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위 요골 골밀도의 측정 자세 및 요추 골밀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만석(Man Seok Han),전민철(Chul Min Jeon),김종진(Jong Jin Kim),서선열(Seon Youl Seo),김용균(Yong-Ky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는 원위요골의 회전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원위요골 골밀도와 요추 골밀도를 비교 분석 하였다. 골밀도 측정시 정확한 측정 자세를 알아보고자 자체 제작한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수술, 기형이나 외상력이 없는 20, 3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digital diagnostic IR-1100-150 ; Philips)로 촬영하였고 남 성 21명을 DXA(QDR 4500W ; HOLOGIC, USA)로 골밀도 측정을 시행하였다. 실험은 두 가지로 수행하였다. 첫째,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11명을 대상으로 전완부를 DR로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3, 6, 9도에서 촬영하였고 둘째, 요추 및 전완부(Forearm)의 골밀도를 21명을 대상으로 DXA 장비를 이용해 중립위(0도)를 기준으로 내회전 및 외회전 각각 5, 10도에서 측정하였고 통계 프로그램 SPSS 12.0v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DR로 촬영한 1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82%(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도였다. 외회전 6도와 중립위(0도)에서도 1명(9%)씩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5.1도였다. DXA로 측정한 21명의 원위요골 회전각은 내회전인 경우가 43%(n = 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내회전 각도는 7.2도였다. 외회전은 24%(n = 5)이고 평균 외회전 각은 6도이며 중립위(0도)은 33%(n = 7)로 나타났다. 전체평균 회전각은 내회전 4.1도였다. 요추와 원위요골의 상관 계수는 r = 0.30, p = 0.18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요추의 골밀도가 원위요골의 골밀도를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위요골 골밀도의 평가는 원위요골에서 측정해야 한다. 전완부 골밀도 측정시 중립위는 원위요골이 외회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최저 골밀도의 회전각에서 일정하게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중립위 보다 내회전이 필요하며 내회전 각은 약 5도가 추천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distal radius rotation and the correlations of the lowest BMD measured by DXA at the lumba versus distal radius. The eleven males were projected distal radius by DR X-ray and the measurement of BMD by DXA of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forearm were performed on 21 males. The healthy 11 and 21 volunteers without any history of operations, anomalies, or trauma were enroll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wo methods. First, The DR X-ray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1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three, six and nine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he ROI was measured by the m-view program on the PACS monitor. Second, The DXA was measured distal radius of 21 males in pronation and supination with five and ten degrees, including a neutral position to evaluate the changes of BMD according to the rotation. A correlation of the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BMD that lumbar spine was performed, along with analysis of the data by SPSS 12.0v. The mean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eleven males DR X-ray measured 7° of pronation (82%, n = 9), 6° of supination and 0° of neutral of (9%, n = 1),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11 male was 5.1° of prona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tal radius about twenty one males on DXA measured 7.2° of pronation (43%, n = 9), 7° of supination (24%, n = 5), and 0° of neutral (33%, n = 7), The total average rotation angle in 21 people was 4.1° of pronation. The correlation of the analysis of lumba and distal radius were r = 3.0, p = 0.18. consequently,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ce. Because BMD of lumba was not coverd for BMD of the distal radius, with a neutral position, Pronation is needed for BMD in the distal radius with the rotation angle measuring at the lowest BMD. the rotation angle about five degrees of pronation of the distal radius is recommended.

      • KCI등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Dust According to The 3D Print Open Shape

        Jeong-Ho Kim(김정호),Seon-Youl Seo(서선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3

        우리에게 친숙한 3D프린터는 미세입자 방출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에 위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3D 프린터 개방 형태 및 작업 과정에 따른 미세입자의 수농도 측정을 평가하였다. 개방형, 밀폐형, 배기형으로 구분하여 미세입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총 미세먼지는 개방형이 밀폐형의 2배로 가장 높았으며, 출력물 제거 시 측정값은 밀폐형의 83% 수준이었다. 배기형은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낸 시간은 출력물 제거 직후로 밀폐형의 53% 수준이었다. 따라서 개방형이 미세입자에 의한 건강상 위해 위험성이 높으며, 밀폐형 및 배기형은 출력물 제거 이후부터 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농도 기준의 권고안 개발이 필요하며 3D프린터 작업 시 작업자는 충분한 환기와 일정시간 이상의 방호구 착용이 필요할 것이다. Commonly used 3D printers are known to harm the health of users due to the emission of fine particl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by evaluating the open form and work process of 3D printers. The 3D printers were classified into open type, closed type, and exhaust type, and the total fine dust emissions were measured using a fine particle meter. Compared to the closed type, the open type had twice the amount of total fine dust, and the measured value when the output was removed was 83% of the closed type. The exhaust type showed the highest measured value immediately after the removal of the output, and was determined to be 53% of the closed typ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open type has a high risk of health hazards caused by fine particles, whereas the closed type and the exhaust type require management after the output is removed. We propose the necessity to develop recommendations based on number concentration standards for safety evaluation. Furthermore, workers require sufficient ventilation and need to wear protective gear for a certain period when working with 3D pri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