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에서발생한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카테터 관련 패혈성 쇼크 1예

        배태원,이재현,이혜수,조용곤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6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6 No.3

        Lactococcus lactis is a gram-positive cocci used extensively in the dairy industry, but considered an unusual pathogen in humans. Among its five subspecies, L. lactis subsp. lactis in particular has rarely been reported as a pathogen. We report a case of septic shock caused by L. lactis subsp. lactis in an adult patient. A 64-yr-old male patient was admitted to outpatient clinics, with chief complaints of fever and chills for one week after convalescent hospital admission. He had severe ileus requiring surgery. He had a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from convalescent hospital, which was immediately removed. From two sets of blood and catheter tip cultures, we identified L. lactis subsp. lactis using the Vitek 2 system (bioMerieux Inc., USA), and confirmed this result by 16S rRNA sequencing. The patient was empirically treated with ciprofloxacin, and he recovered and was discharged. Lactococcus lactis는 유산균의 발효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그람양성구균으로 특히 5개의 아종 중 L. lactis subsp. lactis에 의한 감염은 매우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성인에서 발견된 L. lactis subsp. lactis에 의한 카테터감염 후 패혈쇼크로 진행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던 64세 남성 환자가 일주일간 지속되는 발열, 오한을 주소로 외래를 경유하여 입원하였다. 환자는 이전에 받았던 수술에 의한 심한 장폐색증 이외에 특이소견은 없었으며, 요양병원에서 삽입하고 있던 말초삽입중심정맥관을 즉시 제거하였다. 말초혈액 2쌍 및 말초삽입중심정맥관의 카테터팁 배양을 실시한 결과, L. lactis subsp. lactis로 동정(Vitek 2, bioMerieux Inc., USA)되었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결과도 일치하였다. 환자는 경험적 항생제인 ciprofloxacin을 투여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 KCI등재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발생한 Rhodotorula 패혈증 1예

        배태원,이재현,조용곤,김달식,최삼임,이혜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6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6 No.2

        Rhodotorula species are round to oval-shaped, multilateral budding, encapsulated yeasts that produce urease and do not ferment carbohydrates. Rhodotorula species form characteristic salmon-pink colored colonies owing to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These yeasts form a part of the normal flora of moist skin and are found in the environment. Rhodotorula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a contaminant but is now progressively recognized as a human pathogen, especially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with central venous catheters. However, isolation of Rhodotorula species from blood has been very rarely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sepsis due to Rhodotorula mucilaginosa infection in a patient who had received chemotherapy and supportive care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Rhodotorula는 협막에 싸여진 원형 또는 난원형의 효모균으로 다발성(multilateral) 출아를 보이며, 요소분해 효소를 생성하고 탄수화물은 발효하지 않는다. Rhodotorula는 카로티노이드 색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특징적인 연어살색 집락을 보인다. Rhodotorula는 자연환경에 분포하고 습윤한 피부에서 정상균무리로 존재하기 때문에 흔히 오염균으로 간주하였으나 최근에는 면역기능저하환자, 특히 중심정맥카테터를 삽입하고 있는 환자를 중심으로 병원균으로 인식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 한국에서는 Rhodotorula 패혈증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는 바, 저자들은 항암치료 및 보존적 치료를 받아오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Rhodotorula mucilaginosa에 의한 패혈증이 발생하였기에 증례로 보고한다.

      • 클라우드 CAD에서의 도면 보안 기술 분류

        배태원 ( Tae-won Bae ),홍미 ( Mi Hong ),이종근 ( Jong-ku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클라우드 CAD는 기존 사용자들의 작업 효율성 증대 및 기업의 자원 절약뿐만이 아니라 설계와 현장간의 협업 등 많은 부분에서 큰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이 도면, 문서 등이 관련된 보안에 관련된 문제로 인해 클라우드 CAD를 사용함에 있어서 망설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CAD인 AutoCAD WS와 몇몇 기업에서 적용중인 가상화 클라우드 CAD를 기준으로 하여 기업에 적용시 문제가 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성인에서 참고구간 내의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농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 발병률과의 관련성

        최문석,배태원,이재현,조용곤,이혜수,최삼임,김달식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3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3 No.1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reference intervals (RIs) for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an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GT levels within RI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etS)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DM) in men and women. Methods: A total of 363 healthy adults (137 men and 226 women) were enrolled for establishing the RIs of serum GGT.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919 individuals (519 men and 400 women)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gender-specific serum GGT RI quartiles and prevalence of MetS and DM. Results: The RIs for serum GGT levels (central 95th percentile ranges) were 9.0-70.6 IU/L and 4.0-31.3 IU/L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In men,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prevalence of MetS in 4 serum GGT quartiles (lowest to highest) were 1.0 (reference), 3.6 (0.7-18.0), 8.8 (2.0-39.1), and 17.4 (4.0-75.3), respectively, while the ORs (95% CIs) for the prevalence of DM were 1.0 (reference), 1.0 (0.3-3.0), 1.7 (0.6-4.6), and 2.6 (1.0-6.6), respectively. In women, the corresponding ORs (95% CIs) were 1.0 (reference), 3.3 (0.6-16.6), 5.8 (1.2-27.3), and 18.8 (4.3-82.2) for MetS, respectively, and 1.0 (reference), 1.6 (0.3-9.7), 1.6 (0.3-9.9), and 8.0 (1.7-36.7) for DM, respectively. These significant relationships persisted after adjusting for age, alcohol intak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Conclusions: Serum GGT levels, even within RIs, were proportionally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DM in both men and women. Serum GGT level may be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배경: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에서 혈중 GGT 농도의 참고구간을 설정하고, 참고구간 내의 혈중 GGT 농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제2형 당뇨병 발병률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혈중 GGT 농도의 참고구간의 설정을 위해 총 363명(남자137명, 여자 226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본 연구에 동의하고 건강검진을 실시한 총 919명(남자 519명, 여자 400명)을 대상으로 단면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남자와 여자의 혈중GGT 농도의 참고구간을 4군으로 나누어 대사증후군과 제2형 당뇨병의 발병률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중앙 95백분위수에 의한 혈중 GGT 농도의 참고구간은 남자에서 9.0-70.6 IU/L 그리고 여자에서 4.0-31.3 IU/L였다. 참고구간 내의 혈중 GGT 농도의 사분위수군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대응 위험도(95% CI)는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1.0, 3.6 (0.7-18.0), 8.8(2.0-39.1), 17.4 (4.0-75.3)와 1.0, 3.3 (0.6-16.6), 5.8 (1.2-27.3), 18.8(4.3-82.2)였고, 제2형 당뇨병에 대해서는 각각 1.0, 1.0 (0.3-3.0), 1.7(0.6-4.6), 2.6 (1.0-6.6)과 1.0, 1.6 (0.3-9.7), 1.6 (0.3-9.9), 8.0 (1.7-36.7)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나이, 알코올 섭취, BMI 및 흡연유무로 보정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혈중 GGT 농도는 참고구간내의 농도라 할지라도 대사증후군 및 제2형 당뇨병의 발병률과 용량-반응관계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혈중 GGT 농도는 만성퇴행성질환에 대해 하나의 독립적 예측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고압환경에서의 기체-액체 분사기 분무 특성 연구

        김종규(Jonggyu Kim),한영민(Yeoung-Min Han),배태원(Taewon Bae),최환석(Hwan-Seok Choi),윤영빈(Youngbin Yoon)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분사기는 다단 연소 사이클 엔진 연소기에 적용하는 분사기이다. 본 분사기에서 연료는 접선홀을 통해 와류 형상으로 분무되며, 예연소기에서 생성된 산화제 과잉 가스는 중앙에서 jet의 형태로 공급된다. 이러한 기체-액체 분사기의 상압/고압환경에서의 분무특성 및 분사기의 리세스에 따른 분무특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다단 연소 사이클 엔진 개발의 기본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CSC injectors studied in this paper are those a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of staged combustion engines. Liquid fuel is injected through tangential holes along the outer wall of the GCSC injector forming a swirling sheet and oxygen rich gas generated by a preburner enters axially through the center orifice of the injector to form a gaseous jet.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GCSC injectors under ambient/high pressure conditions and the effect of recess on spray characteristics have been examined in this pape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to develop of a staged combustion engine.

      •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의 화염냉각장치 설계

        전성복(Sungbok Jun),김상헌(Sangheon Kim),배태원(Taewon Bae) 한국추진공학회 2015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추진기관시스템의 연소시험 시 발생하는 화염의 냉각처리는 시험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 안정적인 냉각수의 공급체계와 안전한 냉각장치의 구조설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냉각수의 공급체계와 화염냉각장치의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설계사항에 대한 화염냉각 해석결과 요구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Flame cooling process during the propulsion system combustion test is essential for the safety. The stable water supply system and the safety structure design of the cooling device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perform the design of the cooling water supply system and flame cooling device. From the resuilt of flame cooling analysis, it was evaluated to be suitable for requi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