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 활용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서준일 ( Joonil Seo ),장경원 ( Kyungwon C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3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개별적 맞춤형 교육으로, 자기주도학습과 협력학습을 지향하는 교육체제 전반의 혁신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체제이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816편의 국내 논문과 329편의 국외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분석 대상 논문들의 제목에 사용된 주요 개념을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활용’, ‘교육’, ‘분석’, ‘중심’, ‘학습’, ‘효과’ 등을 주요 단어로 사용하였고, 매체 활용과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둘째, 스마트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learning’, ‘system’, ‘environment’ 등을 주요 단어로 사용하였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의 기본 본질을 전제로 한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는 스마트교육을 위한 매체 관련 분야뿐만 아니라 스마트교육의 본질을 추구할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 및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업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인 팀기반학습, 토의와 토론, 프로젝트학습 설계 및 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교과서의 성과에 대한 연구, 학생들의 역량 및 인성 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mart education is the support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to bring about innovation through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aims to propose the policy task and direction for the activating smart education. For this, 816 domestic research papers and 329 foreig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05 to 2015 were selected, and the key words of the research titles were analyzed with three methods being used i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are centrality analysis and cluster dendrogram. The main conclusion drawn from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e found that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used key words such as ‘using’, ‘education’, ‘analysis’, ‘centered’, ‘learning’, ‘effectiveness’ and so on. Futhermore,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the study on smart media usage and proof of effectiveness. Second,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foreign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e found that foreign researches had been used key words such as ‘learning’, ‘system’, ‘environment’ and so on. Futhermore, foreign researches had been carried out the study on educational prerequisites to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on smart education. Therefore, researches on smart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the study on lesson design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team-based learning, discussion and debate, project using smart devices and online contents to pursue educational prerequisites. Furthermore, researches will be carried out the study on the effect of digital textbook and student’s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