish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for this study. 2013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s. This mean that job satisfaction after being employed is raised a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provided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was high. Secondly,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ffect negatively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his mean that employment support program not for consider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 of students but for raising just participation rate don't contribute to raise job satisfaction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Thirdly, mediating effect of jab match is valid in rela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job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mediated by job match.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job match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while they are in universities. Raisi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is to rais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So in order to raise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effort to raise and manag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DEA기법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율성 분석

        김무영(Kim, Moo-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DEA(자료포락분석)를 활용하여 전문계 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5개의 투입변수와 3개의 산출변수가 사용되었다. 투입변수는 학생 100명당 교원수, 1급 정교사 비율, 장학금 수혜율, 학생당 방과후 학교 지원금액, 학생당 교육비이며, 산출변수는 국어, 영어, 수학의 학업성취도 수준이다. 특히 방과후 학교의 투입 정도가 중요한 투입변수의 하나로 설정된 것은 선행연구와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분석대상은 종합고등학교를 제외한 전국의 472개 전문계 고등학교로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에듀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율성을 100% 달성한 학교는 10% 내외에 불과하였다. 둘째, 수도권 학교와 광역시 지역의 학교가 비수도권과 도지역의 학교에 비하여효 율성이 높았다. 셋째, 규모가 클수록 효율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설립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보다 효율성이 높았다. 다섯째, 단성 학교의 효율성이 남녀공학보다 높았다. 여섯째, 수준별 이동수업과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효율성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몇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효율적인 특성화 고등학교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학생의 학업성취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절한 투입 및 산출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학교의 투입변인을 다양하게 분석하고 평가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학교의 효율성 분석에만 근거하기 보다는 질적인 접근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향후 자료가 축적되면서 종단적인 분석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엄격한 판단은 다른 효율성 측정방법에 의한 결과와 함께 보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mparative efficiency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by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techniqu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view on precedent studies about DEA and analysis of efficiency was conducted. Based on theoretical review, totally five input variables and three output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Number of teachers per one hundred students, ratio of senior teachers. ratio of scholarship recipients, amount of grant for after-school program per student, and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were included to input variables, and result of school achievement test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were included to output variables. Inclusion of amount of grant for after-school program per student as an input variables in the analysis is the main difference of this study from other preceding stud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2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Edu-data offered by KERIS(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Effici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nalyzed by DEA techniqu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s that achieved 100% efficiency were just 10 percent of total schools. Secondly, school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were more efficient than schools located in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Thirdly, efficiency of schools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udents of them. Fourthly, private schools were more efficient than public schools. Fifthly, girl’s or boy’s(one sex) schools were more efficient than coeducational schools. Sixthly, schools those did not operate special programs such as differentiating teaching classes by level of achievement and English program were more efficient than schools those did them.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than half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efficient comparatively.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reasonable input and output adjustment is required. Secondly, more analysis on economy of scale in vocational schools is needed. Thirdly, schools should not be evaluated by just efficiency. More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analyzing efficiency of schools. Fourthly, longitudinal analysis is needed when longitudinal data are accumulated. Fifthly, comparative efficiency analyzed by DEA should be complemented by other various methods of analyzing efficiency.

      • KCI등재

        신규 대졸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변인 분석

        김병주(Kim, Byoung-Joo),서화정(Seo, Hwa-Jo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4

        본 연구는 신규 대졸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대학 수준 변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0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0GOMS1) 자료와 각 대학이 대학알리미 사이트에 게시한 2009년도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다층모형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대졸자의 취업에 개인 배경변인과 대학 배경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 및 취업준비 노력 변인이나 대학 여건 및 재정 변인을 통제해도 여전히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 및 취업준비 노력 변인 중에서 전공, 자격증, 어학연수, 취업관련교과목, 취업경력프로그램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지원 중 교육인프라 만족도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여건 및 재정 변인은 취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인 배경 변인이나 대학 배경 변인과 같이 대졸자 스스로의 노력으로 바꾸기 어려운 변인들이 취업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만, 교육 및 취업준비 노력과 교육지원이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취업준비 노력을 통하여 취업성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의 여건 및 재정과 교육적 지원 노력은 그다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신규 대졸자의 취업 성과에 있어서 교육재정적 투자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지만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신규 대졸자의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 and university variables affecting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Logistic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ere adopted. 2010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Higher Education(AcademyInfo)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variables affecting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were academic major, certificates, overseas study for foreign language, employment related curriculum,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employment in efforts for preparing employment. Secondly, in efforts of university level, variables affecting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were degree of satisfaction for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irdly, finance of universities did not affect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students and universities affected first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Efforts for preparing employment should be made for increasing first 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 KCI등재후보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와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병주 ( Byoung Joo Kim ),박지윤 ( Jee Yun Park ),김무영 ( Mu Young Kim ),서화정 ( Hwa Joung Se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이 논문은 ‘인적자본 기업패널조사’(이하 HCCP) 4차(2011)년도 근로자용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유형화하고,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거의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둘째, 정규직 여부도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참여 유무와,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에 거의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를 하며, 직무능력 향상효과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연령에 있어서, 현장학습프로그램의 참여율은 나이가 적을수록 높았으나, 개별학습프로그램 참여 후 직무능력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넷째, 전반적으로 인식변인들은 참여율의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참여자가 인식하는 직무능력 향상효과(개별, 통합프로그램 참여 후)에는 제한적인 영향만 보여주었다.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정확하게 찾아내고, 해당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인적자원 개발 프로그램의 참여율과 직무능력 향상 효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divers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ograms and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s. To accomplish this purpose, logistic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for this study.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ex is a common variable that affects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 Secondly, regularity of job affects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participation in HRD program commonly. Thirdly, younger people more participated in field learning program than older people. Fourthly, perception variables affect improvement of participation rate, but they affect restrictively improvement effects of job ability perceived by participants. By means of finding variables affecting participation in HRD programs and removing the pertinent cause based on above diverse result, participation rate in HRD programs and improvement effect of job ability could be ra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