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F2를 중심으로-

        백종인 ( Paek Jong-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58 No.3

        본 논문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F2부분의 표제어 ‘非同尋常’에서 시작하여 표제어 ‘蜂蠟’에 해당하는 어휘를 중국 인터넷으로 용례와 풀이를 살펴본 후 중한사전과 비교하여 발견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중한사전의 표제어를 중국 코퍼스로 검색하여 출현 횟수를 살펴보면 대체로 저빈도어휘에서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 어휘 1500개를 연구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유형에 따라 ① 의미풀이의 오류, ② 의미항의 누락, ③ 그 밖의 오류세 부분으로 나누어 이들 어휘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밝히고 대안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F2부분에서 약 432개의 저빈도어휘가 나타났으며 이들을 분석한 결과 60개의 어휘에서 표제어로서의 적합성과 석의상의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문제점에 대해 자세하게 토론하였다. In this paper, study on the adequacy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and Chinese Internet(Baidu). Studies show that I have come to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is low frequency headword. In this paper study on D5E1 par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There are three into these results. ① a semantic error ② omission of semantic terms ③ other errors. There are 432unit low frequency Headword in F2 part from'非同尋常' to '蜂蠟'.

      • KCI등재

        중국 코퍼스 및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C3을 중심으로

        백종인 ( Paek Jong-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중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국어 학습을 돕기 위한 중한사전의 종류와 숫자가 늘고 표제어 수도 대폭 증가되었지만 중국어사전의 표제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필자의 그동안의 연구에 따르면 적지 않은 표제어들이 선정과 석의에 있어서 많은 문제가 나타났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 표제어들 가운데 중국 코퍼스상의 출현 횟수가 현저하게 낮은 저빈도 어휘들을 검출한 뒤, 이것들의 석의가 적절한지 또 표제어로서 적합한지 등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4종류 사전에서 모아진 표제어 전부를 중국코퍼스로 검색하여 출현빈도가 10이하인 저빈도 어휘를 골라내고, 다시 이것들이 중국에서 현재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중국 인터넷을 통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C3` 표제어이다. In this paper, study on the adequacy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Studies show that I have come to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is low frequency headword. In this paper study on C3 part. There are four into these results. ① Both showed up in the Chinese Corpus and the internet(Baidu) ② only seen in the Chinese Corpus ③ only seen in the internet(Baidu) ④ All not appear in two. There are 30% low frequency headword in C3 part.

      • KCI등재

        신생아실에서 발견되는 프래더 윌리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

        상훈 ( Sang Hun Baek ),안소윤 ( So Yoon Ahn ),이명숙,한영미,성세인 ( Se In Sung ),심재원 ( Jae Won Shim ),황종희 ( Jong Hee Hwang ),진동규 ( Dong Kyu Jin ),박원순 ( Won Soon Park ),장윤실 ( Yun Sil Chang )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2

        목적: 프래더 윌리 증후군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은 환자의 치료 및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프래더 윌리 증후군 환자의 신생아 시기의 임상적, 식이적 특징이 체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어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부터 2011년까지 15년간 프래더 윌리 증후군으로 확진 받은 환자들에서 삼성서울병원 신생아중환자실입원 병력이 있었던 1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환자들을 출생 시 특징, 임상적 특징, 식이, 진단과 호르몬 치료의 4가지 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출생 시 특징을 보면, 산모의 나이는 31.5±4.5세였으며, 5명(35.7%)이 초산부였다. 양수과소증이 2례 (14.2%), 양수과다증은 4례(28.5%)가 있었고, 5례(35.7%)의 산모에서 태동의 미약함을 호소하였었고, 4례(28.5%)에서 태아 호흡 곤란증을 보였다. 평균 재태연령은 38.1±2.2주로 12명(85%)이 만삭아였고, 1명(7.1%)은 과숙아(재태연령 42+5 주), 1명(7.1%)은 미숙아(32+0주)였다. 출생 시 평균 체중은 2,509.0±442.5 그람 이였고 5명(35.7%)이 출생체중 부당경량아였다. 임상특징으로는 14명의 환자 모두(100%) 저긴장증(hypotonia)과 출생시 약한 울음(weak cry)을 보였다. 9명 (64.5%)에서 특징적인 얼굴 이형성증을 보였다. 9명의 남자 환자 모두에서(100%) 잠복고환이 있었다. 식이 진행도 처음입원 시부터 원활하지 않아 경관식이로 시작하였고, 입으로 빠는 힘도 약하였다(100%). 퇴원 시 경구 수유 대 경관 식이량 비율은 평균 39.4±36.6%로 경관식이 병행 시에도 경관으로 들어가는 식이 비중이 높았다. 경관 식이 병행 기간은 평균 3.2±2.0개월이었다. 프래더 윌리 증후군 확진 시기는 19일에서부터 96개월까지로 다양하였으며,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14명 중 7명(50%)은 신생아 시기인 1개월 내에 진단되었다. 후반부로 갈수록 진단까지 걸리는 일 수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작은 표본 수로 인해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성장호르몬 투여 시기의 중앙값은 2.0세, 진단부터 성장 호르몬 치료까지 걸린 평균기간은 2.2±2.0년이었다. 결론: 신생아 시기에 위에서 언급한 특징을 지닌 환자들을 의심하고 검사하는 것이 진단으로 가는 혼란을 줄이고, 빠른 진단을 통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수적이다. 신생아 시기에 빠른 진단은 향후 환자의 치료 성과 및 장기 예후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In Korea, neonatal clinical features and feeding pattern are not reported systematically. So we report the neonatal presentation of Prader-Willi syndrome,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14 neonate with Prader-Willi syndrome whose diagnos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st 1997 and December 30th 2011, Results: The birth characteristics of patients, maternal age was 31.5±4.5 years and 5 (35.7%) were primiparous. Oligohydramnios were reported in 2 cases (14.2%), polyhydramnios were reported in 4 cases (28.5%). 5 pregnancies (35.7%) had complained that decreased fetal movements. Mean gestational age were 38.1±2.2 weeks and 12 patients (85%) were term infants, one patient (7.1%) was post term infant, the other patient was preterm infants (7.1%), The average weight at birth were 2509.0±442.5 grams. All 14 patients (100%) had hypotonia and a weak cry at birth. 9 patients (64.5%) had the characteristic facial dysplasia. In all, nine male patients (100%) had cryptorchidism, All patients had weak sucking power, so they started to eat via nasogastric tube at birth, The mean duration of use nasogastric tube were 3.2±2.0 months. The median age of diagnosis were 1.5 months, 7 cases (50%) were diagnosed within one month of life, Median time of starting GH treatment was 2.0 years, The mean interval of from diagnosis to treatment of growth hormone were 2.2±2.0 years. Conclusions: Early diagnosis of Prader-Willi syndrome is a very important to improve long-term prognosis.

      • KCI등재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 H2-2(henggongbiji~hongsexiaofei)를 중심으로 -

        백종인 ( Paek Jong-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1

        본 논문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H2-2 (henggongbiji ~ hongsexiaofei)에 해당하는 어휘 498개에 대해 일일이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으로 출현 횟수와 용례 및 풀이를 살펴본 후 중한사전과 비교하여 발견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위에 해당하는 어휘를 연구한 결과 48개의 오류가 나타났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유형에 따라 ① 의미풀이의 오류, ② 의미항의 누락, ③ 그 밖의 오류 세 부분으로 분류하고,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중점적으로 토론했으며, 최대한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사전의 어휘풀이가 코퍼스 및 인터넷에서 활용될 때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최대한 사전의 오류를 수정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그 결과물이 앞으로 중한사전을 편찬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study on the adequacy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and Chinese Internet(Baidu). Studies show that I have come to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is low frequency headword. In this paper study on H2-2 par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There are three into these results. ① a semantic error ② omission of semantic terms ③ other errors. There are 183unit low frequency headword in H2-2 part.

      • 병사의 진로발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백종인(Jong-in Baek)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24 No.-

        이 연구의 목적은 병사의 진로발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가 허락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가 통합된 후방지역 비전투 부대 병사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병사들은 진로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해본 경험이 부족하며, 기회가 주어지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사들은 진로프로그램 참여나 진로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사들은 진로발달을 위해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지만 그 수준은 낮으며,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더라도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로 막연한 활동을 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한 실정이다. 넷째, 병사들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영역별, 그리고 하위영역의 세부 내용별 중요성을 78.4% 이상으로 높게 보고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할 시에 모든 하위영역들을 균등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의 대상을 전방부대 및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별로 구분하여 요구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각 군별 요구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로그램 주제를 진로준비행동 이외 진로결정이나 진로변경,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등 다양한 주제로 요구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llect basic data to design soldiers’ career development program. In this respect, targeting 150 soldiers who agreed to the survey of non-combat troops integrated the Army, Navy and Air Force, Marine Corps in rear area, their perception and demand about career program, their opinion about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 program operation method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it was shown that soldiers had not enough experience to join in career-related programs and they wanted to join the program if chances are given. Second, it was disclosed that soldiers perceived that career program participation and career education are required and they had expectation for it. Third, there is only low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soldiers’ career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e about lack of perception of what and how they have to do even when they are tak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vague state. Fourth, as soldiers reported 78.4% of importance about lower area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mportance about the subdomain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details, it was suggested that at the time of composing the program, all subdomains should be equally considered. From this research abov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dividing survey targets to all troops of the navy, air force, and even the Marine Corps and performing demand survey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s the program topics, various topics of demand surveys should be performed, such as career decision, career change, career self-efficiency, career self-esteem aside fro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경찰권 발동의 근거로서 개괄적 수권조항에 관한 검토

        백종인(Baek, Jong-In),유종민(Yoo, Jong-Mi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36 No.-

        민주국가에서의 헌법의 중요한 지도목표 중 하나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기본권 보호라 할 것이다. 따라서 경찰작용(위험방지작용)은 헌법상 요구되는 국가임무이기에, 경찰의 최우선 책무는 개인의 생명, 신체, 자유 및 재산의 보호이다. 결국 경찰상 위험방지는 국가의 의무이자 민주법치국가에서 포기할 수 없는 기본적 기능이며, 경찰제도는 오늘날 국가의 존립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국가기능으로서 법과 질서의 유지를 위한 불가결한 제도로 이해되고 있다. 왜냐하면 사회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가 확보되지 아니하면 국가의 존립이나 국민생활 그 자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험방지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경찰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경찰행정작용은 헌법과 법률에 기초하여 행사되어야한다. 즉, 헌법과 법률은 경찰권 발동의 근거이자 동시에 경찰작용의 한계를 이룬다. 따라서 경찰권 발동에 있어서 그 근거와 한계는 헌법과 법률에 구속된다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오늘날 경찰은 전통적인 경찰개념의 해석을 초월하여 그 역할과 기능이 사회적ㆍ제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경찰활동의 근거가 되는 법률의 정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경찰활동에 대하여 다양한 법률에서 그 근거를 규정하고 있으나 복잡ㆍ다양한 현실을 제도적으로 완전히 뒷받침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경찰활동에 있어서 그 직무가 관계법령을 통하여 명확하게 규정되는 것이 어렵지만 이에 대한 노력을 멈추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찰공무원의 직무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야 그에 맞는 경찰의 책무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고 그 책무를 위반하는 경우에 그 책임을 논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찰권 발동의 근거로서 개괄적 수권조항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경찰관직무집행법이 경찰작용의 일반적 근거와 국민의 기본권적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경우의 구체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One of the objectives of the constitution in a democratic state is the protection of the dignity, value, and basic rights of human beings. Policing or preventing risks to the citizens’lives and properties is the state’ duty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refore, the utmost obligation of the police is to protect the individuals’lives, bodies, freedoms, and properties. Preventing risks to the citizens’lives and properties is the state’ duty as well as a basic function that a democratic state cannot give up, and the policing system is the most basic and essential function of the state and the inevitable system for maintaining law and order to fortify the state, for without maintaining the public’ well-being and order, the existence of the state and the nation’ life can be put in danger. Therefore, the police should strive to ensure the public’ well-being and to prevent any risk to peace and order in the society. The police’ administrative function for ensuring the public’ well-being and for maintaining order should be based on and execut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In other words,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are the bases not only of the policing right but also of the policing limitations. Therefore, the base and limitation of exercising the police authorities are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law. Accordingly, policing today tends to expand its role and functions both socially and systematically, surpass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policing. So organizing the law that is based on police activities is required. While policing is based on various law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and systematically cover the complex and various related realities. This notwithstanding, or while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duty of policing through the related laws,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in this regard because only after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s is clearly defined can the corresponding duties of the police be explained, and if the police officers violate such duties, the corresponding responsibilities can be discussed.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general authorized provisions as the basis of exercising the police authorities. In particular, it discusses the law on the execution of the police officers’duty, which stipulates the concrete conditions for policing and the cases in which the public’ basic freedoms and rights can be restricted.

      • KCI등재

        집회 및 시위에 있어서 경찰권행사의 한계

        백종인(Baek, Jong-In),유종민(Yoo, Jong-Mi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33 No.-

        경찰권의 행사는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하여 위해의 방지는 물론 이미 발생한 위해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적극적 국가 활동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경찰관직무집행법 제2조 ⑤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유지, 경찰관직무집행법 제5조 제1항의 “기타 위험한 사태가 있을 때에는 다음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라는 두 개의 조항을 두고 개괄적 수권조항의 근거에 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다. 그러나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은 경찰이 집회 및 시위에 있어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라는 불확정개념의 1차적 해석 적용자이기에 경찰권을 발동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부담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경찰작용은 위해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국민에게 명령·강제하는데 이는 권력적·침익적 작용이기에 이러한 경찰권의 발동에는 반드시 법률의 근거가 있어야 함은 물론 그 행사에 있어서 일정한 법규상·조리상한계가 따른다할 것이다. 따라서 경찰은 집회 및 시위에 대한 경찰권의 발동에 있어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에 대한 ‘위해’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경찰작용을 함에 있어서 법규상 조리상의 한계를 준수하여야 함은 물론 최대한 인권을 존중하여 평화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exercise of police power means progressive state activity which aims at not only preventing danger but also removing on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in order to maintain public peace and order. In regard to this, there is conflict of opinions on basis of the general empowerment clause about two clauses that mean ⑤ the maintenance of other public peace and order, Article 2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nd if other dangerous situations happen, the following actions could be taken., Clause 1, Article 5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But problem is that the police must comprehensively judge all involved circumstances to exercise the police power as the first enforcement officer about the contingent idea that means the maintenance of public peace and order i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s well as the police action forces and commands public to remove danger or to prevent one. as it is powerful, violational action, the exercise of these police power certainly must have legal reasons and follow legal, sound reasoning limitation in exercising police power. Therefore the Police must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harm on public peace and order in exercising police power about assembly or demonstration, the police action should be observed in legal and sound reasoning limitation and carried out peacefully, safely by respecting human right as they could.

      • SCOPUSKCI등재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자연기흉의 수술치료

        만종,이승렬,선경,김광택,이인성,김형묵,Baek, Man-Jong,Lee, Seung-Yeoul,Sun, Kyung,Kim, Kwang-Taik,Lee, In-Sung,Kim, Hyoung-Mook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6 No.2

        30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underwent videothoracoscopic treatment between March and July 1992. The patients ranged in age from 16 years to 62 years (mean age, 30.4 years) and the incidence according to age group was highest as 50 % in the adolescence between 21 and 30 years old. The indications of the therapeutic videothoracoscopy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recurrence (30.8%), persistent air leak (30.8%), visible blebs on the chest X-ray (20.4%), tension pneumothorax (15.4%), and bilaterality (2.6%). Intraoperative 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s; blebs (87.1%), pleural adhesion (45.2%), and pleural effusion (22.6%).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one lung intubation guided by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Procedures included bleb and/or wedge resection, tetracycline pleurodesis with mechanical abrasion, and parietal pleurectomy. Successful treatment was obtained in 66.7% (20/30) and the me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 of the successful cases was 5 days. Videothoracoscopy also provided the benefits of lesser postoperative pain, rapid recovery, short hospitalization, and smaller scar of wound by reduced trauma on access. The total 13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ccured in 10 patients, which showed somewhat higher rate than that of other reports because of lack of experiences in the earlier period, however, it had decreased progressively as experiences were accumulated and instruments were improved in the later period. The operative mortality was absent. Conclusively, videothoracoscopy is a new interesting modality of surgical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also can be extensively applicab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ther thoracic surgery.

      • KCI등재

        당뇨병이 합병된 임신에서의 모체 및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에 대한 임상적 연구

        은정(Eun Jeong Baik),김사진(Sa Jin Kim),이귀세라(Gui Se Ra Lee),신종철(Jong Chul Shin),김은중(Eun Jung Kim),김수평(Soo Pyung Kim),노승혜(Seung Hye Rho),이해남(Hae Nam Lee),강병채(Byung Chae Kang),심상인(Sang In Shim),이초희(Cho H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임신과 관련된 당뇨병을 발생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임신 전 당뇨병군과 임신성 당뇨병군으로 분리하여 모성 합병증과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 및 당뇨병 치료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 까지 내원하여 분만하였던 8,495명의 산모 중 당뇨병이 동반되었던 108례를 대상으로 임신전 당뇨병군(22례)과 임신성 당뇨병군(86례)으로 나누어서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1)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서 임신성 고혈압 7례(7%), 신우신염 3례(3%), 빈혈 8례(8%), 조기 진통 1례(1%), 망막증 1례(1%), 만성 고혈압 1례(1%), 갑상성 기능 항진증 2례(2%), 조기 심실 수축 1례(1%), 갑상선종 1례(1%), 태반 조기 박리 1례(1%)가 발생했으며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서는 임신성 고혈압 4례(18%), 신우신염 3례(14%), 빈혈 3례(14%), 조기 진통 2례(9%), 망막증 2례(9%), 신증 1례(5%), 심한 구토 1례(5%)가 발생했다 2) 임신성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에서 선천성 기형 3례(3.1%), 양수 과다증 7례(7.3%), 과빌리루빈 혈증 17례(17.7%), 저혈당증 39례(40.6%) 나타났으며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게서는 1례(4.6%), 4례(18.2%), 5례(22.7%), 6례(27.3%)에서 나타났다. 그 외 과체중아의 분만으로 인한 견갑 난산 및 자궁내 태아 사망이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게서 각각 1례(1.0%)에서 발생했으며 호흡곤란 증후군이 임신전 당뇨병 산모에서 조산으로 출생한 4례에서 모두 발생했다. 3) 당뇨가 합병된 임신에서 당뇨 치료에 따른 결과는 임신 전 당뇨병의 경우 식이요법만 한 경우와 insulin치료를 같이 한 경우를 비교했을 때 임신 주수, 모체 체중 증가, 신생아 출생 체중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는 치료를 전혀 받지 않았을 때가 insulin요법을 병행했을 때에 비해 모체의 체중증가가 유의하게 적었고 신생아 출생시 체중은 식이요법을 하였거나 insulin요법을 병행했을 경우가 치료가 없었을 때 보다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모성 및 신생아 합병증 발생도 치료가 병행된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임신전 당뇨병 산모는 임신성 당뇨병 산모에 비하여 모성 합병증 및 신생아 합병증의 발생이 높은 경향을 보이므로 임신 전부터 철저한 당뇨의 조절과 교육이 필요하며 임신성 당뇨병의 경우에도 치료의 유무에 따라서 임신시 체중의 변화, 신생아 출생시 체중과 모성 및 신생아 합병증 발생에 영향이 있으므로 임신 중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paper is to analyze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of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to compare with the outcome Method: The study included 108 pregnancies with diabetes mellitus among 8,495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Medical College, Holy Family Hospital from January 1, 1995 to December 31, 1998. The pregnancies were divided into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and reviewed retrospectively based on medical records Results: 1) Incidence of maternal complication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7%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3% of pyelonephritis, 1% of retinopathy and 1% of chronic hypertension. In case of pre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18%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5% of nephropathy, 9% of retinopathy and 14% of pyelonephritis. 2) Incidence of neonatal complication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1% of congenital malformation, 1% of shoulder dystorcia, 7.3% of polyhydramnios, 17.7% of hyperbilirubinemia, 40.6% of hypoglycemia and 1% of FDIU. In case of pregestaional diabetes mellitus, 1% of congenital malformation, 18.2% of polyhydramnios, 22.7% of hyperbilirubinemia, 27.3% of hypoglycemia, 18.6% of RDS and 4.6% of FDIU. 3) The outcomes of the treatment of pregestational diabe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ernal weight gain, neonatal birth wight but the incidence rates of neonatal complication was lower in case of insulin treatment 4) The outcomes of the treatment of gestational diabet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ernal weight gain, neonatal birth weight and the incidence rates of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was decreased in case of treatment. Conclusion: Incidence of maternal complication and perinatal complication was higher in pregestaional diabetes mellitus compar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so strict control of blood glucose level and education for diabetes mellitus were essential before gestation. And the proper treatment of gestational DM was necessary because matern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neonatal birth weight and the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were affected by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