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을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도상과 신앙

        서지민 불교미술사학회 2020 불교미술사학 Vol.29 No.-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at was found to have been made in the second year of Yongtai(永泰)(766) is widely known as the initial work of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particular, since no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 made earlier than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India or China has been identified, there have been discussions from diverse viewpoints on whether the image was created in Silla or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this paper,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the hand mudra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follows the form of the bodhtagri-mudra described in the 『Zhufo jingjie shezhenshijing(諸佛境界攝眞實經)』 as it is, it was understood that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not made by modeling the maha-vairocana in vajradhatu images that were introduced from surrounding countries but was independently created in Silla based on the Esoteric Buddhist Monks’ scripture. In addition, by directly comparing the images of main Buddha statues in <The Painting of the Seven Locations and Nine Assemblies of Avatamska> in Tunhuang Mogao Cave no. 44 and those in the main Buddha statues in <The Paintings of the Seven Locations and Nine Assemblies of Avatamska> produced in the Wu Dynasty and Northern Song Dynasty periods with the imag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this study presented new grounds that support the theory that 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 images were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in India and China that were mentioned as grounds for the theory that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Buddha statues were introduced from elsewhere in related literature data were reviewed again in general but no example that can be directly compared with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fou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tathāgata type bodhtagri-mudra Vairocana Buddha statues were indewpendently created in Silla. In addition, since the originators and constructors of the Seongnamsa (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in the period of formation are estimated to be the Flower Boys(Hwaranngdo) and Buddhist monks, respectively, this study regarded that the style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could be shared with the Buddha statues in the capital of Sill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formation of the Seongnamsa(temple) Vairocana Buddha statue was a result of reflection of Hwaeom Buddhism’s pureland-belief what was popular at that time and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nd was praying for the repose of Duonaerang's soul while praying that the people would realize the nature of Buddha in their inner side so that they be reincarnated in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永泰2년(766)에 제작된 것으로 밝혀진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은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始原作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석남사 비로자나불상 보다 앞서 제작된 인도나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이 확인된 바 없어서 이런 도상이 신라에서 창안된 것인지 아니면 전래된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수인이 『제불경계섭진실경』에 서술된 지권인의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그 형태를 볼 때 주변국가 에서 전래된 금강계 대일여래상 등을 모본으로 조성된 것이 아니라 신라에서 중기밀교 경전을 바탕으로 독자적으로 창작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 돈황 막고굴 제44굴의 성당대 <화엄칠처구회도>를 비롯하여 오대와 북송대에 제작된 <화엄칠처구회도>의 주존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도상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 도상이 신라 창안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여래형 지권인 불상의 전래설의 근거로 거론되었던 인도와 중국의 여래형 지권인 불상들과 관련 문헌자료들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한 결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과 직접 비교될 수 있는 예는 없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은 신라에서 독자적으로 창안되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상기 중의 발원자와 조성주체가 각기 화랑과 승려낭도로 추정되기 때문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같은 시기 왕경지역의 불상 들과 불상양식을 공유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또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조성목 적은 당시에 유행하던 화엄정토신앙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신앙이 반영된 결과로써 두온애랑의 추복과 더불어 중생들이 내면의 불성을 깨달아서 연화장세 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하고 있다. 이러한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배경은더 나아가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앙적 특수성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 KCI등재

        EU 항공운송법 체제상 운송인의 수하물 책임과 책임한도액의 의미

        서지민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2

        This paper reviews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Case, SL v. Vueling Airlines SA [2020] Case C-86/19. The issue of this case is whether or not the compensation due under Article 17(2) of the Montreal Convention, read in conjunction with Article 22(2), to a passenger is payable on a fixed sum payable automatically to the passenger; and if compensation specified in Article 22(2) is not fixed and automatic, then how would the sum be determined. Article 17 of the Montreal Convention establishes air carrier’s liability for lost baggage. Article 22(2) limits liability of the air carrier to 1,131 Special Drawing Rights, unless the passengers make a special declaration of interest in delivery at the time of checking in the baggage. CJEU ruled that the sum provided for in Article 22(2) constitutes a maximum amount of compensation. The passenger concerned does not enjoy this sum automatically and at a fixed rate. It is for the national court to determine, within that maximum limit, the amount of compensation payable to that passenger in the light of the circumstances of the case. Also, the CJEU ruled that the amount of compensation due to a passenger must be determined by the national court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ble rules of national law,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evidence. However, those rules must not be any less favourable than those governing similar domestic actions and must not make difficult the exercise of rights conferred by the Montreal Convention. This paper analyzes some issues as to SL case by examining EU Regulations, legal theories and practical point of views. 본 논문에서는 2020년의 EU사법재판소의 SL 판결을 검토해 보았다. 사안은 여객의 분실 수하물에 대한 운송인 책임이 제기된 사건이다. 스페인 국내 여정에서 여객은 위탁수하물을 항공사에게 맡겼으나, 도착지에서 분실된 것으로 밝혀졌고, 이 수하물 분실에 관하여는 여객과 항공사 간 모두 인정한 사실이었다. 문제는 수하물에 관한 운송인의 손해배상액이었는데, 여객은 몬트리올 협약 제22조에 근거한 한도액인 1,131 SDR의 손해배상을 운송인에게 청구하였고, 운송인은 1,131 SDR은 자동적ㆍ고정적으로 정해진 배상액이 아니므로, 해당 청구액을 거절하고 250 유로의 배상액만을 지급한다고 한 것이다. 따라서 사안의 주요 논점은 운송인의 수하물 손해 배상액은 몬트리올 협약 제22조 제2항에 규정된 한도액인 1,131 SDR로 자동적ㆍ고정적으로 정해지는 것인가 여부였다. EU사법재판소가 언급한 바와 같이, 몬트리올 협약 제22조 제2항의 ‘한도액’은 자동적이며 고정액이라기보다는 운송인이 지급해야 할 ‘최대금액’이며, ‘초과할 수 없는 금액’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몬트리올 협약 제22조 제2항의 입법 취지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을 출발하여 외국으로 가는 항공여정에서, 여객이 수하물 가격을 신고하지 않은 채, 위탁수하물을 항공사에 맡겼고, 수하물이 멸실된 경우에, 본 사안과 유사한 책임 추궁이 제기되었다 하더라도, 본 판결과 동일한 해석론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즉, 1,131 SDR의 한도액은 어디까지나 운송인이 지급할 수 있는 동시에 초과 지급될 수 없는 최대 손해액일 뿐이며, 자동적ㆍ고정적으로 정해지는 배상액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린환경 요인을 고려한 카셰어링 대여소 배치 방안 연구

        서지민,석종수 한국ITS학회 2017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6 No.5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2016년 한 해 동안 운영된 카셰어링 업체의 차량 운행 기록을 바탕으로 카셰어링 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카셰어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요인을 규명했다. 카셰어링 이용자는 여성보다 남성이 많고 20·30대가 주를 이루며, 과거보다 이용 연령대가 넓어지고 단거리 이용이 증가했다는 특징이 있다. 음이항 회귀 모형을 활용해서 카 셰어링 이용과 근린환경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중교통 승·하차 인원이 많고 주거용 건물 연면적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카셰어링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카셰어링 차량 대여소를 선정할 때, 대중교통 이용이 활발하고 주거용 건물 비율이 높은 지 역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것이 카셰어링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arsharing use and reveale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carsharing use using the records of carsharing had been operated in Incheon during 2016. The records show a higher ratio of male users, a big portion of 20s and 30s, and ascending trends in the use of elderly people and short distances compared to the past.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sharing use an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using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It was found that carsharing was more active in areas where have many public transportation users and higher por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se areas can be suitable candidates for placing new carsharing rental sites to expect more active carsharing use.

      • KCI등재

        石窟庵 造營 배경과 본존불상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

        서지민 불교미술사학회 2019 불교미술사학 Vol.28 No.-

        The Buddha statue group in Seokguram in Tohamsan(mountain) in Gyeongju is an outstanding cultural heritage that represents the status of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of Korea to the extent that it is referred to as the best masterpiece in East Asian Buddhist art. In this paper, while reviewing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eokguram such as the period of construction, the main construct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and those Buddhist monks who lived there, for which previous scholars could not come to a consensus in the process of multilateral discussions about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thus f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idea of Uisang's View of Hwaeom School, which was leading the the Buddhist circle at the time, had a great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Seokguram.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Buddha statue that constitutes the core of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and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image, the Manjusri Bodhisattva image, and the Samantabhadra Bodhisattva image that form a special image system with the primary Buddha statue and the arrangements of the foregoing were interpreted with the viewpoint of the doctrinal of Hwaeom and grasped in the trend and context of Buddhist history with a view to newly understanding the religious meaning and nature of the forego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okguram primary Buddha statue is a Dharmakaya Buddha image that completely combines all the natures of the Shakyamuni Buddha image, the Amitabdha Buddha images, and the Vairocana Buddha image. The belief in the dignity of the One Vehicle Thoughts of Hwaeom as a master is surrounding countries in the same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Seokguram can be reconfirmed. 경주 토함산 석굴암 불상군은 동아시아 불교미술에서도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힐 만큼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위상을 대변하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그 동안 선학들이 석굴암 불상군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석굴암 조영 기간, 주체, 목적, 주석한 인물 등의 역사적인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을 재검토하고, 더 나아가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던 의상계 화엄종의 사상이 석굴암을 조영하는데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파악하였다. 다음 석굴암 불상군의 핵심을 이루는 본존불상, 그리고 본존불상과 삼위일체의 도상체계를 이루고 있는 십일면관음보살상, 문수보살상, 보현보살상 간의 관계와 배치를 의상계 화엄종의 화엄불신론에 입각하여 화엄교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하고 불교사적인 추이와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신앙적 의미와 성격에 대해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굴암 본존불상은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비로자나불의 성격을 모두 圓融하고 있는 화엄법신불임을 밝혔다. 이러한 華嚴一乘의 존격을 主尊으로 신앙하는 것은 신라 의상계 화엄종의 독자적인 교의체 계에 따른 것으로서 같은 시기 주변 국가들에서 신앙된 화엄법신불과는 도상과 성격 면에서 차별된다는 사실은 특기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석굴 암의 중요성과 위상을 재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직무역량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서지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취득하고 현재 교육 활동 중인 자를 대상으로 직무역량교육 관련 설문을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현재 활동 중인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대다수가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답자들이 가장 많이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은 예술가 및 공예가로서의 자신의 전문성 향상에 대한 부분으로, 그 의지가 높았다. 응답자들은 공예가 역할과 교육자 역할의 병행에 대한 부담, 그리고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그들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또한 응답자들이 받고 싶은 직무역량교육에 가장 많은 답변을 받은 부분은 공예와 타분야의 융복합에 대한 부분이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불안정한 고용상태 때문에 직무역량 강화교육 참여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고 답했다. 답변을 요약해보면, 응답자들은 직무역량 향상 의지가 있고 자신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알고 있지만, 고용이 불안정하고 교육준비를 위해 할애해야 할 시간과 비용이 많은 점이 직무역량향상교육 참여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 향상 교육에 대한 연구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국제항공여객운송에서 여객보상의 지급통화기준 - 2020년 EU사법재판소 Delfly sp. z o.o. vs. Smartwings Poland sp. z o.o. 판결을 중심으로 -

        서지민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1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6 No.4

        This paper reviews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Case, Delfly sp. z o.o. vs. Smartwings Poland sp. z o.o. [2020] Case C-356/19. In this case, the claimant had a booking for travel from a non-EU country to Poland. The flight was delayed for more than three hours, and so she was entitled to compensation amounting to 400 EUR under Regulation 261/2004. She brought her claim to the national court, requesting that the airline pay 1,698.64 Polish Zlotys, the equivalent to 400 EUR on the date of the claim. The airline contended that the claim should be rejected on the ground, inter alia, that the claim had been expressed in an incorrect currency. This ran contrary to national law provisions and case law, whereby the claim should have been expressed in euros instead. s ran contrary to national law provisions and case law, whereby the claim should have been expressed in euros instead. The issue is whether aggrieved passengers may demand compensation under Regulation 261/2004 in the currency of their place of residence, and whether this right took priority over any national law that precludes a claim in a national currency. The CJEU held that passengers must be entitled to claim for compensation in their national currency, for the principles of broad interpretation of the regulation and of equal treatment of aggrieved passengers to be upheld. This paper analyzes some issues as to Delfly case by examining EU Regulations, legal theories and practical point of views. 이상 여객보상의 지급통화기준이 논란이 된 2020년 EU 사법재판소의 Delfly 판결을 살펴보았다. 사안에서 원고는 비EU회원국에서 출발하여 EU회원국에 도착하였으나, 3시간 연착이 발생하였다. 원고는 EC 261/2004 규칙 제7조에 따라 피고 항공사를 상대로 금전보상청구를 진행하였다. 다만, 보상의 기준으로 EC 규칙에서 정한 유로화 기준이 아닌 폴란드 즈워티화로 보상액 지급을 요청하였다. 문제는 피고 항공사가 EC 261/2004 규칙 제7조가 명문으로 유로화만을 보상지급의 기준통화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원고의 보상청구를 거부하였다는 점이다. 그동안 EC 규칙상 금전보상의 지급통화에 대한 법리 해석은 EU 사법재판소 차원에서 제시된 적이 없었다. 본 Delfly 판결에서 해당 논점이 최초로 제기되었는데, 사법재판소는 항공여객의 권리보호 규정의 취지에 입각하여 여객은 해당 국가 또는 거주지 통화로 보상액을 지급받을 수 있고, 이를 배제할 만한 EC 규칙상의 특별한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확히 밝혔다. 다만, 우려스러운 점은 환율의 방식이나 시기 또는 기준에 관해서는 EU 사법재판소가 국내법적 문제로 취급하고 있으므로, 실무상 유로화 이외의 거주지 통화로 여객보상이 이루어지는 경우, 다소 복잡한 문제들이 제기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각국의 국내법과 판례법들이 통화의 환산시기나 방식 등을 각각 달리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로화 이외의 통화로도 보상지급이 인정되는 경우, EC 261/2004 규칙 제7조상의 유로화 기준 보상액에 맞추기 위해 통화를 환산하여야 하는데, 환율의 방식이나 시기 또는 기준 등의 문제가 다시 거론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Delfly 판결은 EC 규칙이 지향하는 여객 보호규정의 광범위한 해석원칙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여객의 평등 대우 원칙의 실질적인 보장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법리적 취지를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중재판정의 집행거부와 소극적 구제- 싱가포르의 PT First Media TBK v. Astro Nusantara International BV and others [2013] SGCA 57 판결의 분석 -

        서지민 한국중재학회 2018 중재연구 Vol.28 No.4

        On October 31, 2013, the Singapore Court of Appeals handed down a landmark decision in the case of PT First Media TBK v Astro Nusantara International and Others [2013] SGCA 57. The case arose out of an arbitration in Singapore involving the Malaysian conglomerate Astro and the Indonesian conglomerate Lippo, which culminated in a USD 250 million award in favor of Astro. The final award was given to three Astro subsidiaries who were not parties to the arbitration agreement, but who were joined in the arbitration pursuant to an application by Astro. Lippo then applied to the Singapore High Court to set aside the enforcement orders. The Court of Appeals, however, reversed the High Court’s decision, and found that Astro was only entitled to enforce the awards. Also, the Court of Appeals undertook a detailed analysis of the use of active and passive remedies to defeat an arbitral award at the seat and the place of enforcement, respectively. It also touches on the innovation of forced joinders of third parties in arbitrations, which have garnered significant interest in the arbitration community. This decision is therefo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including in relation to how awards can be enforced or defeated, as the case may be. 본 논문에서는 2013년 싱가포르 항소법원의 PT First Media v. Astro 판결을 살펴보았다. 본 판결은 중재합의의 직접 당사자가 아닌 제3자를 중재판정부가 추가당사자로 인정하고,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 당사자가 중재판정 및 중재판정에 대한 집행판결이 내려진 후, 해당 집행판결의 취소를 구한 사례이다.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는 항소법원의 판결 법리를 지지하나 몇 가지 점에 있어서는 다소 명확하지 않은 점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포함하여, 결론으로서 다음과 같은 본 판결의 몇 가지 문제들을 지적해보았다. 첫째, 본 사건 항소법원의 법리에 따르면, 싱가포르 국제중재법 제19조상으로는 모델법 제36조 (1)에 의해 어떠한 이유도 집행거부사유로 원용하여 주장할 수 있게 된다. 즉, 향후 그 적용범위가 선결문제에 한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재판정에 대한 구제방법의 선택이 가능해지므로, 당사자는 보다 유리한 중재이익을 얻기 위해, 모델법 제16조 또는 모델법 제34조의 기간제한이 경과한 경우라도 싱가포르 법원에 집행단계에서 불복신청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문제는 이렇게 되면 모델법이 정한 기간제한의 법적 실익이 무색해지고, 구제권 선택의 남용되어 중재절차의 신뢰성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둘째, 싱가포르 국제중재법 제15조에 따르면, 당사자 합의에 의해 모델법의 적용을 배제할 수 있고, 싱가포르 중재법 제10장 또는 폐지된 1985년 중재법을 중재에 적용할 수 있다. 본건 항소법원에 따르면, 싱가포르 중재법이 적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당사자는 구제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바, 구제방법의 선택에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싱가포르 국내법 규정과의 저촉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우리나라 중재법의 경우에도 중재판정에 대한 적극적 구제와 소극적 구제가 인정된다고 볼 수 있는데, 문제는 구제방법의 선택이라는 점이 우리법상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겠냐 하는 점이다. 우리법상 중재판정의 취소사유가 있음에도 취소기간을 경과하여 취소신청을 행하지 않고, 본 사건과 같이 구제방법의 의도적인 선택을 위해 집행단계에 이를 주장하는 경우에는 신의칙 위반이 될 가능성이 크다. 본 판결에서는 일반 사법상의 신의칙 위반과의 저촉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다루고 있지 않으나,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유사한 사건에서 신의칙에 의한 항변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