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세 때의 전자매체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3학년 때의 또래애착 간의 관계에서 수면시간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박윤현(Pack, Yun Hyun),박지은(Park, Ji Eun),김대웅(Kim, Daewoong),서지연(Sheo, Jiyeon),최나야(Choi, Na Y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 수면시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4세 유아의 전자매체 놀이시간, 아동 수면시간 변화, 초등학교 3학년 또래애착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부터 10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 수면시간의 변화가 비선형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1,435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4세 유아의 하루 평균 총 수면시간은 9.9시간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면시간이 감소하였다. 둘째, 4세 유아의 전자매체 놀이시간이 아동수면시간 초기치 및 이차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전자매체 놀이시간이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총 수면시간이 감소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면시간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 수면시간 선형변화율 및 이차변화율이 초등학교 3학년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수면시간이 더 많은 아동이 또래애착을 더 잘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관계인 또래애착에 대해 비사회적 측면인 수면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사회 · 정서 발달 측면에서 아동의 생활습관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change in children’s sleep duration along wi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ctronic media usage time of four-year-olds, sleep duration and third-grader’s peer attachment. For this purpose, 6<SUP>th</SUP> year, 7<SUP>th</SUP> year, 8<SUP>th</SUP> year, 9<SUP>th</SUP> year, and 10<SUP>th</SUP>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Survey were used to examine whether children’s sleep duration changes in a nonlinear pattern and the suitability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ubjects include 1435 children. Results reveal several conclusions. First, average sleep duration of four-year- olds per day was 9.9 hours and sleep duration decreased with age. Second, electronic media usage time of four-year-ol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itial sleep duration and secondary changes in sleep duration. As electronic media usage time increased, the average sleep duration per day decreased and the ratio of decrease in sleep duration was greater with age. Third, both linear strain changes and secondary changes in sleep du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ird-grader’s peer attachment. Children with longer sleep duration formed better peer attachment. Overall findings suggest that nonsocial factors such as sleep duration can affect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hence, diverse aspects of children’s lifestyle are to be considered for their healthy socio-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K 유치원 교사들의 눈으로 바라본 스마트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박윤현(Pack, Yun Hyun),박지은(Park, Ji Eun),서지연(Sheo, Ji Yeon),김대웅(Kim, Dae Wo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육기관에서 스마트 미디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의 순기능과 한계는 무엇인지, 이 과정에서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미디어를 활동 교구 및 놀잇감으로 활용하고 있는 K 유치원 교사 9인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미디어는 유아의 주도적 지식탐구를 촉진하고, 호기심 증진을 통한 활동 확장에 기여하는 순기능이 있었다. 또한, 교사가 유아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아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대처하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순기능이 확대되기 위해서 모방을 위한 시범자 및 활용을 위한 조력자 역할이 교사에게 요구되었다. 둘째, 한계와 관련하여, 연령별 세분화 된 기능의 미비, 유해한 콘텐츠 노출 위험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사 간 스마트 정보격차가 존재, 교사교육의 부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교사에게 유아 발달 이해자, 균형 있는 사용을 위한 조절자 역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교사교육을 위한 후속연구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educational use of smart media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and the role of teachers required in the process. For the purpose of our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K-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been using smart media for the activity and playing in their classrooms.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utilization of educational smart media contributed to young children’s knowledge exploration and activity expansion through promoting their interests. Furthermore, smart media led teachers to encourage children’s participation and show immediate responses to children’s needs. Second, in terms of the limitations, educational smart media lacked specialized functions appropriate for each age group, and exposed children to harmful contents. Also, there are smart divide and lack of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eachers are required to fully underst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encourage children’s balanced media us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eacher training and further studie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흥미 및 불안 척도 개발

        최나야(Choi, Na-Ya),조혜정(Cho, Hye-Jung),강수정(Kang, Su-Jeong),서지연(Sheo, Ji-Ye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유아의 영어학습 흥미와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여, 유아 영어교육 환경의 적합성 검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련 문헌 고찰 및 아동학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척도의 구성요인을 수집하고 추출하였으며,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총 436명의 어머니와 담당 영어교사 4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개발된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흥미 척도는 흥미-교사관찰 (3문항) 흥미-어머니관찰 (12문항) 2개 요인의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불안 척도는 불안-교사관찰 (5문항)과 불안-어머니관찰 (4문항) 2개 요인의 총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구성된 척도의 하위 요인 내적 합치도는 .76부터 .92사이에 분포하였다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 척도의 Cronbach’s α값은. 91이었고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 척도는 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흥미 및 불안 척도는 안정되고 신뢰도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bjective scale to measure young children’s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anxiety. The preliminary scale of 34 items was first developed through the rigorous previous literature review with the terms - ‘interest’, ‘affective factors’, ‘learning English’, and ‘anxiety’-together with the experts’ content validation. The total of 436 mothers of 3- 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English teachers (42 teachers) were contacted to rate the preliminar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and AMOS 26.0 progra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two factors for ‘Interest toward English learning’ model: interest-observed by teachers and interest-observed by mothers. As for ‘Anxiety toward English learning’ model, anxiety-observed by teachers and anxiety-observed by mothers were also reveal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and validated the model fit. Also,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oss-validity were confirme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terest toward English learning’ and ‘Anxiety toward English learning’ were .91 and .76,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Young Children’s English Learning Interest and Anxiety Rating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