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멸망기 渡倭 승려들의 활동과 사상

        백미선(Mi-sun Baek)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1 No.-

        백제 멸망기 도왜 승려들의 활동과 사상에 대한 검토는 백제 유민사의 이해를 심화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백제 불교의 성숙으로 당시에는 국가와 불교의 관계보다는 승려 스스로의 수행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과정에서 승려들 가운데 일부는 본토에 남아 부흥운동에 참여하기보다는 수행할 수 있는 안전한 곳을 찾아 떠났던 것으로 보인다. 부흥운동이 이뤄지는 중간에도 승려들의 도왜는 꾸준히 이어졌는데, 이는 위와 같은 연유 외에도 왜의 불교에 대한 호기심에 대응한 측면도 있었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 시기 도왜한 승려들은 이전 6세기 후반에 도왜하였던 승려들과는 좀 다른 모습이다. 그들이 유력 지배세력, 천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불교와 정치에서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과 달리, 당시 도왜한 의각, 홍제 등은 스스로 수행에 집중하는 한편 불교를 통한 교화 자체에 주력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왜의 유민 정책과도 관련이 있을 것인데, 약 10년 뒤에 백제 승려들의 활약이 다시 눈에 띄는 것은 주목된다. 특히 당시 백제 유민의 활동 시기와는 약간 엇갈리는 모습을 보이는 점도 유의해야 할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사상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우선 도왜하기 이전 백제의 불교 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유교가 강조되고, 재이가 빈번히 발생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백제 불교계는 자체의 반성을 촉구하지 않았을까 짐작했다. 그리고 이런 모습들은 도왜한 승려들의 초기 활동과도 관련이 있다고 본 것이다. Review upon activities and thoughts of monks who had gone to Japan helps deepen understanding of Baekje"s drifting people"s history. With Baekje"s buddhism advancement, performances and practices by buddhists themselves were more valued rather than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buddhism. Along the process, it was seen that some of monks left for safer places to practices asceticism rather than remaining in BaeKje in order to participate in revival movement at that time. In the middle of the movement, there was monks" continual migration to Japan, possibly because they had curious interest in Japanese buddhism, set apart from the reason mentioned above. However, the monks who migrated to Japan at this time had a sligh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going to Japan in the late 6th century. In other words, unlike when they ha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n-prominent ruling power or Japanese emperor, monks such as Eui-gak and Hong-je focused on practising asceticism, mainly pursuing edification itself through buddhism. Perhaps it was relevant to Japanese1 policy for the displaced at that time. It is being noted that Baekje monks" activities stood out after around 10 years. We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it was a little different time from the period when Baekje s migrants were actively engaged. Finally, the monks" thought was briefly reviewed. First of all, Baekje"s buddhist thought before their migration to Japan was examined. In the midst where Confucianism was emphasized on and natural calamity was repeated, it was guessed that Baekje"s buddhists themselves requested for self-introspection. To some extent, such feature was considered related to intial activities by monks migrated to Japan.

      • KCI등재
      • KCI등재

        웅진시대 백제의 郡令

        백미선(Baek, Mi-sun)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7

        郡制은 국가의 지방에 대한 직접 통치를 상징하는 지방통치체제이다. 따라서 백제의 지방통치사에서 郡의 등장은 큰 의미를 갖는다. 군의 지방관 군령은 무령왕대 백제의 대외정책 속에서 처음 파견되었다. 무령왕은 적극적인 대고구려전과 대가야전을 수행하였으며, 이때 병력과 재원 동원을 위해 광역의 지방단위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백제의 변경 지역에 군령이 파견된 것이다. 또한 백제는 양나라와의 교류를 통해서, 군을 중심으로 한 지방통치정책과 이념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담로를 중심으로 한 통치체제가 아닌 새로운 지방단위인 군의 등장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뤄졌던 것이다. 백제의 군령은 파견 배경과 지역을 고려할 때 군사적 성격이 강한 지방관이었다. 군령은 성주와 함께 파견되어 그 지역의 군사 활동을 주도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군사적인 활동만 한 것은 아니다. 군의 민정 업무도 맡았다. 군령은 관할 영역 내 성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고, 인력 동원이나 수취에 있어서도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군의 역할은 이후에도 이어진다. 방-군-성제에서 기준이 되는 지방단위가 군인 것은 이와 관련이 있겠다. Gun is a unit of local administration that symbolizes the direct rule of provincial areas by the central government. As such, its advent in the history of local rule in Baekje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Gullyeong, the commander of a gun, wa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Kingdom under the reign of King Muryeong, who considered foreign relations as he imposed the central rule over regions. The king aggressively campaigned against military forces of Goguryeo and Gaya Kingdoms, which required broader local administration units to procure military manpower and financial resources. Gullyeong, the local administrators, were dispatched to the border regions of Baekje to achieve these military ends. In addition, Baekje seems to have learned systems and policies regarding local administration centered around gun from Yang China. Such international circumstances drove the replacement of a local ruling system based damno with the new administrative unit of gun. Gullyeong in Baekje were primarily military administrators, considering the reasons for their appointment and the places they were assigned. It is thought that gullyeong were dispatched to their jurisdictions with a seongju (administrator), and led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area. Gullyeong, however, did not solely look after military operation, but also administration activities for achieving stable growth of the jurisdiction and balance for manpower drafting and collection. Such roles played by gun continue later into the history of Baekje Kingdom. Gun is the basic municipal administrative unit in the system of bang-gun-seong, and it can be understood in the above context.

      • KCI등재

        신라 하대의 三寶

        백미선(Baek, Mi-sun)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신라는 많은 보물을 가진 나라였다. 이 보물들은 모두 신라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매우 컸다. 이 가운데서도 황룡사의 장육존상과 9층 목탑 그리고 천사옥대는 신라 하대에 三寶과 불리며,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함께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보물이었다. 신라 삼보는 신라 하대 경명왕 4년에 처음 등장한다. 그간에는 신라 삼보가 중고기에 성립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이 ‘삼보’로서 함께 언급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재고를 요한다. 삼보는 처음 고려 태조 왕건의 친신라정책에 대한 이슈로서 재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삼보에 대해 주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신라이다. 신라는 경명왕 5년 삼보를 찾고 그것을 통해 대외관계에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 후삼국관계 속에서 효용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라 삼보 각각이 신라 중고기에 성립한 것인 만큼 신라 하대에 어떤 필요로 요구 되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삼보 각각과 신라 하대의 상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황룡사 장육존상은 현재 전하는 기록이 없어, 추후 황룡사와의 관계 속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볼 필요가 있겠다. 황룡사 9층 목탑은 그 상징하는 의미가 유연해 중고기 이후 다양하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천사옥대의 경우는 앞의 두 보물과는 좀 다르다. 호국보로서의 모습 보다는 진평왕대의 왕권 강화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 신라 하대에 이러한 성격이 요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 경순왕으로부터 천사옥대를 이어받은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경순왕이 귀부와 동시에 천사옥대를 바친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다가 후삼국이 통일된 뒤에야 바친 것에 대해서 주목해 보았다. 후삼국 통일 이후 고려는 신라를 있는 통일 왕조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와 함께 고려 태조는 천사옥대를 비롯한 삼보를 필요로 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웅진시대 백제의 왕도 5부제

        백미선 ( Baek Mi Sun )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70

        The center of Baekje during the period of Woongjin was Woongjin, which was the royal capital. Therefore, how Woongjin looked and change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ekje Kingdom's historical development. The five-part system of the royal capital was a complete change from the previous period's recognition and arrangement of the royal capital. Baekje, during the Woongjin Dynasty, By enforcing The five-part system of the royal capital, dismantled the system of the Hanseong Dynasty and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one-sided inclusion of the people of Baekje under the royal authority. As a result, Baekje was able to establish awareness of the royal capital, organize the Central Army based on the royal capital, and expand its territory.

      • KCI등재

        백제 무령왕대의 급사(急使)

        백미선 ( Baek Mi-sun ) 수선사학회 2018 史林 Vol.0 No.65

        A roof tile with the inscription about “an express envoy(急使)” was found in the Songsanri No.6 Tomb and the Tomb of King Muryeong. Since an envoy(使) means an official who was delegated the authority of a king, an express messenger is also considered as an official title of envoys of Baekje. The task of an express envoy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royal tombs. To construct royal tombs, various structures such as roof tile making workshops were created in Sabi area and necessary workforces flowed in. An express envoy seems to have actively engaged in this process 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royal capital and Sabi under the order of King Muryeong. It was necessary to connect the central area to the countryside in order to mobilize resources and workforces to Sabi. King Muryeong’s rule penetrated into the local society through an express envoy and as a result, mobilized workforces became the human foundation for governing Sabi area. The fact that king’s power directly penetrated into the local society through an envoy means that local control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it demonstrates an aspect of local development during the Baekje Era that King Muryeong directly led the development of Sabi area by dispatching an express envoy.

      • KCI등재

        VR 컨트롤러의 모멘트 변화에 따른 최소 무게 차이 인지에 관한 연구

        백미선(Mi-Seon Baek),김헌(Huhn Kim) 한국게임학회 202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가상 물체의 무게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무게감 전달의 수단으로 컨트롤러 내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화시키면 모멘트의 크기가 변화하는 개념을 활용하였다. 사용자가 무게차를 인지하는 무게 중심의 최소이동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작 자극의 위치와 무관하게 약 5cm의 무게부 거리 차에서 두 물체 간의 무게 차이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모멘트 변화에 따른 무게 인지의 최소이동거리 역치 값을 찾는 실험을 수행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VR controller that can provide an enhanced experience in VR by augmenting the sense of weigh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ntroller was used as a means of transmitting the sense of weigh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a device that could change the center of gravity to find the minimum distance at which people can perceive the difference in weigh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imuli can be perceived at a distance of about 5 cm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starting stimulus.

      • KCI등재

        일부 위탁급식 중,고등학교 학부모의 급식모니터링 활동여부에 따른 급식만족도 조사

        백미선 ( Mi Sun Baek ),이영미 ( Young Mee Lee ),오유진 ( Yu Jin Oh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par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foodservice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foodservice monitoring. Surveys were conducted in six schools that implemented foodservice monitoring. In these schools, 126 participants and 167 non-participa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 group was more satisfied with taste (participation 3.63, non-participation 3.20), quantity (participation 3.69, non-participation 3.20), and menu composition (participation 3.67, non-participation 3.16) than the non-participant group.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rticipant group (3.7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participant group (3.24) (p<0.01). It was also indicated that the overall level of trust toward the foodservice op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rticipant group (3.90) than in the non-participant group (3.32) (p<0.001). After participating in monitoring, 74.8% of the parents changed their perception on school foodservice and 84.7% of them became to have more positive view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foodservice monitor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n school foodservice.

      • KCI등재

        『해동고승전』을 통해 본 각훈의 고구려 불교사 인식 : 논문

        백미선(Baek, Mi-seon)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승려 각훈이 찬술한 『해동고승전』은 『삼국사기』, 『삼국유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다룬 현존하는 사료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난다. 특히 삼국에 불교를 유통시키는데 힘쓴 승려들의 전기를 다룬 덕분에 삼국의 불교사전개 양상과 함께 고려시대에 그 전개 양상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이 글에서는 그 가운데 『해동고승전』에 수록된 고구려 불교와 관련된 승려들의 전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훈은 여러 사서와 승전의 내용을 저본으로 하였지만, 윤색, 절삭 등의 방법을 통해 그 내용을 변형하여 고구려 불교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드러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각훈의 서술 태도를 통해서 그가 고구려 불교사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각훈은 순도에 의해 고구려가 수용됨으로써 불교가 시작되었다고 보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기저에 이전부터 형성되었던 불교와의 인연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하였다. 이렇게 기반이 되는 인연을 통해서 의연이 북제의 법상에게서 답을 구해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고구려에 불교가 막힘없이 유통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또한, 『해동고승전』의 고구려 불교 관련 사료는 사학사적으로도 많은 의미를 갖는다. 현존하는 사료 가운데 유일하게 삼국 불교와 관련한 승려들의 전기를 전하는 승전으로, 특히 고구려 불교와 관련한 승려의 전기가 이렇게 본격적으로 다뤄진 것은 『해동고승전』이 처음이다. 특히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찬술한 시기는 무인정권기에 해당한다. 때문에 그의 찬술 내용에는 당시의 현실에 대한 인식도 반영되었을 것이다. 그가 『해동고승전』에 수록한 고구려 불교 관련 승려들은 모두 나라에 불교가 유통하도록 힘쓰거나, 위험 속에서 불교를 보호하고자 했던 모범적인 인물들이었다. 아마도 각훈은 어지럽던 당시에 이들을 모범으로 삼았으면 하고자 하였던 것은 아닐까 한다. Buddhist monk Gakhoon-authored 〈Haedongkoseungjeon〉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as the extant historical sources dealing with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gether with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and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especially high in its value in that we are able to look at how the people in the period of Goryeo were aware of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history of Buddhism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aspects of the history of Buddhism of the Three States thanks to the Buddhist monk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propagating Buddhism to the Three States. This writing specifically took a look at the biography of the Buddhist monks involved in the Buddhism of Goguryeo included in Haedongkoseungjeon〉. As a result, this writer was able to discover that Buddhist monk Gakhoon exposed how he was aware of the history of Buddhism of Goguryeo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several history books & biographies of Buddhist monks through the use of embellishment and cutting though he based his book 〈Haedongkoseungjeon〉on the contents of several history books & biographies of Buddhist monks as original copies. Through such a statement attitude of Gakhoon, this writer could know how he recognized the history of Buddhism of Goguryeo, Gakhoon seems to have a judgement that the Buddhism in Goguryeo began with Goguryeo’s reception of Buddhism through the propagation of Buddhist monk Sundo, but some were of another opinion that it was possible for Goguryeo to accept Buddhism due to the previously-formed ties with Buddhism at the bottom of the beginning of Buddhism: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through the foundational ties with Buddhism, a high priest Uiyeon was able to get an answer from the Buddhist teachings in ancient Bukjae Dynasty in China, through which Buddhism could be spread without any block. Further,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Buddhism in Goguryeo included in 〈Haedongkoseungjeon〉 have a lot of meanings eve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studies. It is the only biography of Buddhist monks delivering the life stories of the Buddhist monks involved in the Buddhism in he Three States among the extant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Haedongkoseungjeon〉 was the first to deal with the biographies of Buddhist monks involved in Buddhism in Goguryeo in earnest like this. The period when Gakhoon wrote 〈Haedongkoseungjeon〉 belongs to the period of military subjects’ dictatorial regime in Goryeo. Therefore, there might be a reflection of the reality at that time in its contents. 〈Haedongkoseungjeon〉-included Buddhist monks related to Buddhism in Goguryeo were the exemplary figures who strove to propagate Buddhism into the country or tried to protect Buddhism from danger with one accord. This writer wonders if Gakhoon might wish the people living in such a turbulent period should follow the example of these mon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