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콩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개선

        서형수,신두철 한국콩연구회 1989 韓國콩硏究會誌 Vol.6 No.1

        年間 約 40萬톤에 達하는 食用콩의 自給問題는 時急히 解決하여야 할 當面 課題이지만 蛋白質과 脂肪質의 含量이 높은 콩은 物質生産 및 蓄積過程에서의 生理的인 特性과 氣候, 土壤, 生産基盤 未備 等 不良한 栽培環境 및 耕地利用度 向上을 위한 2毛作 栽培의 構造的인 晩播로 他 作物에 비하여 收量과 經濟性이 낮은 實情인데 이와 같은 低收量-低所得-生産意慾低下-栽培管理 疏忽의 惡循環은 콩 增産의 커다란 制約要因이 되고 있다. 그러나 品種育成과 더불어 栽培技術開發 및 栽培環境 改善에 의한 增收可能性은 充分히 있다고 생각되며 그 方案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지금까지 開發된 品種을 利用하여 品種 特性에 맞는 密◎栽培와 早期播種, 土壤肥沃度 增進, 石炭施用에 의한 土壤酸度◎正, 土壤에 따른 適正量의 均◎施肥와 開花期의 窒素追肥 等 施肥法改善, 肥沃地나 遇策茂한 作況에서의 ◎芯, 新根發生 및 倒伏防止를 위하 培土, 播種 直後의 劑草劑 使用, 病蟲害防除를 위한 農藥使用 等 이미 開發되어 있는 栽培技術을 最大限으로 活用하여야 할 것이다. 2. 除草努力 節減을 위하여 콩의 生育中期에 使用할 수 있는 除草齊를 開發 普及할 必要가 있다. 3. 沓田◎換 및 田◎換沓에서의 콩 栽培方法과 沓前作 및 2期作用 콩 品種開發을 위한 硏究 等 논을 利用한 作付體系 改善으로 콩 栽培面積 擴大方法을 積極 硏究 檢討해야 할 것이며, 4. 生長調整劑 利用과 施肥法 改善에 의한 收量 增大方法을 模索하고, 우리 實情에 맞는 小型 農機械를 開發 普及할 必要가 있다. 5. 品種育成은 耐災害性과 良質 多收性을 主要 目標로 하여 왔으나 省力化를 위하여 無限伸育型으로서 키가 크며 倒伏ㅊ에 强하고 莖이 가늘며 成熟期가 지나도 莢의 自然開裂이 잘 되지 않는 것 等, 機械化 適性이 높은 品種을 育成할 必要가 있다. 6. 끝으로 農民들이 스스로 콩 栽培 및 單收向上을 위하여 힘쓰도록 誘導하여야 하는데, 增産意慾을 持續的으로 鼓吹할 수 있는 方法을 ◎究하여 栽培面積을 늘리고, 早◎被害를 防止할 수 있는 灌漑水利施設 및 機械化를 위한 基盤整備 等 콩 增産을 위한 政策的 支援이 必要할 것이다.

      • KCI등재

        CT영상의 텍스처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간종양 검출

        서형수,정민영,이칠우,Sur, Hyung-Soo,Chong, Min-Young,Lee, Chil-W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3 No.6

        의료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영상 데이터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 의료 영상의 해석을 위해서는 의사들의 육안 검사보다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자동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부 CT영상의 간 영역에 대해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을 이용하여 텍스처 정보를 취득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주성분 분석을 통해 간종양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간종양 검출은 명암도 한 가지 특징에 의한 방법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논문에서 CT영상에 대해 GLCM의 텍스처 정보 8가지를 이용해서 4개의 주성분 누적 영상으로 변환시켰다. 실험결과 4개의 주성분 누적 영상의 백분율 분산값은 89.9%였으며, 이를 명암도 한 가지 만을 이용한 간종양 검출방법과 면적을 비교했을 때 약 92%의 일치도를 보였다. 이는 영상데이터의 차원을 8개의 차원에서 그 절반인 4개의 차원으로 줄여도 간종양을 검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image data amount that used in medical institution with grea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s increasing rapidly. Therefore, people need automation method that use image processing description than macrography of doctors for analysis many medical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acquire texture information to using GLCM about liver area of abdomen CT image, and automatically detects liver tumor using PCA from this data. Method by one feature as intensity of existent liver humor detection was most but we changed into 4 principal component accumulation images using GLCM's texture information 8 feature. Experiment result, 4 principal component accumulation image's variance percentage is 89.9%. It was seen this compare with liver tumor detecting that use only intensity about 92%. This means that can detect liver tumor even if reduce from dimension of image data to 4 dimensions that is the half in 8 dimensions.

      • KCI등재

        맥류 내습성에 관한 연구

        徐亨洙 韓國作物學會 197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2 No.2

        맥류의 생육시기별로 토양수분을 과습과 과건상태로 처리하였을 시 맥류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기간중 토양온도는 표준구보다 습구는 0.8~2.1℃, 건구는 0.5~0.9℃ 고온으로 각각 경과하였으며 토양산화 천원전위(Eh)는 표준구에 비하여 건구는 차가 없었으나 습구는 현저히 저하하였다. 2. 초장은 습구에서는 근의 생육장해로 전기간을 통하여 생장이 저해되었으며 건구에서도 초기의 생육은 양호하였으나 한발기간이 길수록 양수분 흡수가 불량하여 절간신장기 이후에는 표준구보다 생육이 현저히 떨어졌다. 3. 본 시험에서 습해에 강하였던 품종은 생육초기의 초장이 짧고 경수는 많았으며 초형은 포복형이었으나 습해에 약한 품종은 이와 반대적인 경향이었다. 또 수확기의 수수는 품종간에 대차없었으나 습구와 건구는 표준구보다 적었는데 습구가 가장 적었다. 4. 성숙기의 토양 심도별 발근량은 습해에 강한 품종은 심근성으로 근수는 많았고 총 근장도 길었으나 습해에 약한 품종은 천근성으로 근수도 적고 총근장도 짧았으며 대부분의 뿌리가 표토 부근에서 사면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에서는 근수도 적고 근장도 짧았는데 특히 건구 뿌리의 대부분은 표토 부근에서 사면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또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에서는 근수도 적고 근장도 짧았는데 특히 건구 뿌리의 대부분은 표토 부근에 분포되어 있었다. 그리고 근태는 습해에 강한 품종이 약한 품종보다 굵고 표준구보다 건구의 뿌리가 가는 경향이었다. 본 시험에서 초형이 포복형인 뿌리는 심근으로 습해에는 강하였고 직립형인 뿌리는 천근성으로 습해에는 약한 경향이었다. 5. 근의 생리적 활력은 어느 시기에서나 습해에 강한 품종이 약한 품종보다 높았고 처리별로는 표준구가 높고 과습 과건순으로 낮았으며 유수형성기에 생리적 활력이 높은 품종은 초장이 짧은 반면 경수는 많았고 절간신장기 및 수잉기에 습구와 건구는 표준구보다 근의 생리적 활력이 낮아 간장은 짧고 경수는 적었다. 6. 유수형성기와 수잉기에 있어서 습해에 강한 품종은 약한 품종보다 생리적 활력이 높아 총근수는 많고 근장은 길었다. 또 어느 시기에서나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가 생리적 활력의 저하로 근수는 적고 근장은 짧았다. 7. 수량은 수수 수당입수 천립중등 수량구성요소의 감소로 표준구보다 습구와 건구가 감수되었으며 습구에서는 담수회수가 많을수록 감수율은 현저하였는데 그 피해정도는 습해에 약한 품종일수록 강한 품종보다 더욱 심하였다. 또 습구와 건구간의 수량 감수율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습구에서 수량감수율이 적은 품종은 건구에서도 적은 경향이였다. 한편 표준구에 비하여 습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절간신장기였고 건구의 수량감수가 심한 시기는 수잉기였다.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ous moisture levels on the top and root growth of barley and its yield. Resistant varieties to excess moisture injury shortened plant height, but tillered more, having creeping plant type compared with ordinary one, and greater portion of root of this varieties occured at the deeper soil depths with longer root length. However, susceptible one to excess moisture injury showed an inversed trend when compared with the untreated one. Oversaturated treatment compared with the untreated increased a little bit soil temperature and Eh of soil. Increased root activity and increased yield were obtained with resistant varietie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Lower root activity and less yield than those of the untreated were observed in both extreme treatments. Yield reduction in both the extreme treatments was mainly due to reduction of tiller number, grain number and 1, 000-grain weight. Highest yield reduction was marked at the stage of internode elongation in the oversaturated and at the booting stage in the overdrie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