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토론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유형 탐색

        부은주(Boo, Eunjoo),김명섭(Kim, Myung-Seop),이선영(Lee, Seon-Yo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 토론 상황에서 학생 아이디어의 독창성 및 관련성 수준에 따라 교사의 인식과 피드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직 초등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사회, 과학 교실 토론 상황을 제시한 후 학생 응답의 독창성 및 관련성 수준에 따른 교사의 인식 및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관련성이 높은 학생 응답을 관련성이 낮은 응답에 비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독창성이 높더라도 관련성이 낮은 응답은 독창성·관련성이 모두 낮은 응답과 유사하게 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교사들은 독창성·관련성이 모두 높은 응답과 독창성은 낮고 관련성이 높은 응답에 칭찬, 인정과 같은 긍정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고, 독창성이 높고 관련성은 낮은 응답에는 부정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독창성은 낮고 관련성이 높은 학생 응답에 대해 사고를 확장하는 피드백을 가장 많이 제공했지만, 독창성이 높고 관련성은 낮은 응답에 대해 사고를 확장하는 피드백을 가장 적게 제공하고 재고하라는 피드백을 더 많이 제공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학생의 창의적 잠재성 계발과 교사 교육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ptions and feedback types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originality and relevance of student ideas in classroom discussion. A total of 194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at illustrated classroom discussion situations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s. Teachers perceptions and feedback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originality and relevance of student responses. First, teachers perceived highly relevant student responses more positively than less relevant responses. Responses with high originality and low relevance were perceived more negatively, similar to those with low originality and low relevance. Second, teachers provided more positive feedback, such as praise and recognition, to responses with high originality and high relevance, and responses with low originality and high relevance, and more negative feedback to responses with high originality and low relevance. Third, teachers provided the most amount of thought-expanding feedback to responses with low originality and high relevance. In contrast, for the highly original but less relevant responses, teachers tended to give the least amount of thought-expanding feedback, but more feedback to reconsi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creativity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학생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부은주(Boo, Eunjoo),신종호(Shin, Jongh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에서는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학생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자료수집 단계에서 예비 초등교사 153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에는 139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의 과학성취수준이 학생 아이디어에 대한 예비교사의 창의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관계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일부 아이디어 유형에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창성이 높지만 관련성은 낮은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학생 과학성취수준의 주효과와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고성취 학생이 이 유형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을 때 예비교사는 더 낮은 창의성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가 고정 마인드셋에 가까운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지닐 때 심화되었다. 한편, 일부 아이디어 유형에서 창의성장 마인드셋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예비교사가 지닌 창의성장 마인드셋 수준이 높을수록 독창성과 관련성이 모두 높은 학생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교실 상황에서 교사의 창의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조건과 요인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udent science achievement levels on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ratings of student ideas and the role their creative growth mindset ha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One hundred and fifty-thre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and 139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the student science achievement leve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growth mindset were significant for highly original, low relevance ideas. That is, when high-achieving students presented this type of ideas, the preservice teachers gave them lower creativity ratings. This tendency was found to intensify when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fixed creative growth mindset. Additionally, the main effect for the growth creative mindset was found; the higher the preservice teachers’ creative growth mindset, the higher the ratings for the highly original, highly relevant student idea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plored the various conditions and factors that could affect teachers’ creativity perceptions in classroom situations.

      • KCI등재

        선행과제와 후행과제의 흥미도 대비에 의한 맥락효과: 흥미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unjoo Lee),부은주(Eunjoo Bo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과제를 수행할 때 선행과제의 상황적 흥미와 개인적 흥미 수준이 후행과제의 흥미지각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세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단순 과제(무의미 철자 역순 기입)를 활용한 2(선행과제 흥미 고, 저)×2(후행과제 흥미 고, 저)의 피험자 간 실험설계로 상황적 흥미를 대비한 맥락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시내 1개 대학교 재학생 10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선행과제로 고흥미 과제(게임 형식)를 수행한 집단은 저흥미 과제(지필 형식)를 수행한 집단보다 후행과제인 저흥미 과제(지필 형식)의 흥미를 더욱 낮게 지각하였다. 둘째, 고흥미 선행과제 집단은 저흥미 선행과제 집단보다 후행과제인 저흥미(지필형식) 및 고흥미(게임형식) 과제 모두에서 수행 수준이 높았다. 연구 2에서는 104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고, 실제 읽기 과제를 활용하여 세 집단(선행과제 흥미 고, 중, 저)의 피험자 간 설계로 개인적 흥미를 대비한 맥락효과가 연구 1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고흥미 선행과제(웹툰) 집단은 저흥미 선행과제(법조문) 집단에 비하여 후행과제인 중간흥미(소설) 과제에서 흥미 지각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후행과제의 수행은 선행과제의 흥미도에 따른 집단간 차이 없었으나, 선행과제의 난이도를 통제하였을 때 고흥미 선행과제 집단은 중간흥미 선행과제 집단(소설)보다 후행과제에서 중간흥미 과제(소설)의 수행점수가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학업흥미와 수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과제의 순서 배열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xt effects of a preceding task with different levels of situational interest and individual interest on subsequent tasks. Following this research aim, two studies were carried out. In Study 1, the context effect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level of situational interest of the preceding task and subsequent task through a simple laboratory task to copy nonsense syllables. A total of 101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Study 1. The results of Study 1 indicated that (1)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high level of situational interest (game format) showed less interest in the subsequent task (written format) than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low level of situational interest (written form), and (2)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high level of situational interest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e subsequent task than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low level of situational interest. In Study 2, 10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context effect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of the preceding task and subsequent task through a real reading task. The results of Study 2 indicated that: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high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comic cartoon) showed less interest in the subsequent task with an intermediate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fiction) compared to the group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low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legal materials). Afte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preceding tasks,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 high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showed a higher performance score in the subsequent task than the group that performed the preceding task with an intermediate level of individual interest. It was discussed how to use the order of tasks to increase learning interest and performance.

      • KCI등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

        신종호(Jongho Shin),조은별(Eunbyul Cho),부은주(Eunjoo Boo),백아롱(Ahrong Beik),조수연(Suyeon Jo),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을 분석하여, 미래교육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개설된 ``통합창의디자인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및 수강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은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 경험``,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으로 정리되었다.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은 학습자가 융합 실현을 위한 기본 조건을 확인하고 융합의 개념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전문 영역들의 차이와 각 영역의 고유한 가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융합 실현의 최소한의 기준임을 알게 되었다.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는 학습자들이 도전적인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가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자신감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면서 이 수업에서의 경험을 성장경험으로 인식하였다.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전문 영역의 관점과 평가를 균형적으로 반영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해냈다. 결과물을 완결하는 경험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융합교육에서만 가능한 ``하나의 경험``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의 학습자 경험이 기존 영역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융합 결과물을 산출하는 총체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융합교육의 고유한 특성을 드러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buil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of learner experience. The study`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during a semester-long course titled Integrated Creative Design Project of "A" University, which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 experienc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firming the requisites of convergence", "going beyond one`s limits", and "completing convergence by developing the final products." First, the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concepts and directions on convergence. In this step, they comprehended the minimum standard to participate in the convergence program, which was to learn the distinctiveness and values of the separate domains. Second, the learners confronted challenges and overcame their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potentials while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project which aimed to produce outputs. Third, the learners finished their products by reflecting on various evaluations based on the different domains. This experience helped them to recognize that they had acquired ``an experience`` that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er experi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has uniqueness in that it is regarded as a holistic experience while learners are challenging their limits of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