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전환-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입시준비 및 대학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서선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0 재활복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their transition from high schools and adjustment to colleges. In this study, five college freshmen were involved, who were recognized as being successfully adjusted to the new environment. Three interviews per student were conducted. Using cross-case analysis, these students' experiences were summarized in terms of preparations for college entrance exams and adjustment in the first year at college. Successful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strong motivation for pursuing higher education in order for their future, satisfactions with their school lives, activeness, and self-initiated problem-solving. In addition, these students believed that increased support from high schools, academic skill development, and increased instructional support from colleges. From the experiences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suggestions on transition programs in secondary schools and higher education were made.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s should provide deliberate support that helps to meet the transi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college preparatory classes and ind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가출청소년의 가출 결정 과정에 나타난 부모-자녀관계 유형 분류

        서선진,송원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2 청소년상담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ypes of adolescents who escaped from home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runaway. Twenty six teenagers were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o share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getting away from home without their family's permission.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wo factors of affecting their decision to run away from home were found: (1)bonding between parents and child and (2) their behavior patterns. There were 7 types of runaway adolescents'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e mix of these two factors: (1) lock-in, lock out, (2) refusal to discipline, (3) maladjustment to change, (4) passive parental involvement (5) neglectedness, (6) scapegoatism, and (7) discordance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ies. The meanings of how these parent-child relationships influence runaway adolescents' determination to escape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가출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가족관계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이중 가출 청소년들의 가출 결정 과정에 나타난 이들의 부모-자녀관계 유형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 를 위해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두 번 이상의 가출 경험이 있는 청소년2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가출 결정 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접 자료는 지속적인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 되었고, 여기서 가출청소년들의 부모-자녀관계를 특징짓는 두 가지 요소로 부모-자녀 간 유대관계의 정도와 부모와/혹은 자녀가 보이는 행동 패턴(행동지향성)이 추출되었다. 이 두 요소를 축으로 하여 가출청소년들 의 부모-자녀관계 유형을 7가지로 분류하였고, 그 유형은 변화부적응형, 기대불일치형, 책임전가형, 훈육-규 율 거부형, 소극적 부모 역할형, 자유추구형, 갈등방임형이다.

      • KCI등재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어휘 교수와 교사의 역할

        서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6 학습장애연구 Vol.3 No.1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많은 학습장애 아동들은 제한된 어휘력 때문에 읽기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곤란을 겪는다. 우리는 어휘력을 바탕으로 글을 구성하는 개별 단어를 재인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며 더 나아가 글의 전체 의미를 파악하기 때문에, 어휘력의 향상은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학습장애 아동의 어휘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의 활용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교사가 어떻게 어휘 교수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읽기에 있어 어휘의 중요성과 더불어 실증적으로 그 효과가 입증된 다양한 어휘 교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열악한 어휘력을 보이는 학습장애 아동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어떻게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휘 교수를 디자인하고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여기서는 교사가 아동이 어휘를 학습하는데 유리한 교수 환경을 제공하고 효과적인 어휘 교수방법을 기존의 읽기 교수 내에 접목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 KCI등재후보

        통합 학급 내 학습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한 평가와 교수: 읽기이해를 중심으로

        서선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nform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classrooms of effective assessment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in reading comprehension. Information about these assessments and instructional approaches helps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understand the difficulties which their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have and develop and implement assessment and instruction to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Teachers who acquire such knowledge can enhance the reading performance of their students by providing them with appropriate reading instruction and also lead to the academic success of all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통합교육의 실시와 더불어 학습문제를 보이는 학생들이 일반 학급에 배치되면서 상당수의 일반 교사들은 이들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읽기이해 영역에 있어 이 학생들의 문제를 제대로 평가하고 이에 적절한 교수를 제공하는 것은 통합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는 눈앞에 직면한 큰 과제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학급에서 읽기 이해의 문제를 가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평가기법과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교수 상황에서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를 소개한다.

      •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 실태 및 직무 실행도에 대한 연구

        서선진,손지영,오영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4

        교육 현장에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가 운영된 지 10여 년이 지났으나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실태에 대한 실제적인 정보가 거의 없어 구체적인 운용 계획이나 제도 수립 등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특수교육 현장에 근무 중인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어떻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와 함께 직무 실행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국적으로 2,497명의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담당학생과 업무 관련 질문 및 세부 직무별 실행도 문항에 응답하였다. 설문 결과,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평균 담당 학생 수는 4~6명으로 주로 정신지체, 자폐성장애, 지체장애를 지원했으며 하루 평균 5~6시간 동안 장애학생을 지원하며, 온라인 교육 방식의 업무관련 연수 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배치에 따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주요 활동을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 소속 보조인력은 등하교 및 교내 이동지원, 교과학습 지원을 꼽았고, 특수학급 소속 보조인력은 주로 통합학급 활동 지원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과정별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활동을 살펴보면, 유치원 과정에서는 행동관리와 개인위생을,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교과학습 지원을, 중ㆍ고등학교에서는 행동관리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실행도 측면에서 비교해보면, 항목마다 실행도에 차이가 있기는 하나 일관되게 유급 보조원이 사회복무요원보다 높은 수준으로 직무 실행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 관련 현 주소와 의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대상 소프트웨어교육 경험 탐구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중・고 과정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SW)교육을 시행하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초・중・고 과정 특수학교(급) 학생을 대상으로 1년 반 이상 SW교육을 제공하는 특수교사 6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주제를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을 위한 SW교육은 수업 개선을 목적으로 한 교사 개인의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SW교육은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고 컴퓨팅 사고력을 확장하며 학생의 교육적 경험을 확장하는 데 유용하나 SW교육에 대한 공감대 및 인프라 부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특수교육 SW교육 발전을 위해 체험 기회의 확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관련 정책 및 교사 역량 강화 노력이 확대되어야 한다. 결론: 특수교육 SW교육에 관한 관심과 지원 확대를 위한 종합적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software(SW) education for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teachers were purposefully recruited and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teaching SW and AI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s. Results: SW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tarted with individual teachers’ interest in improving instruction. SW education helped students promote their engagement in lessons, develop their computational thinking, and exp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However,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other teachers’ and parents’ indifference and poor infrastructure for SW education. Conclusion: A comprehensive support plan is needed to foster SW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ch as exposing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eachers to more SW activities, developing SW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aking more educ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se students’ quality of life.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진 특수교사의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 경험 분석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한 특수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쌍방향 원격수업을 한 학기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지속적 비교 분석 기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는 일반학교의 구성원으로서 원격수업의 방침에 공감하고, 학생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특수학급에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을 도전 하였다. 쌍방향 원격수업에 성공하기 위해 수업 연구 활동을 강화하고 스마트 기기 및 수업 플랫폼 사용을 지원하며 교육내용과 수업 활동 및 방식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하지만 원격수업 인프라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부족, 충분하지 않은 교사 피드백이 어려움이었다. 그러나 쌍방향 원격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수업 중 학생의 적극성이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특수교육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의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논의: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 실태와 활성화 제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n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inclusiv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implement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for over a semester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cepted their schools’ overall online instruction policies and pursued the synchronous type to facilitate their student success. They increased research on online instruction practices and adjusted the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y also supported their students’ use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A shortage of online learning infrastructure, lack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insufficient teacher feedback impeded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However, it gave students opportunities to pay more attention to lessons an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social engagement. Conclusion: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ynchronous online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high schools are provided.

      •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서선진,박경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