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재산 활용이 혁신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교

        봉강호,박재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0 산업혁신연구 Vol.36 No.3

        We study at the differences in innovation persistence that occur whe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used as a means of protecting innovation by using the firm-level survey dat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different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in looking at these relationships. First, our finding show that the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protect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innovation. This is an official means of protecting innov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ntribute to companies continuing to carry out innovative activities. Moreover,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Second, unlike manufacturing, where intellectual property mechanisms were only partially significant, they were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sistence of innovation in the service sector.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the discussion on the protection of their intellectual property has been insufficient, and it is difficult to find any related research. Our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improve the protection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service sector and support for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service sector. 본 연구에서는 기업 단위의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지식재산권을 혁신 보호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 나타나는 혁신지속성 차이를 살펴본다. 특히 이러한 관계를 살펴봄에 있어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혁신특성의 차이를 고려하여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혁신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 활용은 혁신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식적인 혁신보호 수단으로서 지식재산권은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며, 결과적으로 지식재산권 제도의 실효성을 뒷받침하는 결과다. 아울러 지식재산 메커니즘이 부분적으로만 유의하였던 제조업과 달리, 서비스업에서는 혁신지속성에 대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간 서비스업이 가지는 중요성에 비해 이들의 지식재산 보호 관련 논의가 미흡하였고 관련 연구도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인 만큼, 서비스업의 지식재산 보호제도 개선과 더불어 서비스업의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서비스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국민경제 관점에서의 R&D 투자, 지식생산, 혁신성과 간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봉강호,박재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6

        For the national economy, accumulation of knowledge assets for economic growth and R&D activities for it are the most urgent topics. Theoretically, knowledge capital has been emphasized a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productivity, and in this light, prior studies have taken a structural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CDM (Crépon et al., 1998) on how much innovation has contributed to growth, the direct result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that is referred to as a knowledge-producing function. Our research adopted this model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novation performance of each country measured in terms of R&D intensity, patentbased knowledge generation, and innovation index, based on panel 3SLS (three-stage least square)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innovation input provided by the CDM model to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produ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nel data analysis consisting of a number of OECD countries. 국민 경제에 있어 경제성장을 위한 지식자본의 축적과 이를 위한 연구개발 활동은 가장 시급한 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식생산함수로 일컬어지는 혁신투입과 지식생산, 그리고 성과에 얼마나 기여하였는가에 관한 CDM(Crépon et al., 1998) 모형에 따른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OECD 26개국 데이터를 활용, 패널 3단계최소자승법(3SLS)을 적용해 국민 경제 단위에서 혁신투입으로서 연구개발 집약도, 특허로 대리한 지식산출, 그리고 세계혁신지수(The Global Innovation Index)로 측정한 각 국민경제의 혁신성과 간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CDM 모형이 상정하고 있는 혁신투입이 지식산출을 거쳐 혁신성과로 이어지는 구조적 관계는 이들 국민 경제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 KCI등재

        나노융합산업의 혁신활동 시차효과에 관한 연구

        봉강호,김경환,박재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ime-lag effect between the innovative activity and the performance of the nano-convergence industry, utilizing ‘Survey of the Nano-Convergence Industry’ Korean firm-level data. First, the performance would be achieved in the nano-convergence industry, only if an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accumulated longer than a certain period. For a nano business to secure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knowledge management is emphasized, which recognizes knowledge as the core resource of the business and systematically produces, manages and utilizes it. Second, there was a certain time-lag between an investment in a process and the performance of it. Since it takes a long time for an investment in the process to be connected to the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ort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nnecting the product of the innovative activity with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et up a policy and improve the system to support and promote the creation of a new market for nano businesses in this process. 혁신활동에 대한 투자는 불확실성, 고비용, 비특유성, 시차 등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전략적·체계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에는 생산과 수익으로 연결되기까지의 회임기간을 가지는 동시에 투자의 성격에 따라 대규모 및 장기적 투자가 요구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기업들은 시차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전략적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나노융합산업에서 최근에서야 구축된 기업차원(firm-level) 조사 데이터인 「나노융합산업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나노융합산업의 혁신활동 및 성과 간의 시차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노융합산업에서는 일정 기간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가 누적되어야 그 성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노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기업의 핵심자원으로서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생산·관리·활용하는 지식경영이 강조된다고 하겠다. 둘째, 나노융합산업의 경우 공정에 대한 투자와 성과 간에는 일정 기간의 시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나노융합산업에서는 공정에 대한 투자가 성과로 연결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혁신활동의 성과물을 경제적 성과로 연계하는 기술사업화 노력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나노기업의 신시장 창출을 지원·육성하는 정책 및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혁신 주체별 R&D 및 특허성과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연구

        봉강호,배진호,박재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2

        In terms of innovation, many studies discussed the independent functions of each industry,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s well as the link between each actor as a component of knowledge creation and utilization. However, they failed to take into account another change made by reacting to changes arising from other actors. In this study, a Vector Autoregression Model (VAR) was used to examin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patent applications in Korea for the period from 1991 to 2016. R&D spending of universities plays a role of opening technical possibil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to the industry, while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play no role of creating opportunities by leading patents. In addition, R&D expenditure of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shows a significant opposite relationship rather than increasing patents, raising a doubt that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exploit technology opportunities from others rather than creating their ow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s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regard the entire process from R&D to commercialization as a process and a more market-oriented technology management process needs to be developed. 혁신 관점에서 산·학·연 주체별 역할 분담과 이들의 독립적 기능뿐 아니라 각 주체들 간의 지식창출과 활용의 구성요소로서의 연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있어 왔다. 그러나 국내 연구들은 산·학·연의 R&D 성과 또는이의 파급효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성과의 창출 및 확산 과정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벡터자기회귀(VAR) 모형을 이용하여 산· 학·연 주체들의 R&D에 의해 나타나는 특허출원의 증감을 살펴봄에 있어서이들 주체들이 자체적으로 변화를 만들어 가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른 주체로부터 발생한 변화에 반응함으로써 만들어지는 또 다른 변화를 분석 모형에 반영하여 이들 주체별 연구개발비 및 우리나라 특허출원 간의 관계를 동태적으로 살펴보았다. 1991년부터 2016년까지의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우리나라 대학의 R&D는 산업계에 직·간접적으로 기술적 가능성을 여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면, 공공 연구기관의 경우 특허를 선도함으로써 기회를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공 연구기관의R&D로부터 특허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반된 관계성, 즉 특허가늘어남에 따라 공공 연구기관의 R&D 규모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연구기관이 그 기능과는 반대로 기창출된 기술적 기회를 활용하는 데 초점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제기해 볼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공공 연구기관이 R&D부터 사업화까지의 전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서 이해하고, 보다 시장지향적인 기술경영 프로세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 기술협력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봉강호,박재민,김재영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3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성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당 이론적 관점에서는 기술협력의 동기가 기술적 자원의 보완성이 강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분석 대상의 기업군을 기술수준에 따라 하이테크(high technology), 미드테크(medium technology), 로우테크(low technology) 등 세 단계로 구 분하였으며, 기술협력 파트너를 기술적 자원 및 역량을 기준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 연구기관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협력관계에 따른 혁신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수준별 그리고 협력 파트너에 따라 기술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이테크 중소기업의 경우 대학과의 협력에서 긍정적으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음에 반해 미드테크의 경우 대학과 대기업과의 협력, 로우테크의 대학과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과의 협력에서도 유의한 성과를 보였다. 비록 기술 수준별로 기술협력의 유의한 성과가 선호체계를 가진다는 흥미로운 결과에도 불구 하고 본 논문이 단년도 횡단면 자료에 근거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해석 될 필요가 있 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n technology collabor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from the views of resource-based theory. Considering that supplementing the technical resources is stressed in a motivation of technology collaboration from the corresponding theoretical perspective, a group of corporations to be analyzed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high, medium and low technologies depending on the technology level. Moreover, technology collaboration partners were also classified into large corporati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university and institution based on that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that belong to a corporation semi-permanently, and the revolutionary performance was analyzed by each relationship of collaboration between partie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llaboration varies by technology level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nd their collaboration partners. In particula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f high-tech industry in Korea were confirmed to accomplish relatively less benefits obtaining through technology collaboration compared to the corporations with low technical skills.

      • KCI등재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결정요인 연구

        봉강호,김수민,박재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20 기술혁신학회지 Vol.23 No.1

        There is little doubt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today is a determinant that determines survival and enables sustainable growth not only at the industrial levels,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R&D investment to create technological innovation emerges. However, whil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innovation investment by the private sector in Korea, which accounts for 99 percent of the total, is constantly being raised, empirical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investment b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lacking compared to its importa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mpact factors on SME's innovati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novation process. The analysis identifi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decision to expand and reduce innovative investments, particularly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innovative investment decisions not necessarily inversely proportional. This in theory suggests that in looking at the behaviour of innovative activities that companies are see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entity's innovation activities as a more complex process from a process perspective. 오늘날 기술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국가적 차원에서도 생존을 좌우하고 지속성장을 가능케 하는 결정요인이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이에 따라 기술혁신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부문, 즉 전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반면, 그 중요성에 비해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혁신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함과 더불어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투자 확대 및 축소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각 요인들이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반드시반비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기업들이 보이고 있는 혁신활동 행태를 살펴봄에 있어,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의 혁신활동을 보다 복잡한 과정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실무적·정책적으로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이 비교적 복잡한 과정임을 전제로 이들의 행동을 평가·예측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혁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기술 기반 창업기업 성장 결정요인: 기술주체의 후속지원을 중심으로

        봉강호 한국지식경영학회 2020 지식경영연구 Vol.21 No.2

        우수한 공공기술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기술 기반 창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공기술의 재현성과 성숙도 미흡 등으로 실질적인 사업화 성과창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 기술주체-수요자 간 연계과정에 존재하는 갭(gap)이 지적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성적 연구에 그치고 있어 객관적인 실증적 근거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주체의 후속지원이 공공기술의 상용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어서 2단계 최소자승법(2SLS) 모형을 활용하여 공공기술의 상용화에 따른 기술창업기업의 성장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주체와의 연계가 공공기술의 상용화 성공, 나아가 기술창업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술공급자-수요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지식경영 시스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고용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가 단위의 실증분석

        봉강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3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의 진입장벽 파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자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기 창업비용의 축소 등 창업 및 기업가적 활동 측면에서 중대한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존의 기업가정신 이론으로 기업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기업가정신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의 기업가정신을 조망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 및 관련 연구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 분야에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출되는 성과 측면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인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EM)」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 단위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와 신규 인력의 고용의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고용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활동에 있어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는 고용의지와 긍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촉진이 국가적 차원에서 고용을 유발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Digital transformation causes environmental changes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such as expand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destruction of entry barriers to existing industries and reducing early-stage start-up costs due to digitalization of assets. In this light, the concept and related research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ve recently emerged a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r looking at entrepreneurship in the digital economy. However, there are few that examine the outcome aspects created by digital entrepreneurship in the field of digital entrepreneurship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mployment effec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t the national level. To this end, it conducts a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a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related survey. In this study, the willingness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willingness to hire new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digital entrepreneurship has the effect of inducing employment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프로세스 관점에서의 기술혁신 및 고용성과에 관한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봉강호,박재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4

        Employment in enterprises is a consecutive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ir innovative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relationship as well explicitly in an analysis of the employment performance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terprises’ innovative activities,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 compensation system and the creation of employment, reflecting the correlation of the process of the actual technology management performed simultaneously, utilizing the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UR) model to estimate a simultaneous equation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effect on employment with the ordered logit model to estimate a single equation as in the preceding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structural relationship could be found out, in which the execution of the compensation system would increase the performances of techn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hich in turn, accelerates enterprises’ employment. Especially, it is judged that enterprises’ employment performance increases when technological innovation is managed from a process perspective in that the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as well as technical development, acts as a kind of hurdle in the effect on employment. 기업들에 있어서 고용은 혁신활동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연속된 의사결정과정이다. 따라서 기술혁신을 통한 고용성과를 살펴봄에 있어서 이 같은 관계성을 명시적으로 분석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고용효과의 관계를 선행 연구와 같이단일방정식을 추정하는 순위로짓(ordered logit) 모형으로 분석할 뿐 아니라, 연립방정식을 추정하는외견무관회귀(SUR) 모형을 활용하여 실제 동시적으로 수행되어지는 기술경영 과정의 상관성을 반영하여 기업의 혁신활동과 기술혁신 성과, 보상제도 그리고 고용 창출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보상제도의 시행은 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 성과를 높이고, 이것은 다시 기업의 고용을 촉진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고용성과에 있어 기술개발 뿐 아니라 사업화 성과가 일종의 허들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기술혁신을 프로세스 관점에서 관리할 때 기업의 고용성과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

      •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패턴 연구

        봉강호(Kang Ho Bong),김수민(Sumin Kim),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1

        오늘날 기술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국가적 차원에서도 생존을 좌우하고 지속성장을 가능케하는 결정요인이라는 점에는 큰 이견이 없다. 이에 따라 기술혁신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부문, 즉 전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반면, 그 중요성에 비해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패턴에 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혁신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확장함과 더불어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투자 확대 및 축소 의사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각 요인들이 혁신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반드시반비례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론적으로 기업들이 보이고 있는 혁신활동 행태를 살펴봄에 있어, 프로세스 관점에서 기업의 혁신활동을 보다 복잡한 과정으로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실무적·정책적으로는 중소기업의 혁신투자 의사결정이 비교적 복잡한 과정임을 전제로 이들의 행동을 평가·예측하고, 나아가 실질적으로 혁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today is a determinant that determines survival and enables sustainable growth not only at the industrial and national levels, but also at the industrial and national level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R&D investment to create technological innovation emerge. However, whil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innovation investment by the private sector in Korea, which accounts for 99 percent of the total, is constantly being raised, empirical research on innovation investment patterns by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lacking compared to its importanc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mpact factors on SME"s innovation investment decision making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novation process. The analysis identifi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decision to expand and reduce innovative investments, particularly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innovative investment decisions not necessarily inversely proportional. This in theory suggests that in looking at the behaviour of innovative activities that companies are see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entity"s innovation activities as a more complex process from a process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