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및 도덕과 교육과정의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

        배화순 한국법교육학회 2024 법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교육의 중핵 교과인 사회과와 도덕과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법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초・중・고등학교 전반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법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교과 간 연계나 융합을 통한 법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주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법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법교육의 내용 요소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틀에 기반하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을 학교급별로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 외에도 초등학교 1~2학년군의 통합교과나 5~6학년군의 도덕과에서도 법교육 내용 요소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1~2학년 통합교과에서의 법교육 방안, 초등학교 5~6학년군의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공통되는 법교육 내용 요소(인권 등)에 대한 교과 연계 및 융합형 법교육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학교의 경우, 주로 법의 기초나 헌법, 사회법 등의 내용은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인권 관련 내용은 사회과 역사 영역이나 도덕과 등에서도 상당히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권과 같은 법교육의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중학교 사회과 일반사회와 역사 영역 간의 연계・융합 혹은 중학교 사회과와 도덕과 간의 교과 간 연계・융합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등학교의 경우, 통합사회나 한국사와 같은 공통 과목에서 법교육 내용 요소를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으며, 사회과나 도덕과의 여러 선택 과목에서도 법교육 관련 내용 요소가 일부 나타나고 있었다. 인권, 정의, 불평등 등의 요소는 사회과 일반사회, 역사, 지리 영역의 고등학교 과목에 걸쳐 광범위하게 반영되고 있으며, 도덕과에서도 핵심적인 내용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를 토대로 하는 법교육 중심 교과 내, 교과 간 연계나 융합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과목 수업 자료 혹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2022 개정 사회과 및 도덕과 교육과정 법교육 내용 요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생의 법교육 경험이 보다 확대되고, 교과 내 혹은 교과 간의 연계나 융합을 통한 법교육이 점차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which are fundamental subjects of citizenship education. This analysis aims to scrutinize the content covered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law-related education. The study commenced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aw-related education, emphasizing its content elements and focusing on significant prior studies. Subsequently,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a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analysis framework, which delineated key features by educational level. In the upd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law-related education components are significantly incorporated not only in Social Studies but also in integrated subjects for grades 1-2 and in Moral Education for grades 5-6. This inclusion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strategies for law-related education in integrated subjects for the early grades and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strategies for common elements, such as human rights, in the later grades. In middle schools, foundational legal topics, including the constitution and social law, are primarily discussed within the general social studies area of Social Studies. Additionally, there is a pronounced focus on human rights within both the history segment of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ignaling a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pedagogical and assessment materials centered on these themes. In high schools, prevalent subjects like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Korean History encompass substantial law-related education components, and several elective courses i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also include related content. Elements such as human rights, justice, and inequality are broadly represented across high school subjects in general social studies, history, and geography, and are fundamental components in Moral Education. This extensive representation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resources that assist teachers in employing these elements within lesson materials 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aw-related education content elemen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this study articulates the aspiration that the exposure to law-related education will be expanded through this research, thereby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of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es.

      • KCI등재

        영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배화순,김현미,이정우,조철기,이해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ngland and explores how to improve Korea’s 2015 revised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cently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promotes a core knowledge-based curriculum in place of a competency-based one. Accordingly,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emphasize content that focuses on essential knowledge students must learn. The revised curriculum in England is characterized by fully reflecting the differences of each area regarding goals,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osition of content since it is divided into geography, history, and civic subjects. Furthermore, it sequentially ranks the content or functional elements by key stage and marks the area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learned as “non-statutory” elements, thereby reflecting differences from Korea’s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a systematic direction for the integration and division for each area of social studies is necessary. Second, the issue of excessive duplication of social studies content needs to be addressed Third, the hierarchy for skills needs to be considered,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guide should be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distinguish between essential elements and those that are not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issues, we hope that follow-up research to improve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an be carried out. 본 연구는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을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정된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핵심 지식 중심 교육과정을지향한다. 이에 따라 영국 사회과의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필수 지식, 즉 내용 요소를 강조한다. 한편 영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은 지리, 역사, 시민성 과목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목표및 성취기준, 내용 구성 등에 있어 각 영역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Key Stage별로 내용이나기능 요소 등을 위계화하고 있으며, 필수적으로 학습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비법령적(non-statutory)’ 요소로표기하는 등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통합형, 분과형 등 사회과 교육과정의구성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의 분석을 통하여 내용체계에 대한 점검이필요하다. 셋째, 사회과 기능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기능에 대한 위계의 고려와 교육과정의필수 요소에 대한 안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과정 상에 필수적 요소와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표시하는방안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쟁점을 중심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후속 연구가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배화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9 시민교육연구 Vol.5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ed for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draw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t a time when data is increasingly becoming a topic of attention amid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data literacy is covered in the curriculum and data is a major topic of learning in textbooks, presented as tables, graphs and so on. However, as it appears that the importance of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topic,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e sake of civic education, as well as its future directions.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hold a prominent place in the cultivation of the basic capacity of citizens, rather than being a technical or mathematical/statistical skill. It should be advanced to a level where students can collect and apply data, and even communicate using data. There is a need to support students in their exploration of the significance of data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subject’s curriculum. H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 on curriculums, textbooks, and methods for teaching data literacy in social studies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ivic qualities for reading and analyzing data critically. 본 연구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사회과 교육의 차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에서는 교육과정 차원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교과서 내에서도 각종 표, 그래프 등을 제시하는 등 데이터를 주요 학습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교육 내에서 데이터 리터러시 관련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측면이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 교육적 차원에서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의 목적 및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회과 교육에서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은 기술적 차원이나 수학 및 통계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시민의 기본적 역량 함양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활용하고,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차원까지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데이터가 갖는 의미를 교과 교육의 차원에서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을 위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연구,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방안 모색이 선행되어야 하며, 데이터를 비판적으로 읽고 해석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한 중학생의 차별 가해 경험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배화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2

        Korean society has attempted to solve various discrimination issues and realize genuine equality. However, serious discriminatory and hate practices remain widespread. In particular, as discrimination and bullying by adolescents are directly related to school violence, group bullying, and cyber violence, serious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analyzed types of discriminatory acts perform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 related factors to find ways to curb their occurrence. This study conducte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2019 children and adolescents human rights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sis of 2,865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discriminatory acts were classified by their characteristics into four types: lower level, middle level, partially high level, and high level. The type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were classifi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content or area of discrimination, and the level of discrimination behavior. Next,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 family, and school-related factors predict each type of youth discrimination experience through classification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was analyzed,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human rights consciousness, self-esteem, and student participation variables in school affected youth discrimination behavior. Lastly, this study presented ways of reducing discrimination and bully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and policy dimensions. 우리 사회는 여러 가지 차별 문제를 해결하고 진정한 의미의 평등을 실현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회 곳곳에는 차별이나 혐오 등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청소년들의 차별 가해 행동은 학교폭력이나 사이버 폭력, 집단따돌림 등의 문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수행되었으며, 특히 청소년 차별 가해 행동 경험의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예측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차별 가해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자료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9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학생 총 2,86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차별 가해 경험 유형은 총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차별 가해 경험의 유형은 차별의 내용이나 영역, 차별 가해 행동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분류된 것으로, 이 연구에서는 각 유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수준, 중수준, 부분적 고수준, 고수준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차별 가해 경험의 유형 분류를 통해 개인, 가정 및 학교 관련 요인이 청소년 차별 가해 경험의 각 유형을 예측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권의식, 자아존중감, 학생의 학교 참여 변인이 청소년 차별 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중학생의 차별 가해 행동 감소를 위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민교육으로서의 사회과 법교육 방향 탐색 - 독일 베를린주와 호주를 중심으로 -

        배화순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최근에 교육과정을 개정한 독일 베를린주와 호주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시민교육으로서의 사회과 법교육 방향을 탐색하고,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독일 베를린주는 초등학교의 ‘사회과학’ 과목 및 중등학교의 ‘정치교육’ 과목에서 법교육 영역을 다루고 있다. 독일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가정이나 학교 등 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규칙이나 질서의 중요성을 내면화하는 방향으로 법교육을 실시하며, 중등학교 수준에서는청소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청소년 보호 문제나 범죄 등을 교육과정 상 강조한다. 호주는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가 다양하고, 구체적이기 때문에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이 상세하게 제시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호주는 중등학교 수준에서는 매학년마다 법교육 관련 주제를 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어 계열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법교육 영역을 다음과 같이 개선할 필요가 있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의 일상생활을 반영한 법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성취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호주의 사회과 법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성취기준의 진술 방안을 개선함으로써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등학교 수준에서 사회과를 분과형으로 개편하여, 시민교육으로서의 법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aw-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s citizenship education by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a of in Australia and Berlin State, Germany, which have recently been revised as they have been in Korea, and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Berlin State of Germany, the “social science”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political education” subject in middle school cover the field of law-related education. In the Berlin State of Germany, elementary-level curriculum provides law-relate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nternalizing the importance of rules and order within the everyday lives of students, such as in home or school environments. In middle school-level curriculum, law-related education is emphasized in subjects associated with adolescent protection issues or crime, which are directly relevant to adolescents. The curriculum in Australia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viding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law-related education, as the achievement standards include various and specific descriptions. In additio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n Australia provides a sequential format of law-related education, as separate law-related topics are specified for each grade. Based on the above cas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should be made to Korea’s 2015 revision of law-related education with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irs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improved to reflect the everyday liv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in law-related education. Seco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by improving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referencing law-related education in the Australia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rd, plans to more systematically provide law-related education as a part of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t the middle school-level by reorganizing social studies as a separate subject.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배화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operational status, related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rd and fourth grad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37 teachers who taught social studies to third and fourth grades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written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on a focus group consisting of four teachers and professo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 competencies level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ppropriate. Some other teachers thought that some of the topic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ere somewhat excessive in volume or rather difficult. In addition, they had difficulty in teaching local community issues as part of the social studies clas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believed that the teaching material on local issues must be expanded urgen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as ways for improvement in prepa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the redefinition of skill levels in social studies, a review of the study volume and content difficulty levels, and furthe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topic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쟁점,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수업을 실시한 교사 8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명의 교사 및 교수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서면 조사 및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대해서 대체로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3~4학년군에 제시된 사회과 학습 내용 중 일부 주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학습량이 많거나 내용 수준이 다소 높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들은 3~4학년군에 제시된 사회과의 지역화 관련 부분을 수업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지역화 수업 자료 등이 부족한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에 대비하여 사회과의 교과 역량 개념에 대한 재구조화, 학습량 및 내용 수준에 대한 검토, 지역화 수업을 위한 자료 개발 및 지원 강화 등을 주요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배화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3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use of data in various fields, citizens often read data such as tables, figures, maps and graphs in their daily lives and encounter social phenomena and issues based on data. In order to live in a modern society, citizens need to be equipped with dat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llect, analyze, interpret, evaluate and argue with data and through data visualizations. In social studies, various types of data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social phenomena, issues and problems. Recent education policy changes in Korea,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pected to expand the amount and level of data used in social stud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rengthen the data literacy skills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data literacy competenci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at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raws up concrete support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data literacy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data literac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eachers were somewhat unfamiliar with data literacy, but they generally agreed that data should be addressed in social studies classes.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directl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es and using it as a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 such as differences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data and difficulties in collaborating with other teachers to promote data literacy. To address these issues,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develop and share materials for data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epare new phys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내용 타당성에 대한 성찰 - 2015 개정 초․중 ‘사회’ 과목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

        배화순,강대현,황미영,이경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2

        This study aims to (1) examine whether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ppropriately aligns well with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trends of social sciences literature and (2) investigate improvement measures. Given that the social studies subject provides a civic education based on social sciences literatur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reflect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cent trends. To this end, this study ascertains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cent trends corresponding to each major discipline area within the social sciences, including political science, law, economics, soci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and reviews the validity of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lis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o establish standards for analyzing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tren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xperts on subject content education from the social science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then constr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researchers’ internal reviews and revisions. Based on the developed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yielding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ocial sciences educational cont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generally reflects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levant trends. However, problematically, some basic concepts and pertinent details have been omitted, and the educational content does not reflect recent academic trend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levant trends are better represented in middle schools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s. Looking at each academic field individually,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levant trend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political science subject, but there was no content about the ele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level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while the law-related curriculum properly reflects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levant trends based on the foundation of law and the constitution, it fails to address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a democratic citizen, compliance, and international law. Third, due to complex knowledge and various difficult concepts, the economics curriculum faces difficulty in capturing concepts in accordance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gree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does not reflect recent trends. Fourth, this study identified curriculum challenges in selecting major concepts and principles in soci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 due to comprehensive information and various sociology and cultural anthropology-based perspectives coupled with the curriculum’s failure to adequately reflect the disciplinary content structures and relevant trends.

      • KCI등재

        참정권 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 2015개정 교육과정과 2022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배화순,박은아,성경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교육 Vol.62 No.2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uffrag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fter the revision of the Political Relations Act,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implications related to suffrage education were found. Firstly, there is a concern about the gap in suffrage education in the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3rd~4th graders and the 5th~6th graders in the next curriculum. Secondly, achievement standards that focus on the role of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suffrage education can be found in 「Society」 in elementary school and 「Politics」 in high school. However, they could not be found in 「Society」 in middle school and 「Integrated Society 1, 2」 in high school.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content category of ‘daily lif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insufficient except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ut efforts were made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life. Fourthly, by emphasizing learning that considers the real political context, a change in perspective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role of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the political process, the role of citizens as voters, and the necessity of civic participation while emphasizing students' suffrage. However, it was not found achievement standards that directly reflected change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Political Parties Act, and other related laws in 「Integrated Society 1, 2」 , 「Politics」 , and 「Law and Society」 at the high school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