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 또래, 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서현주(Seo Hyon ju),최형아(Choi Hyung Ah)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2

        The purpose on this study is to verify moderating effect about relationships of school teachers, parents and classmates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tress about academic performance and subjective happiness. This study uses research data in 2015 based on ‘Happiness Exponent between Children and Teenagers.’ Research target is the on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through total questionnaire 5,390 students, especially, consisted of 2,614 middle school students and 2,776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n this study;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regardless of students’grade is statistically to get meaningful negative a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Second, relationship with teens’mother is statistically a meaningful factor, to verify moderating effect, between stress about academic performance and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Finally,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as well as between par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affect link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in schools and homes to reduc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promote happiness. 본 연구에서는 중ㆍ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와의 관계, 부, 모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자료 중 2015년 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중 중ㆍ고등학생만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중학생 2,614명, 고등학생 2,776명으로 총 5,390명의 자료를 통해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ㆍ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는 학교급에 상관없이 주관적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에서는 모와의 관계가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부, 모와의 관계가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ㆍ고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감을 증진하기 위해 학교 및 가정에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서현주(Hyon-Ju, Se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2

        직업카드는 유희적이면서 자기이해 및 직업이해를 도와주는 장점과 유용성으로 2002년 국내에서 처음 개발된 이래 다수의 직업카드와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진로교육 및 상담장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이 대부분 소수의 집단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있어 그 결과를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업카드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개발한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효과크기들을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2014년까지 10여 년간 이루어진 석 · 박사 및 학술잡지에 게재된 논문 57편 중 국회도서관, 누리미디어 DB-PIA, 한국학술정보원의 온라인 검색 DB를 활용하여 원문을 제공하고 있으면서, 사전-사후 실험-비교집단 간 설계를 적용하여 직업카들를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고 있는 논문 12편을 대상으로 총 86건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36으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관련 변인별로는 진로성숙도가 1.56, 진로정체감 1.55, 진로자아효능감 0.65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집단구성원의 특징에 따른 효과크기를 성별(남/여/혼합)과 학교급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이상)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프로그램의 운영상의 특징을 참여인원별(10명이하, 11명~30명, 30명 이상), 회기별(1-5회기, 6-10회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도 모두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Vocational cards have merit of fun and enables understanding in oneself and a occupation. With its merit and availability, various forms of cards and its related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a career guidance and consultation since 2002, when vocational card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Besides many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ocational card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most of researches which have been performed till now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in minor group, so there are limits in understanding the results in an objective manner. Thu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vocational cards systematically and a meta-analysis is used to arrange the effect size of career guidance programs using vocational cards developed in Korea. For this purpose, 57 papers published in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2 to 2014 were selected. Among them, this study analysed over the 86 effect size of 12 papers, which provide the full text on web-sit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Nurimedia DB-PIA an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pplying pre-post test-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career guidance programs using vocational cards have significant effect as overall effect size was 1.36. The effect size of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self-efficacy was 1.56, 1.55 and 0.65 respectively. When looking at the effect size of gender(male/female/mixed) and schoolmate(elementary/ middle/high school and above)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members, significant effect size has been seen while looking at the effect size of the number of people taking part(10 people or less/11-30 people/more than 30 people) and the frequencies of program(1-5times/6-10times)separately, it is also seen to have significant effect size.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적용한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연구

        노경란 ( Roh Kyung-ran ),서현주 ( Seo Hyon-ju ),강옥희 ( Kang Ohk-h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2

        이 연구는 직업카드 개발 단계별 의사결정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직업카드 개발과정의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직업선정 기준, 직업정보의 종류, 직업카드의 개수 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직업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직업흥미유형`, `청소년 직업선호도`, `직업의 유망성`, `인력수요 전망에서의 유망성`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하는 일`, `되는 길`, `관련 학과/전공`, `업무수행능력`, `직업흥미유형`, `미래 전망` 등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직업정보로 도출되었다. 셋째, 청소년용 직업카드를 개발할 때 주요 의사결정 요소 중 하나인 직업카드(사실상 직업)의 적절한 개수 범위는 81-120개로 도출되었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제안된 직업선정 기준의 의미, 기존 적용되었던 직업선정기준과의 차별점 등 청소년용 직업카드 개발 및 활용에 대한 실천적 논의와 더불어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riteria for selecting an occupation, the sort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appropriate numbers of occupations (card) for developing employed.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vocational interest types, occupation preferences of youths, occupation opportunities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in-demand jobs were established as the criteria for selecting occupations. Second, duty and tasks, how to get a job, major, necessary job ability, vocational interest types, and future outlook were suggested as compulsory items for understanding occupational information. Third, the appropriate range of occupations was proposed from 81 to 120.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ncluded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vocational cards for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