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환자 의료분쟁 해결을 통한 국제진료 활성화방안

        변승혁 한국중재학회 2016 중재연구 Vol.26 No.1

        Activation Plan for International Health Care through the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The field of international health care is currently being expanded and developed into the new industrial field of medical tourism through the convergence of medicine–a public sector–and tourism–a private sector.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with medical law regarding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that may occur when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the resolution of these disputes. It also introduces the current most ideal resolution plan for medical disputes. Advanced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with foreign patients are as follows: First, when conducting international health care, the obligation to explain a medical treatment should be applied at higher standards for foreign patients. Second, all medical treatment procedures, including appointments, treatments, discharge, post-operation consultations, and follow-up treatments of foreign patients should be charted and recorded. A checklist regarding precautions for each procedure along with a response manual for problems should also be established. These regulations can prevent unexpected conflicts in advance when medical disputes occur. If a medical dispute with a foreign patient occurs despite thorough advance prevention, it can be resolved through reconciliation, mediation, and arbitration.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field along with its related industries and authorities should put their efforts into developing these priori/posteriori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international medical health care. The laws and technological/human capabilities in medicine should also be improved in order to activate international medical health care. 국제진료는 최근 공적분야인 의료의 영역과 사적분야인 관광의 영역이 융합되어 의료관광이라는 새로운 산업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발전되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환자 유치시 발생될 수 있는 의료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분쟁이 발생되었다면 그 즉시 해결 가능한 방법은 무엇인지 의료법의 문제점을 다루어가며 현 시점에 분쟁해결을 위한 가장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외국인환자와의 의료분쟁 예방을 위한 조치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국제진료시 외국인환자에 대해 강화된 기준으로 진료행위에 대한 설명의 의무를 적용해야 한다. 다음으로, 외국인환자의 예약, 진료, 퇴원, 결과상담 및 사후관리 까지 모든 의료행위 절차를 차트화하고 기록을 남겨두어야 하며, 각 단계별로 주의사항에 대한 체크리스트 및 문제발생 시 대응 매뉴얼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규정은 실제 의료분쟁 발생시 예기치 못한 갈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외국인환자화의 의료분쟁 발생시 앞선 방법에 의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최선의 해결방법으로 ‘중재’를 통한 해결도 검토할 수 있다. 중재를 통한 의료분쟁 해결방법은 세계 각국의 법학자 및 연구자들도 국제의료관광박람회(WMTC, World Medical Tourism Congress)를 통해 의료분쟁의 해결방안으로 ‘국제중재’를 권하고 있다. 이러한 사전적ㆍ사후적 방안을 정부와 의료계는 물론 관련산업 모든 관계자가 국제진료 활성화를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국제진료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및 의료업계의 기술적, 인적 역량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 헬스케어의 대중국 수출 가능성 연구 -중국 건강검진 시장진출을 중심으로

        변승혁,이학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7 e-비즈니스 연구 Vol.18 No.6

        Global demands for healthcare service have been on the increase in tandem with the rise in the disposable incomes. China, the fastest growing economy, is one of the many countries with big appetites for the health care service. Foreign medical and health care service providers are rushing towards China. Korea which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China and shares cultural backgrounds is to pursue active participation in Chinese health care market. Close bilateral economic tues and Korea-China FTA will be sure to help in this direction. Five contributions from this research are: 1) Korea's recent developmen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of support for Korea's presence in Chinese health care market. 2) Five elements of SERVQ UAL are reexamined and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3) Tangibility and reliability are influential in IoT-based top-level medical service 4) Assurance and reliability are influential factors on quality and satisfaction of health care service and 5) Chinese health care service providers and professionals are select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 which can give us practical insights into China. Future research should overcome the weaknesses of this research. The limitations of objective data, which force us to conduct analysis on survey results and the constraint of the availability of private information due to the relevant law, are research barriers to surmount in the following studies. 최근 세계적인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서 중국의 변화는 가장 주목할 만하다. 중국은 지속적인 성장과 도시화 및 고령화에 따라 헬스케어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해외의 의료기관과 기업들이 중국 진출을 앞다투고 있다. 중국의 인접국으로서 활발한 인적 교류와 문화적 배경을 동유하고 있는 한국도 헬스케어 분야의 중국 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긴밀한 경제협력 및 한ㆍ중 FTA 등은 협력의 촉매제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헬스케어 서비스의 중국 진출 가능성을 타진한 본격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시사점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최근 발전하고 있는 한국의 4차 산업혁명은 헬스케어의 중국 진출에 도움을 줄 것이다. 둘째, 서비스 품질(SERVQUAL) 평가 방법으로 사용되어온 5가지 요인을 건강검진 차원에 서 재검증하는 한편 유형성,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의 4가지 차원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유형성과 신뢰성이 사물인터넷(IoT) 접목 첨단서비스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유형성과 신뢰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헬스케어 서비스품질과 헬스케어서비스 만족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확신성 및 신뢰성이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한국의 헬스케어서비스 이용경험대상자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타겟시장에 대한 헬스케어 서비스의 품질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의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한편 이 연구는 객관적인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한 설문조사 방식 의존, 의료법과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법 의 현실적인 적용 등의 한계점을 갖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들을 극복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할 것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특수산업 현장의 위험요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업무 생산성 증대 연구 : 8대 산업현장 근로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만족도를 중심으로

        변승혁,김기홍,양희수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4

        본 논문에서는 8대산업분야(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유통·배송업, 운수업, 의사·간 호사·소방공무원 직군)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산업현장 위험요인 관리 애플리 케이션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사전예방 성격의 위험요인 기능에 대한 영향력을 측정하고자 서비스품질의 속성 중 유용 성과 안정성 항목을 통해 위험요인의 예방관리에 대한 관계성을 확인하였으며, 실제로 각 요인이 인공지능 위험관리 서비스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위험관리 서비스를 통해 작업현장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다면, 애플리케이션 의 수용의도에도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근로자지원프로그 램이 특수산업현장에 활용되기 위해 위험요인 관찰에 대한 기능구현이 필요함을 발견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특수산업환경 근로자가 위험요인 사전예측을 통한 근로자의 작업 연속성을 확보하고, 업무 생산성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a satisfaction survey of an industrial site hazard factor management appli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workers in eight major industrial sectors (construction, manufacturing, service industry, distribution and logistics, transportation, medical and nursing professions, and firefigh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was verified. The hypothesis testing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model are as follows: The impact of the preventive nature of risk factors was measu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ive management of risk factors was confirmed through the attributes of usability and stability in service quality. It was verified that each factor indeed influences artificial intelligence risk management service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if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can be discovered in advanc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risk management services, there i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adopt the application.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ality related to observing risk factors is necessary for the utilization of existing worker support programs in specific industrial sites. It is essential to ensure the continuity of workers' tasks through the prediction of risk factors, which can lead to increased work productivity.

      • KCI등재

        개인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활용이 개인행동 개선 및 근로환경 개선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소방공무원 대상 디지털치료제 가치탐구를 중심으로 -

        변승혁,송성욱,양희수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7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건강·심리 위험 요인 행태에 주목하여, 일차적으로 건강·심리 인지에 따른개인행동 개선 의지 및 근로환경 개선 프로그램 참여 의지 수준을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소방공무원의건강·심리 위험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개인행동 개선과 근로환경 개선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진행을 위해 2021년부터 2023년 10월까지 제주 전역의 소방서 약 27개소, 소방구조대원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0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SPSS(18.0)와 AMOS(24.0)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치료제로서의 가치탐구가 발견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도적 관리적 측면에서의 대응전략 제안을 통해 심리위험요인에 대한 해결방법을 모색하였다. 재난현장에서 인명구조, 화재진압 등 직무를수행하는 소방공무원에 대한 PTSD나 우울증에 대한 개선활동 인프라가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PTSD 및 우울증에 대한 자발적 생활습관 개선 및 개인예방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제도적, 관리적 측면에서의 보완을 제안하였다. 디지털치료제는 질병에 대한 치료적 중재를 위해 소프트웨어 형태로 환자와 소통하는 치료 방법이다. 심리요인의 경우 환자가 치료를 위해 당시 상황을 재현하거나 솔직한 마음의 고충을 노출해야 하는 어려움이있다. 이러한 민감한 부분을 주사제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다면실제 질병예방에 도움을 주는 치료제로서 가치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Research Purpose: Focusing on the health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firefighters, we initially assessed the level of individual behavioral improvement willingnes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workplace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s based on health and psychological awareness. We also examined the impact of application usage, which can address health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among firefighters, on individual behavioral improvement and participation in workplace environment improvement programs. Research Methods: From 2021 to October 2023,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pproximately 27 fire stations and 138 firefighters across Jeju. A total of 107 responses, excluding unreliable ones, were utiliz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8.0) and AMOS (24.0). Results in Research: For areas where the exploration of value as a digital therapeutic was not identified, we sought solutions to address psychological risk factors through proposals of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trategies. We recommended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improvement activities related to PTSD and depression among firefighters. Additionally, we proposed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enhancements for voluntary lifestyle improvements and individual preventive activities regarding PTSD and depression among firefighters to actively take place. Research Conclusion: Digital therapy is a therapeutic approach in software form that communicates with patients for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diseases. If the effectiveness of addressing these sensitive aspects can be observed through software in the form of applications rather than injectable medications, it could have value not only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but also as a treatment contributing to actual disease prevention.

      • KCI등재

        질병예측 알고리즘 기반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활용방안 연구-국가 5대암 및 12대질환 예측을 중심으로-

        변승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5대암 12대 질환에 대한 위험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다양한 헬스케어 인공지능 기법을 통해 예측알고리즘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기 위한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구진행을 위해 2019년~2022년까지 4년간 3번 이상 병원을 방문한 환자의 개인의무기록 중 62,000건의 국가 일반건강검진 항목, 혈액검사 수치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질병예측을 위한 자동학습 모델을 적용하였다. 예측알고리즘의 시험결과 성능지표는 Accuracy 0.99, F1 Score는 0.99로 확인되었다. 최종 도출된 예측알고리즘을 바탕으로 간암(F1 Score 0.987), 위암(F1 Score 0.987), 폐암(남성, F1 Score 0.989), 대장암(F1 Score 0.998), 갑상선암(F1 Score 0.978), 유방암(여성, F1 Score 1.000) 및 12가지 만성질환(평균 F1 Score 0.993)에 대한 예측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도록 문제점 해결방안과 성공전략 5가지를 제시하였다. 인공지능은 질병진단의 정확성을 향상ㆍ과잉진료 방지ㆍ개인의료비 절감ㆍ신약개발 기간의 단축 등 전반적인 의료산업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촉진시킬 것이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 인공지능을 통해 더 포괄적인 개인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고,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의 실현을 앞당기는 의료혁신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we proposed methods for developing algorithms based on medical big data to observe the risk levels of the top 5 cancers and 12 major diseases using various artificial intelligence analysis techniques. Additionally, we suggested strategies for activating healthcare applications to make use of these algorithms. Research Methods: From 2019 to 2022, we utilized data from 62,000 records of national general health check-up items and blood test results in the personal health record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three or more times within a four-year period. We applied an automated machine learning model for disease prediction. Results in Research: The test results showed a performance metric of Accuracy at 0.99 and F1 Score of 0.99. Based on the final derived prediction algorithm, we can provide prediction services fo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liver cancer (F1 Score 0.987), stomach cancer (F1 Score 0.987), lung cancer (male, F1 Score 0.989), colorectal cancer (F1 Score 0.998), thyroid cancer (F1 Score 0.978), breast cancer (female, F1 Score 1.000), and 12 chronic diseases (average F1 Score 0.993). Research Conclusion: The derived prediction algorithm has been examin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for healthcare services, and various issue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es. To address these issues, we have proposed five strategic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