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전쟁서사의 소설사적 특성과 의의

        서신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이 논문은 17세기의 전쟁서사가 이전의 작품과 어떻게 다른지 살피 고, 그것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첫째, 17세기에는 이전 시기 낭만적 사랑을 그린 작품은 사라지고, 전쟁서사가 주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공 통적으로 고통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여러 사람들이 고통에 공감하 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둘째, 이전 시기의 서사에서는 추상적, 전체적으로 다른 나라 사람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시 기 서사에서는 구체적인 인간 개개인에 주목하여 그들의 심리를 그렸다. 셋째, 성리학적 교훈과 윤리를 서사에 견고히 표현했던 이전 서사와 달 리 이 시기 서사에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흔들리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담았다. 나아가 국가나 이념을 넘어서는 공동체 형성의 모습까지 이 시 기 서사에 드러난다. 이런 17세기 전쟁 서사의 특성은, 함께 한 시대의 지난한 삶을 살며 서로 공감하고 함께 거처하기도 했던 역사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현 대에 이루어지고 있는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에서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explained war novels of 17th century, how it differs from previous novels. Its features are as follows. The novels that were written about love was gone, the novels that were written about suffering appeared. The novels that were written about abstract representation of the mind is gone, the novels that paid attention to an individual’s sentiment inside. Previous period, confucian scholars and politicians used novels to popularize the philosophy and ethics of Confucianism. But the novels of 17th century war novels expressed a community Beyond ideology and nationality. Those novels are important when we discuss a East Asia community. Because it is a historical example that East Asia had become one of the people despite of the difference of nationality.

      • KCI등재

        <최필공전>의 핵심어 세 가지: 감화(感化), 군사(君師), 중국원류설(中國源流說)

        서신혜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31 No.-

        Philgong Choe apostatized Catholic faith in the aftermath of Sinhae-persecution (1791). It was possible with the grace of Jung Joe’s venial remission of a religiously heretic-issue related with Choe. Jung Joe also ordered Yangho Hong to write about this story called Choepilgongjeon. Instead of applauding Philgong Choe himself, this edition centers on three major terms. Second to none, it concerns ‘apostasy,’ which pays much attention to Jung Jo’s inspirational influence on Choe’s apostacy from Catholic faith; as a result, Jung Jo becomes a major figure as a great king. The other term named ‘unity of king and teacher’ found in Choepilgongjeon, transforms Jung Jo into a great teacher through his pedagogical persuading of Choe from Catholic faith. Another one called ‘theory of Chinese-origin’-Catholic faith demonstrates that Catholic faith as a branch of Western scholasticism had been originated from Ancient Chinese scholasticism. Therefore, the authenticity of Confucianism certainly would dissolve Catholic faith into one sort of Chinese tradition. Philgong Choe, however, was re-apostatized from Confucianism into Catholic faith and stood on Catholic-martyrdom on Sinyu- persecution(1801). This Choe’s re-apostacy recorded, without omission by Hong, within the content section of Choepilgongjeon, connotes the collapse of Jung Jo’s political dream expressed by three major terms. 최필공은 신해박해(1791) 당시 잡혔다가 정조의 특별한 배려를 받아 천주교 신앙을 버리고 감화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홍양호는 정조의 명을 받아 <최필공전>을 지었다. <최필공전>은 최필공이 아닌 다른 내용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 감화이다. 이 작품은 정조가 형벌에 의해서가 아닌 감화에 의해서 세상을 다스리는 성군임을 강조했다. 둘째, 군사(君師)이다. 군사는 정치적 수장(首長)이면서 신하들·백성들에 대한 교화(敎化)의 수장이라는 의미이다. 이 작품은 정조를 군사로 규정하여, 결국 왕권을 강화하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셋째, 중국원류설이다. 서학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이 본래 고대 중국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설명함으로써 유학의 자신감을 드러내었다. 그래서 천주학 ‘이단’도 곧 해결될 것이라는 낙관론을 표현했다. 최필공은 나중에 천주교로 돌아가 신유박해(1801) 때 죽임을 당했다. 홍양호는 이전에 지은 <최필공전>을 없애지 않고 최필공의 또다른 배신과 죽음을 서(序)에 적어놓았다. 그래서 의도하지 않았지만, 이전에 3가지 핵심어로 드러내려 했던 정조의 의도와 그가 꿈꾼 세상의 실패를 드러내는 결과를 내고 말았다.

      • KCI등재

        林象德의 ?淡婆姑傳?에 나타난 思惟

        서신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1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n Im, Sang-deok's Thinking with Dampagojeon Seo, Shin-hye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n writer's thinking with Dampagojeon. In this writing, the cigar was personified and then it was configured to Buddhist priestess. Im, Sang-deok expressed trains of Dampago, achieve spiritual enlightenment, reaction of people, and the use of it in the novel, and then configured with relation all of this and the facts related cigar. And Nochon explained morality of Taoism, Buddhism in based on the configuration, and pointed out mistake that have completely critical or exclusive thinking about cigar. This configuration was related to other writings in his books. He thought that confucianism includes Taoism and Buddhism. But that he admit is not all but a specific thing. This work proved his attitude to a heterodox opinion. Also, Dampagojeon of Nochon(老村) tells on Namryeongjeon of Lee, Hui-ro(李羲老) and Lee, Ok(李鈺) at the history of imitational-biography literature. 이 글은 담배에 대해 쓴 假傳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나온 淡婆姑傳을 考究하여, 이를 통해 作家가 드러내는 생각을 살핀 것이다. 林象德은 담배를 佛敎의 比丘尼로 설정하여 담파고의 修練과 得道 내용, 사람들의 반응과 그것의 效用 등을 표현하되, 이 모든 것이 담배 관련 사실들과 긴밀히 연관되도록 형상화하였다. 이를 통해 작자는 老佛의 도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해 완전히 批判하거나 排他的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였다. 이런 형상화는 文集 所載 다른 여러 글들과 긴밀히 연관된다. 그는 老佛을 儒와 ‘같은 道’라고 하며 이들을 포용하되, 老佛 사상 전체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어느 면은 비판하고 어떤 면은 받아들이는 구별된 인식을 보였다. 이런 작품 形象化의 특성은 1세기 정도 지난 후에 나오는 李羲老나 李鈺의 南靈傳과 同異點을 지니며 文學史的으로 연결되고 있다.

      • KCI등재

        一枝梅 이야기의 淵源과 傳承 樣相

        서신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3

        This thesis is about Iljimae who is known a chivalrous robber in Korea.It is known a korean story, but it is a chinese story that is included in the Hwanheewonga(歡喜寃家) Vol. 24, drawing paper. This story transmit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Korea and then it is forgiven the original document. This story has been recording in the Sooyouyounphil(睡餘演筆) of Hong, Gil-joo(洪吉周), Choojaegiyee(秋齋紀異) of Joe, Soo-sam(趙秀三), Ilsayusa(逸士遺事) of Chang, Ji-youen(張志淵) and The collection of witticism of thirteen province(十三道才談集) that is unknown author. The ume flower which blooms in Korea, Japan and China takes a meaning of spring that is coming to pass the severely cold weather. So the ume flower takes meaning of waiting, hope, constancy and honor. Because of cleanliness of flower, it demonstrates beauty of purity. Therefore it is no wonder that author sets up robber given the property of corrupt official to the poor in the troubled times drew the ume flower. 그간 일지매의 淵源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었는데, 이 글에서는 그 연원과 전승 양상을 살폈다. 一枝梅는 中國의 話本小說 ꡔ歡喜寃家ꡕ 24회에 나오는 이야기로 이후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이다. 일지매에 관한 기록은 洪吉周의 ꡔ睡餘演筆ꡕ, 趙秀三의 ꡔ秋齋紀異ꡕ, 張志淵의 ꡔ逸士遺事ꡕ에 나오며 편찬자 未詳의 ꡔ十三道才談集ꡕ에서도 보인다. ‘매화’는 韓․中․日 三國에서만 볼 수 있는 꽃으로, 혹독한 추위 끝에 찾아올 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화’는 ‘기다림’, ‘희망’ 등의 의미이며 ‘志操’와 ‘節槪’의 의미를 지닌다. 꽃의 깨끗함 때문에 ‘순결’한 아름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어지럽고 힘든 세상에 탐관오리의 재산을 빼앗아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사람이 다른 꽃이 아닌 ‘매화’를 그리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었다.

      • 地衣類의 脂質과 蛋白質 含量

        徐信惠,李鴻善,崔璟姬,崔正渼 효성여자대학교 가정대학 학도호국단 1984 家政大論集 Vol.3 No.-

        地衣類의 영양학적 가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地衣類(지붕, 바위, 나무)와 석이의 總脂質 含量, 脂質 분포, 脂肪酸 조성, 蛋白質 含量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지질 함량은 100g당 석이는 3.47g, 바위에 地衣類는 3.40g, 지붕의 地衣類는 3.17g, 나무의 地衣類는 2.73g 이었고 TLC法에 의한 脂質의 분포는 석이와 地衣類 모두 cholesterol ester와 phospholipid 등이 있었고 나무 地衣類에는 TG 및 cholesterol의 흔적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대부분 C_12~C_18 fatty acid였고 그 중 C_18 : 1 C_18 : 2인 것이 50%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나무의 地衣類에는 C_18 이상의 fatty acid도 상당량 분포되어 있었으며 C_20.4 fatty acid는 18.9%였다. 단백질 함량은 석이 6.60g, 地衣類는 8.22g이었다.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value of lichens, contents of total lipid, compositions of fatty acids, distributions of lipids and contents of total proteins in lichens (on the rock, roof and tree) and sogi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The contents of total lipid in sogi, rock, roof, and tree lichens were 3.47±0.05%, 3.40±0.09%, 3.17±0.02%, 2.73±0.04% respectively. Lipids in all them were cholestrol ester and phospholidpid, and TG and cholesterol were existed only the lichen on the tree. Fatty acids were composed of that of carbon number 12-18; C_18:1 and C_18:2 were about 50%, Contents of total protein in sogi and lichen (roof) were 6.60% and 8.22% respectively.

      • KCI등재

        「晩河夢遊錄」 親筆本과 石印本 비교

        徐信惠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韓國學論集 Vol.39 No.-

        『만하몽유록』은 작가의 친필본이 남아 있다. 그리고 이 친필본을 바탕으로 몇 작품을 함께 묶어 석인본 『만하유고』 2권을 간행하였다. 이 글은 친필본과 석인본의 상태를 비교하여 향후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친필본과 석인본을 상세히 비교해 본 결과, 상당한 양의 단락이나 구절이 빠진 곳이 있었고 글자면에서는 무수한 출입이 있었다. 또한 친필본을 석인본으로 옮길 때 글의 종류별 서술특징을 알지 못하여 행을 잘못 이해하여 엉뚱하게 옮긴 곳도 있었다. 후인들이 是非를 판단하여 임의로 고쳐 石印한 것도 정리하여 원전의 상태와 고쳐야 할 내용을 나란히 표시하기도 했다. 옛 문헌의 연구는 그 원전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확정에서 시작한다. 『만하몽유록』에 대한 연구가 여럿 발표되어 있고, 향후 시대상황이나 문학사적인 의미와 연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질 것을 생각할 때 판본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정하는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Manba-mongyu-rok is the story of travel to the dream world. It is written Kim, Kwangsoo(金光洙) in 1907. This novel is a story that a hero had traveled to China and the utopia, the hell and the Jahado in dream. Because of a large narrative scale this novel attracted academic attention. This thesis is the study on autograph book of Manba-mongyu-rok The existing thesis based on the Manbayugo(晩河遺稿) that author's descendant publish. But it included many errors. Author's descendant is keeping the original novel. I pointed to differences between the 'Manhayougo' and the original pap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