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유공자제도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미국, 캐나다, 호주와의 비교법적 검토를 겸하여 -

        백수원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법학논고 Vol.0 No.52

        We have to know that we can live in peace and security at the present time due to the sacrifice of patriotic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For the respect of their sacrifice, countries made the system of veterans welfare. The Constitution shows that the government compensation claims and preferential opportunities in the relation of finding employment by Article 29 and Article 32 Section 6. which mark with a side dot on the system of veterans welfare. The system of veterans welfare has been as painful modern korean history. The republic of Korea is founded by many fighter for independence and participants in a movement for democracy. It is unclear that the system of veterans welfare based on fundamental rights which engraved on the Constitution or the System Guarantee(Institutionelle Garanatien) from Weimar Constitution in Germany. In this paper, I tried to devide the elements which belonged in fundamental rights and/or the System Guarantee(Institutionelle Garanatien). Plus, I reviewed the system of veterans welfare with U.S.A., Canana, Australia and Republic of Korea as the central figure. However, even the fundamental rights are not clear protect much because of the principle of Untermaßverbot. The veterans welfare system is not enough substitute for the sacrifice of the people. Above all, countries remain ahead of the adequacy of the system, liberalization, democratization struggles of today we are through. In terms of today’s Republic of Korea is that inherited the Republic of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as the Constitution. The veterans should be respect by their countries and societies. We must do a great social respect and honor than to national merit. 현재의 평화는 순국선열의 희생으로 인해 탄생할 수 있었고, 국가가 장래를 향하여 이러한 희생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은 곧 국가 존립의 기초를 튼튼히 하는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보훈과 관련된 제도의 올바른 설계의 문제로 연결되며정치적 공동체로서 국가를 유지하고자 하는 모든 국가의 존립을 뒷받침하는 제도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은 제29조에서 국가배상청구권을, 제32조 제6항을 통해 국가유공자 등에게 우선적 노동의 기회 제공을 명문화하고 있다. 헌법의 명문규정은 기본적으로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처우와 관련하여 단순히 금전적 또는 물질적 보상이 아닌근로의 기회제공을 통하여 이루어질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헌법의 명문규정으로부터 직접 국가유공자제도 내지 보훈제도가 헌법적으로 어떠한 의미와 위상을 갖는지 특정하는 것은 어렵다. 다만, 관련 조문과 이론에 대한 검토는 관련 제도를 일부는 기본권을 구체화하는 수단으로, 또 일부는 국가의 목표 내지 책무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우선 헌법은 기본권으로서 근로의 권리 중 우선적 취업을 보장하는 규정을 통해 국가유공자에 대한 대우를 밝히고 있고 이러한 측면이 법률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기본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는 보기 어려운 나머지 국가유공자제도는 국가의 목표 내지 책무를이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도적 보장에 준하여 보훈제도를 국가 수호의 중요한수단으로 여기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각국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국가유공자제도의 구체적인 내용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만, 현행 법률에 의해 구체화된 국가유공자제도를 검토해보면 미국, 캐나다, 호주 등 다른 국가의 경우 국가유공자제도 내지 보훈제도를 설계함에 있어 일반적인 제대군인에 대한 혜택을 제시하는 한편, 실질적인 보훈의 효과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제대군인에 대한 지원은 우리의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인 보훈의 혜택을 위한 평가와 지원을 참고해야 할 필요성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아울러 제도적 차원의 수정과 더불어 국가의 존속, 자유화, 민주화를 위한 희생을 통해 오늘날의 우리와 대한민국이 존재하고 있음을 널리 강조하고, 법이 아닌 현실에 있어서 국가유공자들에 대해 마땅한 사회적 존경과 예우가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헌법상 국가의 안전 의무와 기본권 제한의 타당성에 관한 고찰

        백수원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1

        공익을 위해 제한되는 기본권을 개인이 감내한다고 하더라도 그 본질적 내용이 침해되는 것은 당연히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코로나19와 같은 범세계적 보건 위기 상황은 예상하지 못했었고, 그 과정에서 개인의 기본권 보장이 미흡한 상황이 있었다. 비상상황에서 위기 대응의 순간을 정부가 나름의 기준과 세계 각국의 상황을 살펴 최대한의 대응을 해왔지만 냉정히 정부 대응의 공과를 분석하여 추후의 유사 상황에서 침해되거나 소외되는 영역이 없도록 헌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위기 상황에서 기본권이 제한될 때에도 제한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비상상황에서도 지켜야할 본질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토할 내용을 고찰하고자 관련 행정조치를 검토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부과된 행정조치는 크게 격리(자가격리, 강제격리), 방역패스, 사회적 거리두기, 예방접종 부작용 감내 등인데 이러한 조치가 국민의 인내와 불편을 수반하는 만큼 헌법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종교의 자유, 신체의 자유, 일반적 행동 자유, 행복추구권, 인간의 존엄, 영업의 자유 등을 제한하는 일련의 행정조치들은 헌법상 국가의 안전에 대한 의무나 법률유보의 원칙에 비추어도 다소 과도하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비상상황에서 위기 대응의 순간을 정부가 나름의 기준과 세계 각국의 상황을 살펴 최대한의 대응을 해왔지만, 이제 평상시로 돌아가 냉정히 정부 대응의 공과를 분석하여 추후의 유사 상황에서 침해되거나 소외되는 영역이 없도록 대응하기 위한 헌법적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위기 상황에서 기본권이 제한될 때에도 제한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고, 비상상황에서도 지켜야 할 본질에 해당하는 영역을 지켜가는 것이 민주사회라고 생각한다. 팬데믹 현상에 따른 상황이 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하였고, 국가로서도 안전에 대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용인한 조치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나 QR코드를 통한 동선체크 및 백신패스 도입은 법률에 명확한 규정이 없이 행하여진 행정조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팬데믹과 같은 위기상황에서도 국가는 자신의 지위가 오남용되지 않도록 자가 검열을 하여야 하며, 특히 위기가 종료된 뒤 공과 과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더욱 성숙한 헌법적 대응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Even if an individual endures basic rights that are limited for the public interest, it is natural that the essential content is not allowed to be violated, but concerns are raised that the basic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are excessively restricted due to COVID-19. Our constitution was enacted with the assumption that basic rights were restricted in times of national crisis such as domestic or foreign exchange or war. However, a global health crisis such as COVID-19 was not expected, and the government has taken the best possible response to the moment of crisis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by examining its own standards and the situation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almly analyze the merits of the government's response and prepare constitutional standards to respond so that there are no areas that are infringed or marginalized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future. Even when basic rights are restricted in a crisis situation, the relevant administrative measures were reviewed to distinguish between those that can be restricted and those that are not, and to consider the contents to be reviewed in the areas that are essential to be observed even in emergency situations. Administrative measures imposed in the context of COVID-19 are largely quarantine (self-quarantine, compulsory quarantine), quarantine pass, social distancing, and tolerating side effects of vaccination. I needed to make sure there was. A series of administrative measures restricting freedom of religion, freedom of body, general freedom of action, right to pursue happiness, human dignity, and freedom of business, etc. It is difficult to erase the impression. The government has responded to the moment of crisis response in an emergency situation as much as possible by examining its own standards and the situation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constitutional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to respond to such incidents. Even when basic rights are restricted in a crisis situation, I believe that it is a democratic society to distinguish between what is possible and what is not, and to protect the domain that corresponds to the essence to be protected even in an emergency. It is clear that the situation caused by the pandemic was the severe Corona 19 situation, and it is a measure that the country inevitably tolerated in the process of playing its role in safety. However, social distancing, movement check through QR code, and introduction of vaccine pass were carried out without clear regulations in the law,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degree of regulation was excessive. Even in a pandemic crisis, the state should conduct self-censorship to prevent misuse of its position, and even after the crisis is over, a more mature constitutional response plan should be proposed through the process of confirming and verifying merit. I wanted to confirm once again that absolute security at the cost of complete deprivation of liberty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 KCI등재

        ‘감청’ 허용 기준과 ‘감청’ 범위에 관한 입법적 제언 ― 우리나라와 미국의 법제 비교를 중심으로 ―

        백수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1 No.1

        Wiretapping regulations, which began with regulations on indiscriminate installation of wiretapping devices in the past, are expanding to SNS and VoIP wiretapping regula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In the case of these technologies, especially with the cooper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it is possible for the investigative agency to intercept the wiretapping, so discussions are focused on the regulation of each type of wiretapping standards and the duty of cooper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 It is required to prepare more speci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procedures under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for reasons such as specifying the duty of cooperation of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specifying crimes and procedures subject to wiretapping, and subdividing wiretapping standards. Also, going through a repetitive review proc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o supervise this can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Considering that the crimes subject to wiretapping for criminal investigation under the current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re widely stipulated throughout the criminal law,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limit the crimes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through wiretapping through social discussio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wiretapping, exceptions to target crimes may be expanded through permission from supervisory organizations, etc.,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Given that recent crimes evolve and change very quickly, it may be difficult to respond in real time on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law. Accordingly, preparation of an independent wiretapping support organization may be considered. The fact that it has been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the reason for it, the method to notify the objection procedure, etc., the procedure for reviewing whether the collected information meets the purpose of collection, and the deletion or disposal of information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the purpose of collection or whose use has been ter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need for information collection, a procedure for establishing and revising the standards for wiretapping is prepared so that the supervisory body reviews them based on those standards, and if it is subject to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legislative branch through a government investigation or inspection of government affairs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ability to actively respond to investigations while minimizing violations of basic rights due to wiretapping. These supervisory agencies will supervise and coordinate compliance with information collection requirements, judging legitimacy, fulfillment of notification obligations to persons subject to information collection, appropriateness of use and management of collected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revision of wiretapping standards. However, since presenting a specific standard becomes a framework and is interpreted as allowing everything except that framework, it should not be a means of escaping the law. should be established. Also, in the process, it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 restrictions on the people's basic rights can be minimized. 과거 무분별한 도청장치 설치에 대한 규제로부터 시작된 감청 규제는 이동전화와 인터넷의 발달로 SNS와 VoIP 감청 규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경우 특히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를 얻어야 수사기관의 감청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감청 기준에 대한 유형별 규제와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의무에 대한 논의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통신사업자의 협조의무 구체화, 감청의 대상 범죄 및 절차의 구체화, 감청 기준 세분화 등을 이유로 보다 구체적인 「통신비밀보호법」상의 정보의 수집 및 관리 절차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이를 감독할 독립된 기구 설립 등을 통해 반복적인 검토 과정을 거칠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상 범죄수사를 위한 감청의 대상 범죄는 형법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규정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사회적 논의를 통해 감청을 통한 정보수집 대상 범죄를 한정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다만 그 감청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대상 범죄의 예외를 법률의 규정에 따라 감독기구 등의 허가 등을 통해 확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의 범죄가 매우 빠르게 진화, 변화되는 것을 감안할 때 법률의 규정만으로 실시간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독립된 감청 지원 기구의 마련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수집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과 그 사유, 이의제기 절차 등을 통지하도록 하는 방안, 수집된 정보가 수집의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검토하는 절차 및 수집목적 범위를 벗어나거나 활용이 종료된 정보를 삭제, 폐기하는 절차, 기술의 발전 및 정보수집 필요성 변화에 따라 새롭게 감청의 기준을 제・개정하기 위한 절차 등을 마련하여 감독기구가 그러한 기준 하에 검토하도록 하고, 국정 조사나 국정 감사를 통해 입법부의 관리 감독을 받게 한다면 감청으로 인한 기본권 침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수사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감독기관은 정보수집 요건의 준수와 적법성 판단, 정보수집 대상자에 대한 통지의무 이행, 수집 정보 이용 및 관리의 적정성, 감청 표준 제・개정 등과 관련하여 감독 및 조정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다만, 특정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하나의 틀이 되어 그 틀을 제외하고는 모조리 허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자칫 법망을 벗어날 수 있는 수단이 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므로 보다 정교한 규제를 전제로 한 기준과 감독기구가 수립하여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국민 기본권 제한을 최소화하여야 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자인격체로서 반려로봇(섹스로봇)의 규제 기준 마련을 위한 시론적 고찰

        백수원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2 No.3

        According to the needs of human beings, corporations act as independent beings in society as natural persons and are subjects of rights obligations. Although it is an abstract entity that does not exist, no scholar completely denies its legal status in that it is socially beneficial and expects its necessity, function and role. The debate on whether to grant artificial personality to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 longer a story in fiction, but a concrete and materialized legal affair, as the European Union, in its resolution on intelligent autonomous robots, recognizes, in a limited area, the granting of electronic personality status to electronic humans. It became a necessary task for identification.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robots can enjoy their legal status as autonomous subjects and be subjects of rights or obligations to the extent that social consensus is reached. In addition, the legal status of intelligent autonomous robots is more likely than the confusion that can be expected. Necessity must be acknowledged. Requiring a clear legal status for being able to communicate can be clearly seen in the fact that marriage and inheritance with pets are actually being attempted. Regarding this, it can be reasonably concluded that various social confusions and legal disputes may occur. Recognizing the legal status of a part that allows the exchange of emotions and giving the legal robot self-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ir decision-making will be the first step for the coexistence of humanity and robots. It is believed that granting electronic personality to a companion robot with a consciousness or at least autonomous behavior comparable to the self can lead to a relatively easy social consensus. It is desirable at this stage to interpret that a companion robot or a sex robot, which is recognized as an electronic human being, is an intelligent autonomous robo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make autonomous decision making in the external situation by having intelligence as a basic requirement. In addition, there are certain legal and ethical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accept in human society with regard to companion robots (sex robots). Respond robots, not intelligent autonomous robots, need legal protection even for such unconditional obedience and unconscious beings. Concerns are raised that obeying the human being as a master makes the object of sexuality easy to cause unpersonal actions in dealing with other human beings, and also considers the negative effects that the act of resolving human destructive instincts on the robot will have on our society. You can't help it. Therefore, the companion robot should prohibit excessively non-social, unethical, and anti-social design and produc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rinciples of robot ethics, and in the case of a companion robot that can make intelligent and autonomous decision-making with ethicality, it is legal and institutional. In this regard, a clear legal framework fo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for other companion robots, the policy direction should be set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responsibilities of designers, users and the state. 인간의 필요에 따라 법인은 자연인과 마찬가지로 사회에서 독립한 존재로서 활동하고 있고, 권리 의무의 주체이다. 비록 실재하지 않는 추상적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보호이익이 있으며 그 필요성과 기능, 역할이 기대된다는 점에서 그 법적 지위를 완전히 부인하는 학자는 없다. 인공지능에 법적 인격을 부여할 것인지에 관한 논의는 유럽연합이 지능형 자율 로봇에 관한 결의안에서 전자인간에 관한 전자인격의 지위 부여를 한정된 영역에서나마 인정함으로서 더 이상 소설속의 이야기가 아닌구체화되고 실재화 된 법적 규명이 필요한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로봇 또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는 어느 정도의 범위 내에서 자율적 주체로서그 법적 지위를 향유할 수 있으며 권리나 의무의 주체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게다가 추상적 존재에 불과한 법인의 존재보다는 최소한의 외형적 모습을 갖추고 인간과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에서 지능형 자율 로봇에 대한 법적 지위는 단순히 예상되는 혼란보다 더욱그 지위에 대한 법적 논의가 빠르게 진행될 필요성이 인정될 수밖에 없다. 소통이 가능한 존재에 대해 분명한 법적 지위를 요구한다는 점은 애완동물과의 결혼이나 상속 등이 실제로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명확하게확인될 수 있는데, 동물과의 교감이나 소통을 넘어서는 반려로봇 내지 섹스로봇에 관하여서라면 당연히 다양한 사회적 혼란과 법적 분쟁이 발생할수 있을 것으로 합리적 추론이 가능하다. 감정의 교류가 가능한 존재에게 일정부분 법적 지위를 인정하고 반려로봇(섹스로봇) 스스로에게도 자신의 의사결정에 따른 법적 책임을 부여하는 것은 인류와 로봇의 공존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자아에 필적할의식을 갖춘 혹은 최소한 자율적 행동이 가능한 반려로봇에게 어떠한 법적 장치를 마련할 것인지는 아직은 논의하기 이른 단계로 판단된다. 이에 더하여 반려로봇(섹스로봇)과 관련하여 인류사회에서 수인하기 어려운 법적, 윤리적 문제도 분명 존재한다. 지능형 자율로봇이 아닌 반려로봇과 같은 무조건적 복종과 아무런 자의식 없는 상태의 존재들에게도 법적 보호의 필요성은 있다. 주인인 인간에게 복종하게 되어 도구화 된다는것은 다른 인간을 대함에 있어서도 쉽게 비인격적 행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피할 수 없다. 인간의 파괴적 본능을 로봇에게 해소하는 행위가우리 사회 전체에 미칠 부정적 영향도 고민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반려로봇의 경우에는 기존의 로봇 윤리 원칙들에 더하여 지나치게 비사회적․비윤리적․반사회적 설계․제작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지능을 갖추고 윤리성에 기초한 자율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반려로봇은 경우에는 전자인격을 부여하여 법․제도적으로 권리와 책임에 대한 명확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 외의 반려로봇에 대해서는 설계자, 사용자 및 국가의 관리 책임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할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죽음, 안락사, 생애마무리에 관한 헌법적 논의 ―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

        백수원 미국헌법학회 2019 美國憲法硏究 Vol.30 No.3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granted the right to choose dignity of death, and there is room under current law that allows third parties, not themselves, to determine the course of dignity, such as the suspension of lifelong medical care. But even the closest euthanasia should not be allowed if the right to life is understood as a fundamental right derived from human dignity. For the very essence of the right to life is life itself. Therefore, when euthanasia takes a position to understand as a right derived from freedom of the body, euthanasia is constitutionally acceptable, and therefore, it seeks to find the constitutional basis of the right to life to freedom of the body. Even from the standpoint of interpreting the right to life as the realm of human dignity,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that dignity is essential in view of the recognition of dignity. However, euthanasia may be extended and allowed, but the method should not be meant as an unlimited allowance. From that point of view, it is logical to say that the right to die on the ground of equality is logically possible but requires some harmonious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other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life. The fact that current life-sustaining treatment cessation law sublimates the perception of human death or the right to die humanely to the law deserves high praise, but it does not allow euthanasia other than dignity death, which was prescribed by drugs and killed itself. Only very strict and limited euthanasia is recognized. In order for the law to be more constitutionally justified, the method of confirming the parties' opinions, such as the strengthening of consent requirements, should be more clear,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explicit and firm expressions is strengthened, allowing for greater euthanasia. I think it is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the life-finding support legislation was established to expand self-determination over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death beyond death, and this bill aimed at acknowledg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and providing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life-finishing. The bill calls for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to suppor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o promote heritage donations. In particular, a significant point in the bill is a regulation requiring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endeavor to provide equal access to education for the preparation of life and for all citizens. I would like to evaluate it as a step forward from the idea that every generation should take the necessary measures to get a lifelong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generation, so that appropriate preparations for death can be taken as part of life education. Death is, ultimately, a matter of self-determination and an area related to human dignity, as confirmed in the derivation of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euthanasia. The most important task in the composition of good death is about the right to determine death itself, but in addition, to give the right to decide every moment leading to death can be seen as the core of the life support legislation. 존엄한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헌법재판소가 인정하였고 연명의료 중단과 같은 존엄한 죽음의 과정을 본인이 아닌 제 3자가 결정할 수 있는 여지도 현행법상 열려있다. 그러나 생명권을 인간의 존엄성에서 도출되는 기본권으로 이해한다면 이러한 최협의의 안락사조차도 허용되어서는 아니된다. 생명권의 본질은 생명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의 자유에서 파생된 권리로 이해하는 입장을 취할 때 안락사는 헌법적으로 허용 가능하기 때문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를 신체의 자유에 찾고자 한다. 생명권을 인간의 존엄의 영역으로 해석하는 입장에서조차 존엄사는 인정하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본질적으로 안락사의 허용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안락사는 확대되어 허용될 수 있으나, 그 방식이 무제한적인 허용을 의미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평등권을 이유로 죽을 권리가 인정되는 것은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생명권 등 다른 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 조화로운 해석이 요구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현행 연명치료중단 법률에서 인간다운 죽음 또는 인간답게 죽을 권리에 대한 인식을 법률로 승화시켰다는 점은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나 약물 등을 처방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은 존엄사 외의 안락사에 대해서는 허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매우 엄격하고 제한적 안락사만을 인정하고 있다. 동 법률이 보다 헌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동의 요건 강화 등 당사자의 의사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더욱 명확성을 갖추어야 하고, 명시적이고 확고한 의사표시에 대한 자기결정권은 보다 강화되어 보다 넓은 의미의 안락사가 허용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죽음을 넘어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 관한 자기결정권 확대를 위하여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이 마련되었고, 동 법안은 생애마무리에 관하여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법・제도적 지원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 법안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지원책 마련과 유산 기부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동 법안에서 의미 있는 지점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게 모든 국민에 대한 생애마무리와 그 준비를 위한 교육 기회가 동등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규정이다. 모든 세대가 개별 세대의 특성에 적합한 생애마무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하여, 죽음에 대한 적절한 대비를 생활 교육의 일환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진일보한 법률안으로 평가하고 싶다. 죽음은 앞서의 안락사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 자기결정권의 문제인 동시에 인간의 존엄과 관련된 영역이다. 좋은 죽음의 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는 죽음 자체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에 관한 내용이지만 이에 더하여 죽음으로 이르는 매 순간 순간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자는 것이 생애마무리 지원 법안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AI(인공지능)와 민주주의의 공생을 위한 헌법적 고찰

        백수원 미국헌법학회 2023 美國憲法硏究 Vol.34 No.2

        Our Constitution confirms democracy as the political system that the citizens who make up society commonly want. In addition, the core principle of democracy is being realized with representative democracy as its foundation. Trust in the n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between sovereigns and representatives operates through democratic principles such as transparency. From the process of electing a representative to securing and controlling the reliability of the representative's activities, the fairness can be guaranteed without a democratic device. For continuous surveillance and control,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by the people, in order for the people to play these roles and exercise their rights, state institutions must be placed transparently in front of the people. People's participation in forming political opinions must be free and equal, so the political process must be open and dialogue and discussion must take place in an open space. The political process in a democracy must be in a transparent state so that the people, who are sovereign, can monitor and criticize the activities of their representatives, ensure that decisions are made fairly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ensure that the people understand and understand specific political issues. You can obtain information to form and present opinions related to it. These democratic values ​​apply equally to all new technologies, policies, and values.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re presenting changes in various social values, but democratic values ​​will never be excluded in the process. Rather, through harmony with democracy, the AI ​​industry can grow and develop further, and it will be able to take root in society. The purpose of the transparency principle is to disclose public information, including decision-making by state institutions, to monitor and control the state, to secure participation, and to institutionalize control devices, which are inseparably related to democ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also It seems that we will never be free from the obligation of transparency. Securing sufficient and complete information is a prerequisite for the dialogue and discussion, monitoring and control,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that shape our society, which in itself is a key requirement for democracy. When value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ey can play a pivotal role in our society, and if these values ​​are ignored, they will be hidden and abandon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ecome a member of this society only when sufficient and complete disclosure and comprehensibility of AI decision-making results and procedures, the possibility of procedural participation based on open information, and clarity and control of responsibilities are met. It means there is. Likewise, democratic principles such as transparency operate as a premise for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normatively reasonable applicability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ike all new science and technology, the vitaliz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should contribute to realizing these democratic values.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정치체제를 우리 헌법은 민주주의로 확인하고 있다. 또한 대의민주제를 그 근간으로 하여 민주주의 핵심원리가 구현되고 있다. 주권자와 대표자간의 국가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신뢰는 투명성과 같은 민주주의적 원칙을 통해 작동한다. 대표자선출과정에서부터 대표자의 활동에 대한 신뢰성 확보 및 그 통제에 이르기까지 민주적 장치 없이는 그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국민에 의한 지속적인 감시와 통제, 참여와 책임추궁을 위하여, 국민이 이러한 역할을 하고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국가기관이 국민 앞에 투명하게 놓여있어야 한다. 정치적 의사형성에 대한 국민의 참여는 자유롭고 평등한 것이어야 하며, 따라서 정치과정은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 열린 공간에서 대화와 토론이 이루어져야 한다. 민주주의에서의 정치과정은 투명한 상태에 있어야만 주권자인 국민은 대표자의 활동에 대해 감시와 비판을 할 수 있고, 국회에서의 의사결정이 공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담보할 수 있으며, 국민이 특정한 정치적 쟁점을 이해하고 그와 관련한 의견을 형성・발표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민주주의 가치는 모든 새로 유입되는 기술, 정책, 가치 등에 동등한 기준으로 적용된다.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기술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변화를 제시하고 있지만 그 과정 속에 민주주의적 가치가 배제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오히려 민주주의와의 조화를 통해 인공지능 산업은 더욱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으며, 사회 속에 뿌리를 내릴 있게 될 것이다. 투명성 원칙은 국가기관의 의사결정을 비롯한 공공정보의 공개, 국가에 대한 감시와 통제 그리고 참여의 확보와 통제장치의 제도화를 목적으로 하는바, 이는 민주주의와 불가분의 관련성을 맺고 있고, 인공지능 또한 이러한 투명성의 의무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본다. 우리 사회를 형성하는 대화와 토론, 감시와 통제, 참여와 책임추궁을 제대로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충분하고 완전한 정보의 확보를 전제 조건으로 하며, 그 자체로 민주주의의 핵심 요건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인공지능 또한 이러한 가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을 때 우리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치를 무시하면 무시할 경우 은폐되고 사장될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의사결정의 결과 및 절차의 충분하고 완전한 공개와 이해가능성, 공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절차적인 참여의 가능성 그리고 책임관계의 명확성과 통제가 충족될 때 비로소 이 사회의 한 일원이 될 수 있는 셈이다. 이렇듯 투명성과 같은 민주주의 원칙은 인공지능에 있어서도 규범적으로 합리적 활용가능성을 인정받기 위한 전제로 작동하며, 모든 새로운 과학기술과 마찬가지로 인공지능 산업 활성화 또한 이러한 민주주의적 가치를 실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AI) 발전에 따른 사회국가원리 구현 방식의 변화에 대한 고찰

        백수원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2 No.1

        헌법상 사회국가원리는 자유주의 사상에 기초한 근대 입헌주의 헌법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의 원칙과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최근 인공지능(AI)의 발달이 경제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개인의 노동과 임금소득에 기초하여 설계된 사회보장 체계에 새로운 충격을 던져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기본소득과 같이 아무 조건 없이 오로지 그 사회의 구성원이기만 하면 정기적으로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까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금지급성 복지제도를 포함하여 AI 시대의 도래에 따른 새로운 복지제도를 구상하기 위한 헌법 이론적 기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회국가원리는 국가가 사회보장과 양극화 해소, 사회통합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헌법적 근거로 기능해왔으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와 양극화, 그로 인한 사회적 갈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최근 지능정보기술의 발전이 불러온 노동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문제와 이를 위한 새로운 복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종래의 사회보장 체계는 개인의 노동과 사회보장을 연결한 근로연계형 사회복지제도에 기초한다. 그러나 AI 시대의 도래와 함께 산업의 형태와 부가가치 창출의 양태가 변화하면서 이러한 방식의 사회복지제도가 계속해서 유효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던지게 만든다. 또한 사회문제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은 더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AI의 활성화 및 그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변화는 사회국가원리에 대한 이해나 사회국가원리 실현의 방식의 변화를 추동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변화의 배경을 정리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고민한다. 개인의 실질적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더불어 노동을 통한 자아실현 증대를 확보하기 위한 긍정적 변화의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AI 산업과 관련한 획기적인 조세 정책이나 국가의 지원과 규제를 새롭게 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AI 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을 완화하는 정책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AI로 인해 일정 영역에서 있어 사회적 변화는 필연적인바, 사회국가원리에 대한 이해와 실현 방식의 변화에 초점을 두었다. The social state principle presented new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modern constitutionalist constitution based on liberal ideology. However,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expected to have a new impact on the social security system designed based on individual labor and wage income as it affects the overall economy and industry. Accordingly, discussions are accelerating on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such as basic income, that provides regular cash payments without any conditions only to those who are members of the society. It appears that constitutional theoretical contributions are needed to design a new welfare system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including this cash payment welfare system. In particular, the social state principle has served as a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state to strive for social security, resolution of polar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but despite many effort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polarization, and the resulting social conflict are still unresolved. Rather,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the recent developm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re raising new problems and the need for new welfare. The conventional social security system is based on a work-linked social welfare system that links individual labor and social security.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the form of industry and the pattern of added value creation change,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this type of social welfare system can continue to be effective. Additionally, as social problems become more complex, the role of the state in resolving them inevitably becomes more important. The activation of AI and the resulting social and economic changes drive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ate principles and the methods of realizing social state principles. This paper summarizes the background of these changes and considers the desirable direction. We seek to present a process of positive change to ensure actual freedom of individuals and increase self-realization through labor. In particular, we sought to suggest policies that would alleviate the impact of entering the AI society through strategies such as groundbreaking tax policies related to the AI industry or renewed goverSnment support and regulations. As social change is inevitable in certain areas due to AI, we focused on changes i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social state principles.

      • KCI등재

        국가유공자 지원 및 배제 제도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우리나라와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

        백수원 미국헌법학회 2024 美國憲法硏究 Vol.35 No.1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에 대한 상이보상금과 다양한 교육, 취업, 의료 등의 보상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보상은 국가유공자들이 과거에 행한 행적을 바탕으로 적절한 공과를 결정하는 보훈심사위원회의 의결을 통해 확정된다. 그러나 국가유공자의 범죄 등으로 인해 동 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경우가 있다. 문제는 이러한 범죄 행위에 따른 해악이 있다고 하더라도 국가유공자가 행했던 희생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보훈으로 인한 지원은 과거의 행적에 대한 보상임에도 보훈 대상으로 선정된 이후 저지른 범죄 등으로 인해 모든 보상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심지어 법의 처분을 통해 합당한 대가를 치르고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조차 국가보상의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되는 점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보훈심사위원회의 재심을 받기 위한 전제로 요구되는 ‘뉘우침’이라는 내면의 행위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3년’이라는 기간 또한 합리적 기간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뉘우침’의 평가가 헌법상 양심이 자유를 훼손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재심사 과정 자체가 국가유공자법이 추구하는 예우와는 무관해 보인다. 품위손상과 같이 모호하고 애매한 상황을 상정한 것도 어느 정도 수준에서 행하여진 품위손상행위인지 평가하기 어렵다. 국가유공자가 각종 범죄 등으로 인해 반사회적 문제 행위가 있었다고 하여 그 보상을 영구히 박탈하거나 적용 대상으로의 복귀를 지나치게 어렵게 만들어서는 안된다. 범죄 행위의 해악에도 불구하고 국가유공자가 행했던 희생 행위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법의 처분을 통해 합당한 대가를 치르고 사회에 복귀하였을 때는 당연히 기존에 받던 혜택이 회복될 수 있어야 한다. 비록 수감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해당 지원과 혜택이 사라지더라도 이러한 상황은 가급적 자제되는 것이 보훈 정책의 본질에 가깝다고 본다. 보훈심사위원회의 재심을 받기 위한 전제로 요구되는 뉘우침 및 3년이라는 기간은 과감히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보상 재개를 위해 뉘우침을 심사받는 것은 양심의 자유가 보호하고자 하는 양심의 불가침성, 즉 개인의 윤리적 정체성과 동질성에 대한 위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뉘우침을 심사하는 행위는 개인의 윤리적 정체성을 침해할 소지가 크다. 미국의 경우 우리의 경우가 국가유공자 혜택 자체는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고 보이지 않음에도 국가유공자법상의 혜택을 배제와 혜택 복귀에 있어 차이가 크다. 그러나 국가가 희생의 가치를 인정하는데 있어서는 국가 간 차이가 있을 수 없다. 생명을 걸고 국가에 헌신한 것에 대하여 국가는 허용되는 최대 범위내에서 그 희생의 대가를 보상하여야 할 것이다. To compare and examine the cas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f Korean and American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are selected for support, they can enjoy a variety of relatively similar benefits. However, there are reasons for exclusion from support or the recovery of support after being excluded. It can be seen that our country's case is much more vulnerable in terms of compensation in that the case is decided after a re-examination on the condition of reflection and remorse three years after release from prison. In the United States, compensation is paid based on the veteran's past achievements and disabilities, so payments are not stopped due to sentencing or confirmation of a specific crime, except in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imprisonment. The payment of compensation is limited depending on whether the person is a serious criminal, but in case of a misdemeanor, the payment is made to the family, so the honor of those who have served the country is not lost at all. This is true even if a prison sentence is imposed.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79, Paragraph 3 of the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Act, the degree of ‘remorse’ can be reviewed and, through resolution by the Veterans Affairs Review Committee, a person subject to the Act can be determined, and compensation can be resumed thereafter, so freedom of conscience is also constitutionally guaranteed. It may be interpreted as infringing. This is because being tested for remorse to resume compensation may pose a threat to the inviolability of conscience that freedom of conscience seeks to protect, that is, the ethical identity and homogeneity of the individual. In the United States, if a person is released from prison without expressing remorse or going through a separate screening process, compensation is restored immediately. In particular, even if the person is a serious criminal, if he or she is serving vocational release or a social rehabilitation training center, compensation will be paid immediately, so the national compensation standard is set for recipients. It confirms that it is friendly and predictable. Solid support for compensation ensures that the value sacrificed for the nation's security is never lost under any circumstances. This type of state compensation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expected in building an image that demonstrates the solidity of state responsibility. Many of our peace are due to the sacrifices of our patriotic martyrs, and the imposition of unconditional sacrifices must be avoi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nation. From this perspective, when sacrifices to the country are paid for through reasonable compensation, they can serve as the basis for a desirable virtuous cycle, such as inspiring the patriotic spirit of the general public. The state must establish laws and systems to compensate for sacrifices and implement various policies to maintain and guarantee the honorable lives of those who have served the country. Our country also establishes compensation for disability under the Act on Honorable Treatment and Support of Persons of National Merit as its basic law and implements various compensation policies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and medical care. Compens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resolution of the Veterans Affairs Review Committee, which determines appropriate contributions based on the past actions of those who have served the country. Therefore, persons of national merit should not be permanently deprived of their compensation or made overly difficult to return to the applicable status just because they have committed anti-social behavior due to various crimes. This is because, despite the harm caused by criminal acts, the sacrificial acts committed by those who have served the nation do not disappear. When a person returns to society by paying a reasonable price through legal action, the benefits he or she previously received should be restored. Even if the support and b...

      • KCI등재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 제3조 합헌 결정 판례 분석 - 헌재 2019. 12.27, 2014헌바381 결정 내용을 중심으로 -

        백수원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7 No.-

        The ‘Reconstruction Excess Profit Recovery Act’, which was enacted in 2006, was enforced in 2018 after two suspensions, and controversy over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law was raised, and constitutional petitions were also raised. Screened.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in Article 23 (1) and the public welfare in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in Article 2 (Article 2). In addition, through Article 122, etc., it is confirmed that the restrictions and obligations as prescribed by law may be exceeded regarding the balanced us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However, these limitations and oblig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cknowledging broad legislative right to legislators until they are related to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in Article 23 (1) of the Constitution, and limited to the part related to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in Article 23 (2) of the Constitution. I think it is desirable to interpret. In addition, the burden for the recovery of excess reconstruction profits is, firstly, the result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in the absence of realization of the benefits, and even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The property rights are infringed in the sense that they are financial damages that are imposed even after they have already passed the judicial review and proved that they are suitable for public welfar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quality principle, the Constitutional Court's own standard of deferred or deducted payments for one household and one house, or a policy to waive the levy on condition of residence for at least a certain period of long-term residence. In addition, fairness and accurate measurement are important for taxation on unrealized gain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to be charged should be considered. The owners of the reconstruction division will have a very diverse history of life in terms of income or residence period, but it is only a legislative right to tax at unrealized profits at a tax rate of up to 50% for unrealized profits without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domain of. In order to judge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applicable law, it was judg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xcessive prohib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means the material basis of free realization, and freedom and property rights are mutually complementary and inseparable. The degree of regulation should be reviewed to see if there are any restrictions on the basic right beyond the purpose of legislative purposes.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suitability for Sudan, legislators should, as far as possible, choose to limit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to the minimum. It is judged that the unreasonable collective imposition of at least one household and one homeowner who intends to have long-term possession is against the principle of minimum infringement. In terms of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at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was secured in that the tax rate was determined to be up to 50%. 2006년 제정된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이 2차례의 유예 뒤에 2018년 시행되었고, 이에 따라 동 법률의 위헌성에 대한 논란이 일었으며, 헌법소원 또한 제기되어 2019년 헌법재판소가 위헌여부를 심사하였다. 헌법은 제23조 제1항에서 재산권 보장을 규정하고 있고, 동조 제2항에서 재산권의 행사에 있어 공공복리성을 규정하고 있다. 그 밖에도 제122조등을 통해 국토의 균형 있는 이용 및 개발과 보전에 관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과 의무가 헌법 제23조 제1항의 재산권 보장과 관련되어서까지 입법자에게 광범위한 입법형성권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 되며, 헌법 제23조 제2항의 재산권의 행사와 관련된 부분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재건축초과이익 환수를 위한 부담금은 첫째로는 아직 그 이익이 실현되지 않았고, 재산권 행사조차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재산권을 침해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두 번째로는 재건축을 규제하는 여러 다양하고도 다층적인 심사를 이미 통과하여 공공복리에 적합한 재건축임을 입증한 이후에도 부과되는 금전적 손해라는 점에서 재산권 보장을 침해한다. 평등원칙의 관점에서도 특별부담금에 관하여 헌법재판소 스스로가 제시한 기준인 1가구 1주택에 관한 부담금 유예 또는 완화 정책이나, 장기거주 최소한 일정 기간 이상의 실거주 등을 거주를 조건으로 부담금을 면제 정책 등이 필요하며, 아울러 미실현이득에 대한 과세는 공평, 정확한 계측이 중요하며, 부과되는 금액의 적정성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재건축을 하는 구분 소유자들은 소득이나 거주기간 등에 있어 매우 다양한 삶의 이력을 갖고 있을 것인데, 이러한 점들에 대한 고려 없이 개발이익이 크다는 이유로 미실현이익에 대하여 최대 50% 상당의 세율로 과세하는 것을 단지 입법형성권의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정한지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해당 법률의 위헌성을 심판하기 위하여 과잉금지의 원칙에 따라 판단하였는데, 재산권의 보장은 자유 실현의 물질적 바탕을 의미하고, 자유와 재산권은 상호 보완관계이자 불가분의 관계라는 점을 고려되어야 한다. 규제의 정도가 입법 목적의 취지를 넘어 기본권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면이 없는지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수단의 적합성에 있어서도 입법자는 가급적이면 국민의 다른 기본권을 최소한으로 제약하는 방식을 택하여야 할 것이다. 최소한 1가구 1주택자이면서 장기보유 예정자에 대한 예외없는 일괄적 부과는 침해의 최소성 원칙에도 반한다고 판단된다. 법익의 균형성 측면에서도 세율이 최대 50% 수준으로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법익의 균형성을 확보하였다고 평가하기 어렵다.

      • KCI등재

        전자인간 및 전자인격 인정에 따른 법적 논의와 시사점 고찰

        백수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4

        The draft of the robot, published by the European Parliament’s Committee on Legal Affairs, suggests that an autonomous intelligent robot, in which the robot can make its own decisions, can be granted the status of electronic person. The position to establish and standardize regulations on robots, or that robots should be subject to control and requires some regulation, may be interpreted as simply a pressing on robot research from a regulatory-centric perspective, but rather by establishing clear regulatory standards The researcher’s support and encouragement may be required to facilitate the research. In the end, researchers also want their research to be widely used within certain institutions. It can also predict how much risk to take, which can save research direction and costs. An important aspect of electronic characterization is that the robot is responsible for its own actions. Of course, even if all the decisions of the robot are more valid and reasonable than the human will make, in principle the responsibility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 the owner of the robot. Similarly, leg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may be proposed similarly to legal entities. Copyrights can be attributed to the robots or property rights can be enjoyed. Similar to corporations, measures need to be taken to be managed as a property. It is also a task to be solved that one can be old and extinguished at some point in the sense that it is a non-intangible type of entity such as a corpor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robot, the installation of the necessary emergency eliminator is also a problem to consider. On the other hand,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fault of the robot can also be borne by such accumulated robot’s own property, and can also receive damages due to human intention or negligence. In addition, sanctions should be secured to improve the robot’s problems. Some penalties may also be considered. In extreme situations, it may be possible to discard or delete, change, update, or fine a memory chip. Laws and institutions have a duty to prevent social confusion and dangers inevitably entailed in them, and furthermore, they must have a strict calling which will not cause the future society to fall from the present situation. 유럽 의회 법무 위원회(European Parliament’s Committee on Legal Affairs)가 발간한 로봇에 관한초안에 따르자면 로봇이 스스로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율적 지능형 로봇의 경우 전자인간으로서의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로봇에 대한 규제를 마련하고 표준화하려는 입장 또는 로봇은 통제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일정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단순히 규제중심적 관점에서로봇 연구에 대한 압박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명확한 규제 기준을 마련하여 원활한 연구가 가능하도록 연구자의 지지와 격려를 받을 수도 있다. 결국 연구자들 또한 본인의 연구가 일정한 제도권 내에서 널리 쓰임받기를 원할 수밖에 없다. 또한 어느 정도의 위험을 감수해야하는지에대한 리스크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 방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도 하다. 전자인격 부여에 있어 중요한 점은 로봇이 스스로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부분이다. 물론 로봇의 모든 결정이 인간이 내릴 것보다 더 타당하고 합리적이라고 할지라도 원칙적으로 그 책임은 로봇의 소유자인 인간이 지는 것이 맞다. 다만 법인과 유사하게 법적 권리와 책임을 부여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저작권 등이 해당 로봇에게 귀속되게 하거나, 재산권을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법인과유사하게 하나의 재산으로서 같이 관리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할 필요도 있다. 법인과 같이 무형이아닌 유형의 존재라는 점에서 언젠가는 낡고 소멸될 수 있다는 점 또한 해결해야할 숙제이다. 로봇의특성상 필수적 비상 제거장치의 탑재 또한 고려할 과제이다. 한편, 로봇의 잘못으로 인한 손해 배상또한 그러한 적립된 로봇 스스로의 재산으로 부담할 수 있으며, 인간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손해배상금을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로봇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제재수단도 확보되어야 한다. 일정 정도의 형벌도 부과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극단적 상황에서 폐기 또는 메모리칩 삭제, 변경, 업데이트, 또는 벌금 부과 등도 가능할 것이다.법과 제도는 그 속에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는 사회적 혼란과 위험을 방지할 책무가 있고, 나아가 다가올 미래사회의 모습을 현재 상황에서 추락시키지 아니할 엄중한 소명의식을 갖추어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