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라장터 미래 관련 과제 현황분석을 통한 미래연구 활성화 방안

        윤기영(Keeyoung Yoon),서용석(Yongseok Seo),배일한(lhan Bae),김현우(Hyunwoo Kim) 미래학회 2016 미래연구 Vol.1 No.1

        There are a lot of Future Oriented Projects except Professional Futures Studies in public sector. When we analyze the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s, we could perform properly them and extend the area of futures studies. In this study, we research 140 future oriented project – the projects to need foresight - cases from South Korean G2B site Nara-Zangtuh. We analyze finely Request For Proposals of them. We research future time span, whether to apply foresight methods, whether to employ futurist, etc. Such points must be important. They are a kind of sign whether they were performed with th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futures, exponentially increasing uncertainty, high complexity, openness for the futures and possibility. Through this study, we unfortunately find that the most of future oriented project were performed withou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s. In the latter part of this thesis, we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m. 국내의 공공분야에서 5년 이후의 미래 계획을 수립하는 다양한 과제가 수행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공공기관의 미래예측에 대한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통해 소위 ‘미래 관련 과제’에 서의 미래예측에 대한 태도와 미래라는 시공간의 특성 간의 차이를 분석이 가능하다. 동 연구는 차이 분석과 차이 분석을 통한 대안 제시를 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미래관련 발주 조직이 미래 변화에 합리적인 대응하 고, 더 나아가 미래를 주도하는 데 밀알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저자들은 판단 했다. 저자 들은 이를 위해 나라장터에 등록된 2013년 1월부터 2016년 6월 까지의 미래 관련 과제를 140건 도출하고, 미래 시점 인식 여부와 그 미래 시점 기간, 부처별 진행현황 및 평균 예산, 미래예측방법론의 원용 여부와 미래전문가의 투입 등 현황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미래 관련 과제의 대부분이 미래라는 시공간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미래연구가 미래를 대비하고 준비하며 주도하는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음과, 공공조직의 대부분이 미래예측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확인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주도적이고 합리적으로 미래를 준비하고 만들어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