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편적 학습 설계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4학년 과학 디지털 교과서 분석

        서정희 ( Jeong Hee Seo ),성정희 ( Jung Hee Sung ),구양미 ( Yang Mi Koo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4

        Digital textbook project is one of government-driven project to improve education due to integrating technology, Digital textbook need to be universally designed to fit for each student. Recentl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gains great attention as one of promising approach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xtbook through giving various options and flexibility to all students, UDL has three main principles, first provide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second provide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third provide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fourth grade science textbook according to three UDL guidelines and suggest implications to improve an existing science textbook.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urth grade science digital textbook has been partly applied UDL guidelines like implementing multimedia and multi- mode contents, learning and communication tools, and motivation strategies. But options which students can choose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styles are insufficient and tools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need to enhance for helping each student to overcome his/her obstacles for learning and need to be more and elaborate to support learner-centered science digital textbook.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의 접근권-장애인권리협약과 비준당사국의 이행보고서 지침을 기준으로

        서정희 ( Jeong Hee Se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0 사회보장연구 Vol.26 No.4

        우리나라는 2008년에 장애인권리협약에 비준함에 따라 이제 이행보고서를 연말까지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장애인권리협약 중 사회권적 속성을 띠나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는 제9조 접근권이다.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는 즉각적 실현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이행완료 되었어야 하고, 점진적 실현을 하고 있다고 보고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한 국내법 조항들을 분석하여 그 실현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 때 분석틀은 UN에서 규정한 장애인권리협약 이행보고서 지침을 근거로 하였다. Korea has to submit Treaty-Specific Document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year`s end. Despite it has the property of social rights, Article 9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classed as civil rights. States party can`t report the progressive realization of rights classed as civil rights because the rights must be realized immediately in principle.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articles of domestic laws about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amework for this study is based on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중,고등,대학생 소비자의 쇼핑가치 유형과 강박구매: 서울과 울산을 중심으로

        서정희 ( Jeong Hee Seo ) 한국소비자학회 2004 소비자학연구 Vol.15 No.2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entertain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hopping value type and compulsive buying of stude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socio economic variables are included to control the effect. The sample was composed of the middle, high and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Ulsan. Region, Shopping value type, Father`s occupation and mother`s education level were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 on the compulsive buying of students. The compulsive buying of active shopping value type is higher than the hedonic shopping value type. And the compulsive buying of utilitarian shopping value type is lower than the passive shopping value type. Thus utilitarian shopping value decrease the compulsive buying degree. But utilitarian shopping value can facilitate the compulsive buying degree with hedonic shopping value.

      • KCI등재

        소비자의 의료소송에 관한 소비자보호제도요구 및 관련변수

        서정희(Jeong Hee Seo),복미정(Mi Jung Bok) 한국소비자학회 2001 소비자학연구 Vol.12 No.3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nsumer protection system of medical claims, establishing medical marketing strategies, the education of the consumer on medical service. For the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medical claims by considering the needs and variables of the consumer protection system related to the medical claims. As this result shows, it is highly needed to keep the consumer protection system in the medical malpractice claims. As for the process of claim, the consumer demanded decrease in responsibility of the patient, indicating that hospitals and doctors should share evidences and transferring responsibility to the doctors. As for the claim support system their demand for the consumer organization, the professional counsell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s, that specializes claims was high. This indicated that medical malpractice claim should be supported by the consumer system. As higher the consumer`s perception of the problems in medical service, higher their perception of the problems in the medical malpractice claims, tend their demand for the consumer protection system related to medical claims was high.

      • SCOPUSKCI등재

        주부와 조리사의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 비교

        서정희(Jeong-Hee Seo),홍순명(Soon-Myung Hong),유경희(Kyeong-Hee Yu),황혜진(Hye-Jin Hwang),염수경(Su-Kyung Yeum),김현주(Hyun-Ju Kim),양정아(Jeong-Ah Yang),서영은(Young-Eun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 음식문화를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음식물 쓰레기 감소를 통한 환경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 졌다. 울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와 조리사를 대상으로 하여 식단작성부터 식품구매, 조리 음식먹기 및 남은 음식물 처분에 이르기까지 음식소비의 전 과정에서음식물쓰레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 실천 전략인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을 비교해 보았다. 이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경친화적 식품소비행동을 총체적으로 보면 조리사는 주부에 비하여 더 환경친화적으로 식품을 소비하고 있었다. 조리사는 먹는 사람의 의견을 고려하고, 제철 식품위주로 식단을 작성하고, 계획적으로 식품을 구매하고, 사온 식품을 바로 손질하고, 저울과 계량컵을 사용하여 정확한 양의 음식을 만들고, 가족행사 음식을 뷔페식으로 준비하고, 남은 음식을 필요한 사람에게 즉시 준다는 면에서는 더 환경친화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부문항별로 볼 때 주부는 식품 포장단위가 큰 경우 이웃과 공동구매하고, 남은 음식은 1회정도 먹을 분량씩 포장하여 냉동보관하고, 음식재료가 싸더라도 많이 사지 않는다는 면에서는 조리사에 비하여 더 환경친화적이라고 할 수 있다. 먹는 사람의 수보다 넉넉하게 식품 구입, 가능한 적은 포장단위로 구입, 채소를 다듬을 때 버리는 양이 많음, 가족행사 음식은 먹고 남을 정도로 넉넉하게 준비, 야채 자투리, 배추 우거지, 파뿌리, 멸치머리, 북어머리, 닭뼈 등은 국물을 만드는데 이용, 국이나 찌개를 함께 준비, 국이나 찌개의 국물의 양은 넉넉하게 주문, 여러 가지의 반찬 준비, 덜어 먹는 상차림 준비, 외식할 때 남을 정도로 넉넉하게 주문, 외식할 때 남은 음식 싸옴, 냉장고에 보관하다 버리는 음식 및 재료가 많음, 음식은 부족하지 않고 남을 정도로 준비 등은 조리사와 주부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은 성별, 결혼여부 및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자와 미혼은 모두 조리사이므로 주부를 제외한 조리사만을 선택하여 성별과 결혼여부에 따라 환경친화적 음식소비 행동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결과 역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은 연령, 월평균소득 및 엥겔계수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조리사와 주부는 음식을 소비하는 전 과정에서 가장 많이 관여하고 있는 집단이다. 그런데 조리사와 주부 모두 전반적으로는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의 수준이 높지 않음으로 합리적인 식생활문화를 생활화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주부의 경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초중고등학교에서 하는 부모교육과 반상회의 홍보자료에 반드시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에 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조리사의 경우 정기교육과정에 환경친화적 음식소비행동에 관한 교육과 홍보를 함께 함으로써 외식이나 단체급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ehaviors of the two representative groups, housekeepers and cooks in menu-planning, purchasing of ingredients, cooking and disposal of leftover. The sample groups consist of 217 housekeepers and 129 cooks, respectively, residing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The cook can be seen as more pro-environmentally in their reflection to the opinion of consumers; considering the seasonal period in menu-planning; immediate handling of them upon getting; using measuring cups and scale for accuracy; arranging in the buffet style in the familial feast; distributing promptly the leftover to the people who need it. On the other hand, the housekeepers act more pro-environmentally in their co-purchasing of materials with neighbors when the size of purchase is big; storing food in the freezer in small package for each meal; avoiding the unnecessary purchasing even when the price of foods is chea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verg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their preparing food more than enough; favoring the minimum size of ingredients; wasting large amount when they trim vegetables; preparing food more than enough.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does not produc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Nor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at behavior pattern and age, monthly average income, and Engel co-efficien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both the housekeeper and cook, although the most important actor in the whole process of food consumption, are not so conscious of pro-environmental food consumption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and campaign for establishing the pro- environmental food consumption behavior are needed.

      • KCI등재

        고용보장 영역에서의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 실효성 변천: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법규를 중심으로

        서정희 ( Jeong Hee Se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4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보장 영역에서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이 어떻게 변화되었고, 이러한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변천이 권리영역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기준``을 분석틀로 하여, 1981년 이래로 2010년까지 장애인 고용보장 영역에서의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과 관련 있는 총 31개의 법규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차별금지 영역에서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수준은 상당히 높아졌으나, 적극적 고용보장 영역에서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별금지 영역과 적극적고용보장 영역에서 서로 다른 정책 방향을 취해야 한다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reas of employment security has been changed an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between four right areas in change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tandard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framework of this study, it is applies to related 31 legislations from 1981 to 2010. The results show that level of standard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ights to social secur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rea of anti-discrimination has significantly improved, but it in all areas of active employment security is extremely low. Such finding will be made use of grounds that different politic strategies in area of anti-discrimination and active employment security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