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원주 海美山城[金臺山城]의 학술 성과와 정비 방안

        백종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2

        This article reviewed the literature records and existing research status of Haemisanseong Fortress (Geumdaesanseong Fortress) in Wonju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n investigated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s through case examples. On Mount Chiak, the main mountian of Wonju city, Geumdusanseong Fortress, Ryeongwonseong Fortress, and Haemisanseong Fortres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Jeongjokjise. Jeongjokjise means that the mountains are densely packed together like the three legs of a pot, formed like a single iron fortress. It is a histocal hierarchy because Wonju is a nodal point connecting Yeongdong and Yeongseo, and Chungcheong and Gangwon. However, until now, they have been considered as ‘mysterious fortresses in a veil’ due to the lack of academic research. Therefore, academic research, maintenance, and utilization of these mountain fortresses will be the only means to secure the identity of Wonju. Looking at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in Wonju, there were major events and figures such as the Pyeongwon-gun in Goguryeo, Bukwon Sogyeong and Bukwonjingyeong in the Unified Silla period, Yanggil and Gungye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he repulsion of Kadaan’s forces at the end of Goryeo Dyansty and General Won Chunggap, the Imjin War and Kim Jenam.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in discussing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nd their correlations. For the purpose, a ‘basic plan for comprehensive maintenance’ is required. When establishing a basic plan for comprehensive maintenance, it is believed that an integrated promotion of a project can ensure more efficiency.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mbine various academic research and academic conferences, including precise surface survey, survey research, academic conferences, regular promotion, and business agreements with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s. Also,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re essentially required as a minimum measure to legally protect cultural heritage. In recent years, as public interest in fortresses has increased, many surface surveys and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across the country. Some of the fortress excavation works seem as temporary events or like a “treasure hunt” competition.Lots of digging and covering works have been repeated. There is also an over-reliance on excavations centered on historical sites that can yield large amounts of artifacts, such as water catchment systems. Fortress excavations have been mostly done as an academic research. It is not a salvage excavation, but the excavations were don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academic and salvage excavations, which generates a big problem. I think it is time for academic research to share and recognize the following propositions: ‘excavation responsibility and interdisciplinary exchange among the fortress specialists’, ‘maximum results with minimum excavations’, ‘long-term excavation and minimal maintenance’, and ‘sufficient budget and pursuing excavation with advanced technologies and maintenance’. These things should be done carried out sequentially under a basic plan for comprehensive maintenance from the beginning stage of fortress excavation. [ 이 글은 원주 海美山城[金臺山城]의 조선시의 문헌 기록과 기존 조사 현황을 검토한 후 앞으로의 정비 및 활용 방안에 하여 살펴본 것이다. 원주의 진산인 치악산에는 金頭山城, 鴒原山城, 海美山城 등이 ‘鼎足之勢’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정족지 세란 솥발처럼 산성들이 밀집되어 하나의 철옹성을 이루었다는 뜻이다. 그만큼 원주가 영동과 영서, 충청과 강 원을 잇는 결절지이기 때문에 나타난 역사적 층위다. 하지만 현재까지 학술조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해 그저 ‘베일에 쌓인 신비의 성’들로만 여겨져 왔다. 그러므로 이들 산성의 학술조사와 정비 및 활용은 ‘原州의 正體性 (identity)’을 확보하는 유일한 수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원주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보면, 고구려때 평원군, 통일신라시의 북원소경과 북원경, 후삼국시의 양길과 궁예, 고려 말의 哈丹賊 격퇴와 원충갑, 임진왜란과 김제남 등 굵직한 사건과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고고학적 성과와 정합관계를 논하는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종합정비 기본계획’ 이 필히 요구된다. 종합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는 보다 입체적인 사업 추진이 좀 더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예컨 정밀지표조사, 측량조사, 학술회, 홍보 작업 상시화, 전문연구기관과의 업무협약 등 다양한 학술 행 사 및 조사와 학술회 등을 종합적으로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문화유산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서 문화재 지정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된다. 최근 들어 성곽에 한 관심들이 높아지면서 많은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등이 전국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 래서 산성 발굴이 일과성 사업 혹은 ‘보물찾기’의 경쟁(?)처럼 보이기 일쑤다. 그저 조사하고 덮는 과정이 되풀 이 된다. 또 집수시설과 같은 다량의 유물을 확보할 수 있는 유구 중심의 발굴이 너무 횡행한다. 산성 발굴은 부분 학술조사이다. 구제조사가 아니다. 그런데 너무 구분 없는 점이 큰 문제다. 이제 학술조사는 ‘성곽 전공자의 발굴 책임과 학제 간의 교류’, ‘최소한의 발굴로 최한의 성과’, ‘장기적인 발굴과 최소한의 정비’, ‘충분한 예산 반영과 고도화된 발굴 및 정비 지향’ 등의 명제들을 공유하고 인식할 시 기가 되지 않았을까 한다. 이러한 기반은 성곽 발굴 초기부터 ‘종합정비 기본계획’하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六溪土城의 調査ㆍ硏究成果와 歷史的 價値

        백종오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8

        This article summarizes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f Yukgye Earthen Fortress through surface surveys and excavation surveys. Then,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structure, and historical value of Yukgye Earthen Fortress by reviewing documents in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map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atural environment of Yukgye Earthen Fortress consists of the alluvial plateau on the riverbank of meandering rivers, the cliffs formed along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 development of rapids due to the inflow of tributary streams, mountainous areas such as Mt. Gamak and Mt. Papyeong in the south, and tributary rivers flowing to the north. It is believed that such a blessed environment acted as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Yukgye Earthen Fortress and many fortress relics around it.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on Yukgye Earthen Fortress, the name Yukgye Toseong(六溪土城, meaning Yukgye Earthen Fortress) was used in the Jeokseonghyeon Eupji(積城縣邑誌, Journal of Jeokseong-hyeon) after it was mentioned in Gihaeng Musul Juhaenggi(記行戊戌舟行記) as Yukgye Goru(drum tower) by Misu Heo Mok in 1658. In a topographical map of 1914, "Yukgye Toseongji(六溪土城址, meaning the site of Yukgye Earthen Fortress)" was indicated. It was indicated as Yukgye Seong(六溪城 meaning Yukgye Castle) in a national forest boundary map of 1915. The fortress structure shows the three-layered plane: inner, outer, and baby castles. Next, looking at its historical value, Yukgye Earthen Fortress condenses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stages of the fortress and provides a junction point of earthen fortresses on flat ground and mountainous stone fortresses. Chiljung Fortress(Chiljungseong) at the rear also changed from an earthen fortress to a stone fortress during this period. Until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Chiljung Fortress was a multi-layered earthen fortress. It was a double-layered fortress, like YukgyeEarthen Fortress. For example, in the Samguk 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Goguryeo's invasion of Chiljung Fortress in October and November of the same year, brilliant performances of Alcheon of Silla Kingdom, and Goguryeo's attack on Chiljungseong in November 660, and deaths of King and the ordinary people during the war occurred in theearthen fortresses with several layers. In addition, Horo Goru, known for stone structure with earthen axis along the Imjin River or stone fortress, Dangpo Fortress, Eundaeri Fortress, and Deokjin Mountain Fortress, also assumed to have natural structures of the earthen structure until this time. In addition, as the only triple flat castle in Korea, Yukgye Earthen Fortress was the largest base fortress in the Baekje Hanseong Period in the Imjin River Basin. The best Goguryeo relics and relics in South Korea were excavated there. After that, a military defense system was established centered on Horogoru, Dangpo Fortress, Eundaeri Fortress, Ami Fortress, Durubong Fortress, and Taebongsan Fortress. In other words,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of Yukgye Earthen Fortress + Chiljung Fortress + Mt. Gamak = flatland fortress + mountain fortress + high and stiff mountain was the basis for forming the ancient military defense system in the Imjin River basin. So far, this study has tried to figure out the plane structure of the earthen fortres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Yukgye Earthen Fortress. It provides a standard for examining the change process by period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pproach the fortresses with diverse perspectives with comprehension of natural topography and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rapids, cliffs, and mounds in the future. 이 글은 육계토성의 고고학적 성과를 지표조사와 발굴조사 등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조선시대 문헌과 일제강점기 전후 근대 지도류 등의 검토를 통해 육계토성의 현황 및 구조 그리고 역사적 가치를 살펴본 것이다. 육계토성의 자연환경은 사행하천의 하안 충적대지, 추가령 구조곡을 따라 형성된 단애, 지류하천의 유입에 따른 나루와 여울의 발달, 남쪽의 감악산, 파평산 등 산간지대와북류하는 지류하천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천혜의 환경은 육계토성과 그 주변에 많은성곽유적을 잉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고 여겨진다. 육계토성에 관한 조선시대 문헌은 1658년 미수 허목의 「記行戊戌舟行記」에 ‘六溪 古壘’라고 언급된 이후 『積城縣邑誌』 에서 ‘六溪土城’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1914년 지형도에서는 ‘六溪土城址’, 1915 년 국유림 경계도에는 ‘六溪城’으로 표기하고 있다. 성의 구조는 성의 구조는 내성, 외성, 자성의 3중 성곽의 평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그 역사적 가치를 보면, 육계토성은 성의 출현과 발전단계를 응축하고 있으며 평지 토성과 산지 석성의 갈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배후의 칠중성 역시 이 시기를거치면서 토축성에서 석축성으로 변화하였으며 이전 7세기 중반까지도 육계토성과 마찬가지로 여러 겹의 토성 즉 重城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三國史記』에 나타난, 638년10월과 동년 11월에 벌어진 고구려의 칠중성 침입, 신라 알천의 활약, 660년 11월에 고구려의 칠중성 공격과 군주 필부 전사 등의 사건은 여러 겹의 土城에서 벌어졌다고 하겠다. 이외 임진강 변의 토심석축 혹은 석축성으로 알려진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 덕진산성 등도 이 시기까지는 토성의 景觀이 자연스럽지 않을까 한다. 또한 국내 유일의 3중 평지성으로 임진강 유역 백제 한성기의 최대 거점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남한내 최고의 고구려계 유구와 유물이 발굴되었으며 이후 호로고루와 당포성, 은대리성, 아미성, 두루봉보루, 태봉산보루 등을 위시하는 관방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즉 육계토성+칠중성+감악산=평지성+산성+고험처의 조합관계는 임진강유역의 고대 관방체계를 형성하는 모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육계토성의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 토성의 평면 구조를 파악해 보았는데 이는 향후 시기별 변천과정을 고찰하는데 하나의 기준을 제공하였다고 생각한다. 앞으로여울, 단애, 토루 등 자연 지형과 인공 구조물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이해를 가지고 성곽에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扶餘 扶蘇山城의 築城法과 文字資料의 編年的 位置

        백종오 중부고고학회 2023 고고학 Vol.22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fortification method change process and the chronological position of Busosanseong Fortress, the royal castle of Baekj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hronological position more closely by examining the properties and excavation context of the text materials to trace the diachronic change process of Busosanseong Fortress. Busosanseong Fortress is a representative of the rammed earth(版築) technique. The rammed earth fortress wall in Korea describes Busosanseong Fortress and Pungnaptoseong as their prototype model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se fortresses is largely divided into eight stages: Seonji(選地, selecting location), Jeongji(整地, grading), Jijeong(地釘, soil ground), Guchuk(構築, construction), Bubyeok(扶壁, buttress), Pibok(被覆, covering), Yeongseon(營繕, maintenance), and Bosu(補修, repair).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 appears in the Chinese classics such as Wuyuechunqiu(吳越春秋), Bowuzhi(博物志), Guanzi(管子) “Duoditiao(度地 條)” and Zhouli(周禮) “Kaogongji(考工記)”, and Zuozhuan(左傳). As seen in Guanzi “Duoditiao”, “build a castle inside and build a wall outside” is understood as ① Seonji(選地) stage, “if the ground is high, dig a valley, and if the ground is low, build an embankment” as ②Jeongji(整地) and ③Jijeong(地釘) stages, “make a moat outside the fortress and plant thorns around it to make it more difficult to climb, then it will be sturdier” as ④Guchuk(構築), ⑤Bubyeok(扶壁) and ⑥Pibok(被覆) stages, “repair continuously every year, and manage it sturdy every season” as ⑦Yeongseon(營繕) and ⑧Bosu(補修) stages. Through this, it can be explained that their principle and process of construction were directly reflected in the fortification method of Korean fortresses as it is in principle and practice. Kuodizhi(括地志) Quoted in Hanyuan(翰苑) is a literature showing the existence of stone-built fortress walls in the Sabi period of Baekje. This book has a higher historical value in that it records the observations made after a Chinese envoy directly visited Sabi capital city in Baekje before 636. Among the articles in Kuodizhi, “北面 累石爲之(the north side was built by stacking stones)” is the only literature case showing the stone-built fortress walls of Baekje. It refers to the northern wall of Busosanseong Fortress and the northern walls that refer to the connecting section of Buknaseong Fortress. Among the text material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inscription tile, ‘儀鳳二 年(the second year of the Yifeng era)’銘(677) corresponds to the seventeenth year of King Munmu. By linking this with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oburi Ju(所夫里州) in 671,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Gibeolpo at the mouth of the Geum River in 676, and the end of the Silla-Tang War, it is narrowed down to the initial construction time of the Gunchangji(軍倉址) and Sajaru(泗泚樓) Temoe style fortress. Through the inscription tile, ‘會昌七年(the seventh year of the Huichang era)’銘(847),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intensive rebuilding and maintenance of the fortress was carried out in the middle of the ninth century. The inscription tile of the Goryeo Dynasty, ‘大平八年(the eighth year of the Taiping era)’銘(1028), is the same relic as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nearby Jeongnimsa Temple site, which infers the fact that some renovations were made on the southern wall section of Pogok(包谷) style fortress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Daejangjeon Hall at Jeongnimsa Temple site in the early eleventh century. It is considered that the inscription tile, ‘朝鮮國何東扶元宮(Hadong Buwongun of Joseon)’銘, excavated from Gunchangji dates from the middle of the fifteenth century, when Jeong Inji(鄭麟趾) was designated as Hadong Buwongun(1453-1478). 본 고는 백제 왕성인 부소산성의 축성술 변화과정과 출토 문자자료의 편년적 위치를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부소산성의 통시적인 변화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문자자료의 속성과 출토 맥락을 검증하여 그 편년적위치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볼 수 있었다. 부소산성=판축기법으로 대표된다. 우리나라의 판축성벽은 부소산성과 풍납토성을 그 원형모델(prototype model)로 설명하고 있다. 이들 성곽의 축조 공정은 크게 選地, 整地, 地釘, 構築, 扶壁, 被覆, 營繕, 補修 등 모두 8단계로 나누어진다. 그 조영원리는 중국의 고전인 『吳越春秋』, 『博物志』, 『管子』 度 地條와 『周禮』 考工記, 『左傳』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중 『管子』 度地條에서 보듯이, 성을 쌓을 때“안에는 성을 쌓고 밖에는 곽을 쌓는다”는 ① 選地段階, “땅이 높으면 골을 파고, 땅이 낮으면 둑을 쌓는다”는 ② 整地段階와 ③ 地釘段階, “성곽 밖에는 해자를 두고 주변에는 가시나무를 심어 오르기 어렵게하면 더욱 견고해 진다”는 ④ 構築段階와 ⑤ 扶壁段階 그리고 ⑥ 被覆段階, “해마다 끊이지 않고 수리하고, 철마다 튼튼하게 관리한다”는 ⑦ 營繕段階와 ⑧ 補修段階로 이해된다. 이렇듯 성곽의 조영 원리와 그축조 공정은 원론과 실제로써 우리나라 성곽의 축성법에 그대로 투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백제 사비기 석축성벽의 존재 여부를 보여주는 문헌이 『翰苑』 所引 『括地志』이다. 이 책은 중국 사신이636년 이전에 백제 사비도성을 직접 방문한 후 그 관찰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기에 더욱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할 수 있다. 『括地志』 기사 중‘北面 累石爲之’는 백제 석축성벽을 보여주는 유일한 문헌 사례인데, 이 기사는부소산성 북벽부와 이곳에서 연결되는 북나성의 연접 구간을 지칭하는 북쪽 성벽들을 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통일신라시대 문자자료 중 ‘儀鳳二年’銘(677) 명문기와는 신라 문무왕 17년에 해당되는데, 671년 所 夫里州 설치, 676년 금강 하구의 기벌포 전투 승리와 나당 전쟁 종결 등의 역사적 사건 등과 결부시켜 보면, 군창지 및 사자루테뫼식산성의 초축 시점으로 압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자루테뫼식산성에서출토된 ‘會昌七年’銘(847) 명문기와를 통해 9세기 중반에 부소산성내 집중적인 修改築과 함께 성내 營繕 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고려시대의 ‘太平八年’銘(1028) 명문기와는 인근 정림사지 출토품과 동일한 유물로 13세기 초 정림사지의 대장전 건립과 함께 포곡식산성 남벽 구간에 대한 일부 수개축이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유추하는 자료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군창지 출토 ‘朝鮮國何東扶元宮’銘 명문기와는 정인지가 하동부원군(1453~1478)으로 봉해지는 15세기 중엽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高句麗 기와의 發生과 形成 背景

        白種伍 한국고대학회 2006 先史와 古代 Vol.24 No.-

        The formation background of the Goguryeo Dynasty Maksae(瓦當), which refers to tiles decorated on the edges of the eaves. As for the origination of the Goguryeo Dynasty roof tiles, it is suspected to be earlier than the roof tiles of the Silla Dynasty, noting that the roof tiles were mentioned in the myth of the founder of the Goguryeo Dynasty. In other words, independent production of roof tiles was possible in the times of King Taejo(太祖王) based on the advanced social foundation with long-accumulated earthenware production technology. As for Maksae, the production time of snail-patterned Maksae was suspected at least to be before the 4th year of Taenyung(太寧四年, A.D. 326). It was noted that snail-patterned Maksae at that time had unique patterns and the production methods differed from those of China. The people of the Goguryeo Dynasty made unique snail-patterned Maksae and special-purpose roof tiles based on a stable atmosphere in the society and the strong power of King Bongsang(烽上王) when there were few conflicts with Northern foreign nations. In order to determine from what social background the Goguryeo's Maksae were made, both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Maksae and thesocial background were investigated. The philosophy system of the Goguryeo Dynasty was Taoism combined with traditional religions. Thus, the patterns of Maksae were set, snail-shaped, expressing the flow of Yin(陰) and Yang(陽), and the lines symbolizing every direction of the world. It appears that a lotus-pattern emerged during the times of King Gogukyang(故國壤王) when Buddhism was actively encouraged. 필자는 고구려 기와와 와당의 발생과정 그리고 그 형성 배경에 대한 추론을 통하여 고구려 기와의 기원을 『三國史記』기사에 보이는 신라기와보다 이른 시기로 비정하였다. 또 고구려의 기와 사용은 고구려 시조 전승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즉, 태조왕대 고구려가 본격적으로 계루부 중심의 왕위 세습체제를 정비하고 시조전승을 확립하였으며, 이 무렵 중국·낙랑과의 접촉을 통해 경제적인 부를 축적하여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고구려의 발전은 중국과 동등한 수준의 문화 수용의지를 촉발시켰고 축적되었던 토제품의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자체적인 기와 생산이 가능하였다고 추정하였다.이어 등장한 와당의 출현 시기는 적어도 太寧4年(326) 이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당시의 권운문 와당에서 중국이나 한사군의 영향보다는 독자적인 문양과 제작방식이 확인된다. 즉, 고구려인들은 북조세력과의 대결이 소강상태로 접어드는 봉상왕 재위 무렵 안정된 사회분위기와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권운문 와당과 특수기와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이와 같은 고구려 와당은 일찍부터 확립된 도교와 전통신앙의 결합된 사상체계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와당의 표면에 陰陽의 氣가 흐르는 것을 표현한 권운문과 五方, 天圓地方을 상징하는 구획선으로 정형화 되었던 것이다. 한편, 연화문 수막새의 발생시점은 왕실에 의해 불교가 적극적으로 장려되는 고국양왕대로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