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이오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한 FTA 대응전략 연구 : 바이오연료 공급 확대가 농산물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배정환,차경수,권오상,노재선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연구보고서 Vol.2008 No.12

        1. 연구 배경 및 대상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산업육성을 통한 FTA 대응전략’ 이라는 3개년 연구사업의 제1차년도 과제로 수행되었다. 지난 2007년 3월 한국과 미국의 협상단이 양국간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원칙적으로 합의하면서 자유무역 협정의 잠재적 파급효과가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특히 우리나라는 미국에 비해 비교열위에 있는 농업부문의 피해가 가장 심각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정부는 피해농가에 대한 소득 보전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이에 바이오에너지 산업 육성이 지속적인 소득보전방안 가운데 하나로 논의되었다. 즉, 농업부문의 신성장동력으로서 바이오연료, 바이오가스, 목질계 바이오매스로 대별되는 바이오에너지 산업을 정부 지원에 의해 육성함으로써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피해를 보상하자는 것이다. 이렇게 정부가 바이오에너지 산업 육성을 FTA 대응 수단으로 논의한 배경에는 또 다른 외부 충격인 국제유가 상승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즉 2006년과 2007년에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면서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기에 이른 것이었다. 따라서 FTA에 대한 대응과 동시에 에너지 안보에 대한 대응수단으로 바이오에너지 산업은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1차년도 사업에서는 바이오에너지 가운데 바이오연료 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바이오에너지는 바이오연료 가운데 하나인 바이오디젤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고,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분야가 바이오연료 분야이기 때문이다. 농업부문에 바이오디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구채적인 수단으로 바이오디젤용 원료인 유채재배가 거론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부문에 대한 FTA 대응수단으로 바이오디젤용 유채재배를 고려하고, 이를 위한 지원 정책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바이오연료가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옥수수와 대두, 밀과 같은 세계 주요 경종식물의 가격이 폭등하고, 축산물과 관련 부문의 소비자 가격을 상승시키면서 애그플래이션(ag-flation)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즉 애그플래이션의 주요 원인으로 세계 각국의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가 거론되었다. 옥수수는 바이오에탄올의 주요 원료로 이용되어왔는데, 이들 작물에 대한 식량용 수요는 크게 늘지 않은 반면에, 바이오연료용 수요가 최근 들어 크게 늘었고, 결과적으로 공급 부족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가 크게 올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 정책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에 대한 신중론이 우세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6년 하반기에 정부 주도로 바이오디젤 상용화를 시작하였고, 오는 2012년까지 전체 수송용 경유의 3%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바이오연료 보급 정책이 애그플래이션 문제를 감안 할 때 적절한 것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미국을 대상으로 미국의 바이오에탄올 산업 및 자국 옥수수 시장I 그리고 옥수수를 사료로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 농산물 시장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목적 및 방법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 목적은 자유무역협정 체결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미시적, 거시적 파급효과를 평가하고, 유가충격과 결합될 경우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 연관표를 이용하여 소규모 개방경제를 가정한 정태적(static) 연산가능일 반균형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이용하여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관세가 철폐될 경우 농림축산 부문을 포함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출수준 변화와 같은 미시 경제 변수뿐만 아니라 국내총생산 변화 및 후생 변화와 같은 거시 경제 변수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자유무역협정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타부문과 비교하고l 사회 전체의 1. Background and Objective Korea has been preparing free trading agreement (FTA) with other countries such as U.S.A, EU, and China. Accordingly, it is highly plausible for domestic industries with comparative disadvantage such as agriculture, livestock, and wood sectors may be negatively affected by the agreement. In response with the economic loss in those sectors, government attempts to foster domestic biodiesel industry using Korean rapeseed oil. Thus, we need to evaluate how the free trading could influence micro as well as macro economic variables such as GDP and social welfare. Besides, the impact analysis of the high crude oil price shock on the economy and biodiesel industry would show whether the government supportive policy on the biofuel sector is appropriate in response to multiple impact of high oil shock and FTA shock. Meanwhile, as international oil prices have skyrockete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biofuels has risen tremendously. In 2007, the world production of biofuels was estimated to be over 56 million kiloliters, which is about 2% of the world gasoline consumption. The OECD/IEA (2006) presumes that biofuel production will reach 7% of the world road fuel consumption by 2030. In parallel with the energy crisis issue, the threat to global food security has been emerging as one of the most critical global issues in 2008. During September 2006 and March 2008, the world wheat price, soybean price, and corn price increased by 183%, 151%, and 133%, respectively. Along with the rise in major grain prices, feed prices for breeding cattle, hogs, and broilers have increased sharply, collectively causing the so-called phenomenon of "ag-flation." Korea began to produce biodiesel commercially in 2006 and the biodiesel production goal to 2012 is 3% of total road diesel fuel consump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how the growth of biofuel industry would affect agricultural market. 2. Purpose of the Study The goal of t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goal is to evaluate economic impact of free trading as well as government subsidy policy on the biodiesel sector. A static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CGE) for a small open economy is constructed using Korean input-output data in 2003. The second goal is to quantify the feasible impact of world wide expansion of biofuel production on the agricultural market. More specifically, there are two approaches for the investigation. First approach employes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SVAR)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how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oil price could affect bioethanol demand, feed demand for corn, and corn price. Secondly, we examine how the growth of bioethanol in U.S.A affect corn prices derived by corn demand and corn supply using structural econometric model. Accordingly, we investigate how domestic feed and livestock market could be affected by the increase in the corn price. 3. Major Findings In the first study, we found that the removal of tariff in the entire industries could worsen agriculture, feed, livestock, and wood industries while improve consumption and gross domestic production. The changes in the consumer's welfare shows that the net welfare gain is positive even if the increased welfare gain from the free trading is used for compensating economic losses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wood industries through the subsidy policy on the biodiesel industry. The second approach using SVAR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As the one unit of standard errors of oil price shock increases, the oil price increases rise upto 10% at the top and disappear as time goes by. Com demand for bioethanol rises upto 2% at the 10th quarter, and the corn price increases by 2% at the 10th quarter and stabilizes at 1%. Thus we could say that the oil shock could affect bioethanol demand and com price upto medium and long term. From the third research, com price elasticity on t

      • KCI등재

        관세철폐가 친환경연료 산엄에 미치는 일반균형적 파급 효과

        배정환 한국환경경제학회 2009 자원·환경경제연구 Vol.18 No.1

        This research aims at quantifying economic impacts of free trading policy on environment-friendly fuel industry applying a static general equilibrium(CGE) model for Korea. Theoretically, ‘polluters haven’ hypothesis had been debated as major issue on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trade liberalization during 1970s and 1980s but recent literature emphasizes that production, scale, structural, and regulatory effects may derive rapid diffusion of environment friendly technologies. In this study, trade liberalization policy affects output of agricultural sectors negatively while that of biodiesel as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positively. The rise in the output of biodiesel is derived from the reduction in import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 abolishment of tariff. The policy implication from the analysis is that feedstock for producing biodiesel should be exploited in the foreign countries where productivity of agriculture is quite predominant compared to Korean agriculture.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자유무역정책을 실시할 경우 경제 전반과 친환경연료인 바이오디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태적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CG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으로 자유무역과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공해안식처 가설’이 1970~1980년대를 풍미하였으나, 1990년대 이후 Townsend and Ratnayakee 등은 자유무역이 생산효과, 규모효과, 구조효과, 규제효과를 통해 친환경기술 도입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음을 역설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과연 무역자유화의 효과로서 관세철폐가 우리나라 바이오디젤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관세가 철폐되면 농업부문 산출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바이오디젤 산업은 팽창하며, GDP와 소비자 후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디젤 산업이 팽창하는 것은 원료인 대두유가 해외에서 수입됨에 따라 관세를 철폐할 경우 원료 수입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즉, 토지 생산성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바이오디젤 원료로 이용하기보다는 동남아나 북․중남미 등에서 원료를 개척하여 수입하는 것이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자유무역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책임 경영을 위한 공공기관의 역할 연구

        배정환 한국지방행정학회 201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8 No.2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accepted as appropriateness and inevitable issue. But, the Korea's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Social responsibility is mainly led by large enterprises. Now a days, Sustainability manage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not a problem of declaratory slogan any more in all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cluding not only the private business sector but also public sectors. So This Study aim is finding a way to Strengthening Social Responsibility in Public Sector, specially Public Enterprises. As a result of study, Public Enterprises SR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head of each organization should judge the merits and deficiencies of each organization, which after SR examination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establishment of strategy, designing of organization. Second, for Public Sector, specially Public Enterprises, the government's role should be strengthened, and a SR model should be made. Third, SR report, annual report, Sustainability management report, and report of management evaluation result are evaluated by expert group or government.

      • KCI등재

        Valuation on Attributes of Milk Produced under Farm Animal Welfare

        배정환 한국농업경제학회 2013 農業經濟硏究 Vol.54 No.5

        A choice experiment (CE) has been popularly appli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environmental economics and agricultural economics. Concerning farm animal welfare (FAW), there have been several valuation studies, yet, the CE has rarely been employed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WTP) for individual attributes of FAW.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CE in order to estimate WTP for FAW, which uses a mixed logit model, allowing for correlations among random coefficients of attributes of FAW. A panel logit and rank ordered logit models were employed to compare the estimates with those based on the mixed logit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mixed logit with allowing for correlations among random parameters is best fitted based on the AIC test and direct use value (banning usage of hormone) was evaluated more highly than indirect use value (providing balanced feed or humane breeding space) associated with the attributes of FAW. Furthermore, positive correlations exist among the random coefficients of the attributes.

      • KCI등재

        Economic Effects of Oil Price Shocks on Biodiesel Production: The Complementarity of Biodiesel and Petroleum

        배정환 재단법인 에너지경제연구원 2012 에너지경제연구 Vol.11 No.1

        The increasing volatility of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s has induced petroleum-addicted countrie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alternative fuels. In the initial stage of alternative fuel promotion, a careful institutional mechanism is crucial for the commercial success of alternative fuels. Koreahas successfully commercialized biodiesel as an alternative to petrodiesel. Most of the biodiesel distributed in Korea has been in the formof BD5 (blend of maximum 5% biodiesel), not BD20 (blend of 20% biodiesel and 80% petroleum diesel). Whereas BD5 is used as intermediate inputs to petrodiesel, BD20 is directly consumed by car drivers. This study attempts to quantify the economic effects of increases in international oil prices on Korea’s energy and biodiesel industry by using a small open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for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es in oil prices would dramatically reduce GDP and consumer welfare. Biodiesel and petroleum production as well as the transportation sector could decline dramatically because biodiesel (BD5) would be consumed mainly as intermediate inputs to petrodies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cause the Korean economy is vulnerable to the volatility of crude oil prices, an independent and separate alternative fuel industry should be fostered to improve the substitutability of alternative fu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