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철의 교외별전 : 성철의 “거짓말”에 속아야 할까, 속지 말아야 할까?

        변희욱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Sŏngch’ŏl(性徹, 1912~1993) makes us confused. Sŏngch’ŏl said, “One should not explain the dharma.”, although he provided us with long explications about the dharma; he also said, “I have earned my keep now that I published two books.”, even though he pursued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敎外別傳). Sŏngch’ŏl delivered numerous sermons on Buddhism on one hand, but he said, on the other hand, “Do not be fooled by my words because I always lie.” Why did Sŏngch’ŏl take these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This article raise three questions: First, how did Sŏngch’ŏl deliver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 Second, why did Sŏngch’ŏl call his sermons “lies” and tell us not to be fooled by them? Third, should one be fooled or not by Sŏngch’ŏl’s “lies”? Sŏngch’ŏl’s warning, “Do not be fooled by my words,” may be the “extraordinary gate” (格外關門 kyŏg'oe kwanmun), In other words, Sŏngch’ŏl used the paradoxical way of expression to lure the audience into a trap, by which they are ultimately led to the enlightenment. Only when trapped, the audience may break through the “lies,” namely, the “extraordinary gate” created by Sŏngch’ŏl, thereby removing(殺) the old self(熟) and recovering(活) the original self(生). 성철(性徹, 1912∼1993)은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성철은 길고 친절하게 설명했으면서도 “설파하면 안 됩니다.”라고 했다. “교외별전”을 견지하면서도 “책 두 권 냈으니 나는 이제 부처님께 밥값 했다.”라고 했다. 또 수 없이 법문했으면서도 “내 말에 속지 말라.”, “나는 늘 거짓말만 하니까.”라고 했다. 성철은 왜 우리를 혼란스럽게 할까? 이 글에서는 질문한다. •성철은 교외별전을 어떻게 전했을까? •왜 성철은 자신의 법문을 “거짓말”이라 했고, “내 말에 속지 말라”라고 했을까? •성철의 “거짓말”에 속아야 할까, 속지 말아야 할까? 성철의 “내 말에 속지 말라.”는 함정, 격외관문이 아닐까? 성철은 대중을 함정으로 유인하려 모순도 불사하지 않았을까? 성철이 파놓은 함정에 빠질 수 있다면, 성철이 설치한 격외관문, “거짓말”을 돌파할지도 모른다. 기존의 자기(熟)를 해체하고(殺) 본래의 자기(生)로 회복할 수도 있다(活).

      • KCI등재

        大慧 看話禪의 破邪顯正

        변희욱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이 글은 宋代(960-1279)의 선사 大慧(宗杲, 1089-1163)가 간화선을 제출하기까지 문제의식의 성숙과정과 내용, 그리고 그의 비판에 내재된 철학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대혜가 문제의식을 키우고 조사선의 본래 정신을 회복하려 간화선을 제안했던 시기는 선불교사적으로나 학술․문화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위기의 시기이자 도약의 시대였다. 그 시기는 정치적으로 內憂外患의 기간이었으며, 불교사적으로는 문자선의 최고조에 달하는 한편 묵조선이 성행하는 시절이었고, 유학사적으로는 문장학이 흥성하기도 했고 유학자의 선공부가 유행했으며 道學운동이 가열 찾던 시대였다. 대혜는 유학 경전을 학습했고, 출가 후에는 五家七宗을 모두 공부하여, 최종적으로는 臨濟宗 楊岐派에 귀착했다. 그는 학습 과정에서 常惺惺과 活潑潑 그리고 中道를 체득했으며, 그것이야말로 선의 종지임을 각성했다. 그는 학습 과정에서 체득한 내용으로 유학과 제 불교 종파의 문제점을 비판할 수 있었고, 나름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비판과 대안의 내용은 바로 常惺惺과 活潑潑 그리고 中道였다. 그리고 이를 체득하는 첩경으로 看話를 제안했다. 行住坐臥, 語黙動靜 간에 間斷없이 간절하게 간화를 제대로 한다면, 일상에서 늘 깨어있기 마련이고 활동성과 능동성이 저절로 나타난다. 만일 선정에 들었을 때만 깨어있다면, 그것은 간화가 아니다. 간화를 하면서도 일상에서 활발발함을 실현하지 못하거나 현실을 외면하고 초탈을 꿈꾼다면, 그것은 대혜가 제시한 간화선을 벗어난 것이다. 大慧 看話禪의 핵심은 “언제 어디서든 주인(隨處作主)”과 “옳지 못함을 부수고 옳음을 드러냄(破邪顯正)”이라 요약할 수 있다. Ta‐hui presented K’an‐hua ch’an with his critical mind on his society, which was facing cultural and political crisis. Ch’an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not exception in this crisis. Tahui studied Confucian texts in his youth. However, later he converted to Buddhism and trained himself in various sects of ch’an (五家七宗) schools. Finally he became a follower of Yangqi sect in Linji linage (臨濟宗 楊岐派). Ta‐hui experienced active awakening of no intermit (常惺惺, 活潑潑) and the middle truth (中道) through his ch’an practice, and confirmed that they are the very gist of ch’an. He suggested K’an-hua as the shortcut to the gist of ch’a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key points of Ta-hui’s K’anhua ch’an are becoming master of himself every where at any time(suichuzuozhu, 隨處作主) and deconstructing of false and reveal of truth (破邪顯正).

      • KCI등재

        대혜(大慧)의 간화(看話)와 주희의 격물(格物)의 철학적 차이 - 확고한 의지(“先須立決定志”)와 세밀한 학습(“寧煩毋略”)

        변희욱 한국선학회 2015 한국선학 Vol.42 No.-

        이 기획에서는 대혜의 간화와 주희의 격물, 두 노선의 차이를 탐구할 것이다. 대혜는 간화를 주문했다. 주희는 격물을 요구했다. 대혜는 중생과 부처는 본래 다르지 않다고 전제했고, 공부과정과 궁극을 분리시키지 않는다. (不二門, 本來成佛) 대혜의 철학에서 자기 변화 (혹은 관문 돌파; 修行) 의 관건은 “지식 축적보다는 의지와 결단이다.” 그것이 간화의 관건이다. 주희는 학인과 성인은 같을 수 없다고 전제했고, 공부과정과 궁극을 일단 분리해야만 격물치지하여 치국, 평천하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주희 철학에서 자기 변화 (혹은 공부; 學習) 의 일차 관건은 “의지보다는 세밀한 학습과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 적용이다.” 그것이 격물의 핵심이다.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distinct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a-hui’s 大慧 (1089-1163) K’an-hua 看話 and Zhu-xi’s 朱熹 (1130-1200) Ko-wo 格物. Ta-hui advocates K’an-hua on the basis that ordinary beings are not different from the Buddha, and thus does not regard the process of practice separated from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actice. (不二門, 本來成佛) . The crucial point for the self-revolution (or “cultivation” 修行) in Ta-hui’s Ch’an system lies on the practitioner’s resolute willingness or determination towards the purpose, not on the process of practice, such as accumulation of knowledge; this is the gist of K’an-hua. Zhu-xi defends Ko-wo on the premise that trainees cannot equal to the saints, and thus never belittle the actual gap betwee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he ultimate purpose of learning. For Zhu-xi, the key point of self-improvement (or “learning” 學習) lies on the elaborate learning and its application to particular cases; this is the essence of Ko-wo.

      • KCI등재

        선, 낯설게 다가가기: 대혜의 질문으로 되물어보기

        변희욱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1

        This article aims for illuminating Sŏn from a new perspective ; some questions are raised to approach Sŏn in an unaccustomed way . • Why did Sŏn masters make people perplexed ? • Is “ refuting the false and disclosing the correct ” (破邪顯正) or “ distinction between right and wrong ” (是非 分別) prohibited in Sŏn ? • Why practice is necessary if ordinary way of living is the Way (道) ? Do the so - called ordinary activities in Sŏn context exclude ordinary happenings between people or social problems ? This article explores Ta - hui and other Sŏn masters ’ responses to the problems of Sŏn , and examine the implication of their responses by continuously throwing questions without being satisfied with finding a single answer . Thereby , I propose to approach the “ inconvenient ” truth through an unaccustomed way , not to select an familiar approach toward a secured answer . 이 글은 선을 다른 시선으로 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선에 낯설게 다가가기 위해 물어본다. ·선사는 왜 대중을 당혹스럽게 했을까? ·파사현정, 시비분별은 선의 금기인가? · 일상 그대로 도라면 수행은 왜 할까? 선에서 말하는 일상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일, 사회문제를 배제하는가? 이 기획은 선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한 대혜를 비롯한 조사들의 대응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발굴한다. 정해진 답을 구하는 대신 물어보고 또 물어볼 것이다. 익숙한 접근을 선택하여 편안한 안주를 지향하기보다는, 낯선 길을 선택하여 불편한진실에 다가가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看話의 철학

        변희욱(Byun, Hee-Woo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이 글은 看話의 본격 주제, 간화의 실제와 원리를 학술적으로접근해보기 위한 시도이다.祖師는 本來面目을 일깨우기 위해 格外의 機緣을 보인다. 학인이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조사는 낮추어 보여준다. 조사의 뜻을 알고자하나 공부가 진척되지 않는 다양한 증상으로, 혼침과도거, 無記, 송화두 염화두, 주작화두, 穿鑿, 大悟가 있다. 이런증상의 원인은 답을 찾지 않고 문제만 보거나 간절하지 않기때문이다. 간절하게 답을 찾으면 나와 의심이 저절로 하나가 된다. 이 때가 간화의 시절이다.중생은 곧 부처다. 중생이 노력해서 부처가 되겠다고 발상이근본적인 병이다. 지금 바로 부처인데도 여전히 중생인 까닭은부처와 중생, 나와 남, 있음과 없음을 둘로 나누어 사고하기 때문이며 그런 사고에 젖어 있기 때문이다. 익숙한 틀(熟)을 벗어나 낯설지만 본래의 틀(生)로 복귀해야 不二門을 투과할 수 있다. 존재의 원리가 中道이니, 간화의 원리도 중도이며, 궁극의지향도 중도 체득이다.간화는 기존의 나를 해소하여(殺) 본래의 자유로운 상태로(活)로 가기 위한 조사의 관문이다. 격외의 관문을 돌파하여 부처로 복귀하는 방안이 바로 간화이다. 돌아보면 본래 그 자리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fundamental subject of K’an‐hua, namely the actual state and the principle. Seon masters ask questions beyond the case for their students to acknowledge their own pure nature(s. prabhāsvavatā). There are some symptoms such as torpor or agitation, tranquility without huatou, pronunciation of huatou, attention of huatou, falsification of huatou, inquiry of huatou, waiting (for) enlightenment without K’an‐hua, in case a student wants to know his/her Seon master's intention. The origin of these features is that students do not focus their mind to find an answer and/or they study without sincerity. When a student focuses his/her mind to find an answer with sincerity, he/she and a great doubt become one spontaneously. A sentient being is a buddha. It is fundamentally ill if anyone has an idea of practicing in order to become a buddha. The reason why anyone is still a sentient being, even though he/she is already a buddha, is that he/she has the dualistic thought; a sentient being or a buddha, myself or others, being or nothing, etc. He/she can pass the non-dualistic gate, when he/she frees himself/herself from the familiar pattern and return to the unfamiliar but original pattern. The principle of existence is the middle way, the principle of K’an‐hua is the middle way and the purpose of K’an‐hua is the realization of the middle way

      • KCI등재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변희욱(Byun, Hee-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5 No.-

        교외별전(敎外別傳)과 교학(敎學)은 양립할 수 없나? 이 글에서는 교학 “이후(beyond)” 등장한 “교외별전”의 의미를 묻고, 교외별전 “이후 (after)” 그 개념은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탐구한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나?”라는 물음에 관련하여 크게 네 가지 노선이 있었다. 교학 이후, 조주는 문자 그대로의 교외별전을 고수했다. 교외별전은 교학 이후를 상징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할 수 없다. 교학 이후, 종밀은 선교일치 주장하면서 선 수행에 교학을 필수조건으로 요구했다. 종밀의 선교일치론에서 교학은 선의 필수조건이며, 선과 교학은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이다. 그의 선교일치론에서 교외별전이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교외별전 이후, 대혜는 교외별전의 취지를 전달함에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다. 그는 경론과 문자를 활용했지만 교학을 인정했다고 할 수 없다. 대혜의 경우, 교외별전의 함의는 교학과 언어에 매몰되지도 외면하지도 않으면서 그것을 자유롭게 활용함이다. 교외별전 이후, 한암은 교학을 수용하여 교외별전의 의도를 전달하려 했다. 한암에게 교학 수용은 교외별전에 위배되지 않는다. 한암의 경우 교외별전과 교학은 양립가능하다. 임제종 양기파가 사용한 교외별전이라는 용어는 문자에의 속박으로부터 해방, 본성 직접 확인과 관련되었다. 그들은 교외별전의 개념을 “불립문자 직지인심견성성불”로 정리했으며, 그들에게 교외별전은 선 자체를 의미한다. 조주, 대혜, 한암의 선을 교외별전이라는 같은 용어를 묘사할 수 있다. 교학 이후, 교외별전과 교학의 관계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

        변희욱(Byun, Hee-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이 연구는 ‘간화선에서 앎과 알지 못함의 의미를 정리’하기 위한 기획이다. 간화선에서 지적인 앎 혹은 이해(知見, 知解)는 장애로 기능한다. 선은 지식축적(見聞覺知)과 비교분석ㆍ추론(思量計較)을 금기로 한다. 나아가 선은 ‘기존 사고 틀의 해체’를 요구한다. 간화선에서 알지 못함은 ‘간화의 시작’이며, ‘간화라는 지렛대의 받침점’이다. 알지 못하기에 알고자 함(의심)이 시작되며, 알고자 함이 시작될 때 간화가 시작된다. 알지 못함은 앎의 전환 즉 기존의 앎을 극복하고 “본디 그대로”의 앎으로 복원하게 하게 하는 회전축이다. 간화는 앎이 아니라 알지 못함에서 시작하여, 알 수 없음을 체험하는 과정이다. 간화의 의심은 알려고 했는데 알 수 없어서 필사적으로 알려고 함이다(“desperate yearning to acknowledge”). 주어진 기연문답에 기필코 알아내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발동했을 때, 던져진 기연이 바로 화두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meaning of “knowing” and “not knowing” in K’an-hua Ch’an. Intellectual knowledge(知見) or understanding(知解) is functioned as an obstacle in the way of realization in K’an-hua Ch’an. Intellectual knowledge from literary learning(見聞覺知) as well as from comparative analysis and inference(思量計較) is regarded as a contra-indication in Ch’an. Not knowing is operated not only as the critical starting point of K’an-hua but also as the fulcrum point of leverage, which is so-called K’an-hua. Endeavoring to acknowledge can start not because of knowing but because of not knowing. K’an-hua originates from the moment of endeavoring to acknowledgement. In short, it is claimed in this article that the real meaning of “doubt (疑)” is “a desperate yearning to acknowledge.” Deconstruction of the established pattern of thinking is also required in Ch’an.

      • KCI우수등재

        사대부 학문 비판을 통해 본 대혜의 “유학적 선”

        변희욱(Byun Hee-Wook) 불교학연구회 2004 불교학연구 Vol.8 No.-

          This thesis attempts to explain Ta-hui Tsung-Kao(大慧宗?: 1089-1163)"s view on scholar officials’ learning(學問). The targets of Ta-hui criticism are not limited to Ch"an Buddhism of the time. It targets the entire intellectual currents of the time. I believe, therefore, that the research on Ta-hui"s criticism on the intellectual currents of the time is indispensible, as we investigate Ch"an"s con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in Sung.<BR>  Ta-hui criticised scholars" learn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and their indifference in relating their study to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With regard to the learning method, he was against their fragmented thinking, deficiency of self reflection, and noncritical readings. He diagnosed that all their problems originated from their negligence of self-reflection and insufficiency of self confidence. Thereupon, he suggested “seeing Ch"an"s self-original perfect nature(見本來面目)" as the treatment for their problems. As it were, he exhorted scholar officials to practice mind cultivation of Ch"an.<BR>  This new way of learning suggested by Ta-hui includes social engagement of Confucianism as well as mind cultivation of Ch"an.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call Ta-hui"s learning as “Confucian-Ch"an learning", and his Tao as “Social Everyday Mind 社會的 平常心是道)".<BR>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say that his criticism on scholar officials" learning is the fundamental criticism on the studying method of the time and that it also initiated intellectual discourses on this topic. Ta-hui"s actual concern was on “the problem of man", when he talked about the problem of learning. At this point, he stands on the same ground of the Taoxu?-movement(道學運動) in Sung dynasty. He made efforts not for the renovation of mind cultivation-method, but for the renewal of learning in S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