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 망에서의 가변 토큰 생성기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복건수(Gun-Soo Bok),유홍석(Hong-Suk Yoo),이강진(Kang-Jin Lee),남재현(Jae-Hyun Nam),류언무(Yeon-Moo Ryu),박현민(Hyun-Min Park),이기현(Key-Hyu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본 논문에서는 버퍼의 상태에 따라 토큰 생성률을 조절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기존의 버퍼를 가진 리키버켓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토큰 생성률을 조절하여 평균 셀률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임계값을 가진 버퍼와 토큰 생성률을 제어하는 토큰 생성기, 토큰 풀로 구성된다. 토큰 생성기는 버퍼의 임계값에 따라 토큰의 생성률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대한 성능 분석의 결과는 3장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준다.

      • ATM 다중화기에서 트래픽 특성을 고려한 셀 스케쥴링 알고리즘

        유홍석(Hong-Suk Yoo),복건수(Gun-Soo Bok),이강진(Kang-Jin Lee),남재현(Jae-Hyun Nam),류언무(Yeon-Moo Ryu),박현민(Hyun-Min Park),이기현(Kee-Hyu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2B

        본 논문에서는 ATM(Asynchronouse Transfer Mode) 다중화기(multiplexer) 에서 다양한 비트 전송을 요구하는 트래픽 소스들을 다중화하는 기존의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여 제안된 알고리즘과 비교하였다. 다중화기에서는 CBR(Constant Bit Rate), VBR(Variable Bit Rate), Best-effort 트래픽 소스가 있다고 가정하였다. 기존의 제안된 여러 가지 기법중 WRR(Weighted Round-Robin)과 제안된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입력버퍼 마다 카운터를 부착하여 각 셀들의 최대 전송률 또는 평균 전송률을 관찰하여 카운터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버퍼를 방문한다. 성능평가는 시물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 KCI등재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 탐색 -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

        임재일(Lim, Jae-ill),복건수(Bok, Keon-s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혁신교육 3.0을 중심으로 한 혁신교육 동향에 기초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어떠한 주요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교육 정책은 어떠한 전개 양상과 특성을 가지며 진화하였는가?’ 둘째, ‘혁신교육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혁신교육 3.0의 맥락에서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시・도교육청에서는 혁신교육을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로 연계・확장하고 있었고, 1.0, 2.0, 3.0 등과 같은 구분을 통해 진화된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혁신교육 특성으로는 ‘운동성’, ‘지역성’, ‘확장성’, ‘공동체성’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마을교육공동체는 학생들의 온전한 성장을 위해 온 마을의 협력이 필요하고, 교육주체 간 연계와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교육거버넌스를 구동 모델로 개념을 정리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으로는 ‘학생 중심’, ‘지역 교육력’, ‘단수가 아닌 복수주체’, ‘교육생태계’ 등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혁신교육 3.0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 주요 특성은 ‘학생 주도성’, ‘지역 행위주체성’, ‘생태전환교육’ 등을 논의하였고, 코로나19 및 기후위기 등 재난의 일상화를 대비하고 불확실한 미래교육을 조응할 수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특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trends focusing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In what developm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policies have evolved? Second, ‘What a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and how can the characteristics be def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3.0?’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maj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linking and expanding the innovation education to the innovation school,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Moreover, the offices presented inflection points of evolution classifications such as 1.0, 2.0, and 3.0.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movement’, ‘locality’, ‘expansiveness’, and ‘community’ were explored. In additi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entire village for the full growth of the students, 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governance is summarized as a driving model, operated by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As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tudent-centered , ‘local educational capacity’, ‘multiple subjects, not singular , and ‘education ecosystem were derived.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3.0 were ‘student agency’, ‘local agency , and ‘ec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 , and discussed it to prepare for the accepting disaster in daily life such as Covid-19 pandemic and fit with uncertain fu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