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로 관련 북한 ‘민요풍 노래’의 음악적 검토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8 No.-

        본고는 북한에서 창작되어 불려온 민요풍의 노래 중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가사와 음악 어법을 검토해 본 글이다. 먼저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 노래편 1』과 『풍어기 휘날리며』에 소개된 노래 중 가사의 분석을 통해 어로관련 민요풍 노래 35곡을 찾고 여기에 구현된 어로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젓기나 그물 내리고 올리기, 그리고 고기 푸는 작업과 갯가에서 행했던 어패류와 해조류의 채취등의 내용을 담은 노래들을 찾을 수 있었고, 어업노동요의 대부분이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이한 것은 북한에서 <녀성호>라는 배에 여성들만 승선하여 고기잡이를 하는 배가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노래가 두 곡이 보였다. 다음으로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리듬형을 검토해 보았다. 노젓는 내용이 담긴 노래에서는 전통민요와 달리 3박 계통의 장단형이 사용되어 노동요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없었다. 그물작업과 관련된 노래 역시 2박 계통의 리듬형을 사용하는데, 민요풍 노래에서는 2박계통의 휘모리장단과 안땅장단과 혼합박 구조인 엇모리장단, 그리고 세마치장단형도 보였다. 여성들의 그물만드는 작업과 관련된 노래는 3박계통의 리듬형인 굿거리장단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갯가에서 굴을 따거나 해조류를 채취하는 작업을 그린 노래는 3박 계통의 만장단, 중중모리장단 등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선과 풍어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에는 2박 계통의 휘모리장단이나 안땅장단의 곡과, 3/4박자 등으로 표기되는 양산도장단, 그리고 중중모리나 굿거리, 타령장단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음계와 선법을 살펴본 결과, 수심가토리의 곡이 1, 메나리토리의 곡이 5곡, 메나리토리와 같은 음계를 사용하나 선율진행에서 반경토리적인 요소가 보이는 곡이 12곡, 육자배기토리 노래 1곡, 경토리로 이루어진 노래 10곡, 그리고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가 혼합된 형태의 노래가 6곡이였다.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에서는 7음음계의 곡은 전혀 보이지 않고 신경토리의 곡도 2곡에 불과하여 1990년대 이후의 민요풍 노래와는 다른 모습을 갖는다. 한편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 중에는 <명태실이>처럼 가사와 음악어법이 안맞는 경우도 있었고, <그물을 뜨세나>처럼 장단과 선법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에서 민요풍 노래가 창작되는 과정을 『조선음악』에 개재된 텍스트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당의 교시와 새로운 음악창작 정책이 있은 후 창작가들은 당의 정책과 수령의 교시를 숙지하여야 함을 알았다. 그리고 당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로 생활에 깊이 침투하여 바다 생활의 아름다움과 진실, 생산과 전진을 고무시킬 수 있는 노래를 만들되, 그 노래가 민족적인 선율에 바탕을 두고 창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바다에서의 어로와 관련된 민요풍 노래는 천리마시대에 급격하게 많이 창작되었던 민요풍 노래에는 내용과 음악이 불일치하거나 음악어법에 맞지 않은 노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전통사회와는 다른 음악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was to review the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minyo(folk song)-style songs related to fishery among the ones created and sung in North Korea First of all,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yrics of the songs introduced at 『The complete works of Joseon national music–minyo-style song 1』 and 『Flap the good catch』, a total of 35 minyo-style songs connected with fishery were identified and the kinds of fishing expressed in the song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songs could be revealed depicting rowing, casting and lifting a net, scooping fish and gathering fish, shellfish and seaweed, and they possessed most of folk songs about fishing work. What was noted was that there were fishing boats called ‘Lady’ in North Korea in which only women could come aboard and two songs could be related to this boat. Next, rhythmic modes of the fishery minyo-style songs was examined. The songs including rowing used triple rhythm beat and showed no feature of work folk song. Netting songs also employed rhythm of binary beat, which was used in Hwimori Beat(휘모리장단), Anddan Beat(안땅장단), Utmori Beat(엇모리장단), a kind of vermischte taktart(혼합박자), and Semachi Beat(세마치장단). The songs in connection with the work of making nets by women used Gutgeori Beat, a triple rhythm beat. And the songs representing picking oysters and collecting seaweeds expressed Man Beat(만장단) and Joongjoongmori Beat(중중모리장단), a triple rhythm beat. Finally, the songs wishing for the big catch and returning with a full load of fish could be seen using wimori Beat(휘모리장단), Anddan Beat(안땅장단), rhythm of binary beat, Yangsando Beat, three-quarter time, along with Joongjoongmori Beat(중중모리장단) and Gutgeori Beat, a triple rhythm bea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cale and mode of the minyo-style songs concerning fishery, there were one song consisting of Susimgatori, five ones of Menaritori, twelve songs which used the same scale with Menaritori but showed the similar mode with bangeongtori, one song comprising Yukjabaegitori, ten songs of Geongtori and six songs in combination of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Among the minyo-style songs regarding fishery, there were no songs with heptatonic scale and no more than two songs of Singeongtori, which suggested that these songs had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after 1990s. Meanwhile, among the minyo-style songs concerning fish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ng like ‘Meongtaesilee’ showed inconsistency in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 and in case of <Let’s Make a Net>, beat did not match the mode. Lastly, judging from the outcome of the confirmation on the creative process of minyo-style songs in North Korea through the texts in 『Joseon Music』, the creative writers had no choice but to obey the party’s policy and their top leader’s direc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a new musical creation policy and the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arty’s policy and subsequent penetration into the fishing life, had to not only make the songs to depict the beauty and truth of sea life and encourage the production and progress, but they also based their songs on the national melody. However, a lot of minyo-style songs which were produced dramatically in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showed discordance between content and music and errors in musical expressions, which was thought to be affected by the music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society.

      • KCI등재후보

        북한, 음악, 그리고 통합 연구

        배인교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8 한국문화기술 Vol.25 No.-

        The beginning of North Korean music research began with the report of the government task in 1978. Knowing North Korea as an enemy is highly political, and it is bound to be aggressive by the need to dis- tinguish between inferiority and superiority. This view is still in progress. But with political issues, academic growth has begun to go beyond politics. This can be seen as an interest in music in political science. In addition, the growth of music academy is remarkable. The study of North Korean music in 1990s and early 2000s was concentrated after the 1980s. However, in early 2010, North Korean music was done in the early part of the division. Through these researches, it can be said that North Korean music research is moving from knowing of North Korea to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In addition, North Korean music research is growing as one of the branches of Korean music studies. Therefore, future research on North Korean music should not be confined to traditional music, western music, or ethnic music, but should be promoted as a way of integrating Korean culture.

      • 북한음악과 민족음악- 김정일 『음악예술론』을 중심으로 -

        배인교 남북문화예술학회 2011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8

        이 논문은 북한 음악의 이론서이자 지도서인 『음악예술론』을 중심으로 북한 민족음악의 의미와 북한의 민족주의론이 음악에 적용된 과정, 그리고 민족음악과 민족주의가 실제 북한 음악에서 적용된 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음악예술론』의 ‘작곡’장과 ‘연주’장에서 민족음악과 관련된 정책이념을 볼 수 있는데, 전반적인 기조는 민족적 형식을 강조하되 민족적인 것만을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인민의 정서에 맞게 현대적인[서양적인] 요소를 가미해야 하며, 그렇게 만들어진 음악이 우월한 주체음악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곡과 연주 모두 민족전통에 기반하고 있으나 인민의 기호와 현대적 미감에 초점을 두어 서양식으로 변형된 형태를 민족적 음악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렇게 변형된 음악이야 말로 주체음악이며, 민족음악이고 인민적인 음악이라고 하였다. 한편, 북한 음악에서 민족전통과 민족론이 적용된 것은 북한정권의 성립초기부터였으며,『음악예술론』의 민족음악론은 1990년대에 갑자기 만들어진 논의가 아니며, 198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한 조선민족제일주의에 의한 음악적 구현 내용과 『음악예술론』의 민족음악과 내용이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민족음악 논의가 실제 성악인 가요와 기악음악, 그리고 전자음악에서 구현된 양상을 살펴본 결과 민족음악을 창작할 때 민족적 형식에 현대적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며, 그렇게 만들어진 음악에 한국 전통음악의 특성, 즉 선법이나 장단, 악기가 하나라도 포함된 경우는 모두 민족음악이라는 입장이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결국 북한의 민족음악은 전통음악의 여러 요소 중에서 인민의 미감이라는 이름으로 선택된 선법과 리듬, 악기에 의해 현대적 미감이라는 이름으로 취한 서양음악적 요소를 버무려 만들어진 음악을 말하며, 이러한 민족음악에 혁명적 내용을 담아 만든 음악이 주체음악이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남북한 음악교류의 양상과 방향

        배인교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2

        In this paper, I review the aspects of inter-Korean music exchanges that have been going on in the past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uture inter-Korean music exchanges Inter-Korean music exchange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from 1985 to 2018. The exchange of the first period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 inter-Korean music exchange is embodied for the first time. Compared to 1985, when the hostile feelings toward each other were expressed, in 1990, they looked for unification-oriented commonalities, and found elements that would act positively for both Koreas. In the second period of inter-Korean music exchange, there was music exchange in various fields centered on private organizations. But there were many occasions that stopped at one time. And South Korea was more active in exchanges than North Korea. For the next decade, music exchange events have never been realized. However, rather than actual exchanges, virtual space has been on the way of music exchange on YouTube. Through these exchanges, I have seen that North Korean music is becoming a content for South Koreans. Music exchanges through YouTube, a virtual space, were realized in 2018 in 16 years of actual exchange. The exchange of music with the resumption of political exchanges can be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of the two Koreas, even if there are limitations. For the future inter-Korean music exchanges, the South and the North should strive to contribute to restoring trust. To this end, unification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related to inter-Korean cooperation need to be done at the national level. Also, whatever the way, we need to meet more often and be exposed to your music more often. And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process for long-term, regular exchange based on trust. 이 글에서는 그동안 진행되었던 남북 음악 교류의 양상을 검토하면서 향후 남북 음악교류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남북 음악 교류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네 시기로 나눠볼 수 있었다. 제1기인 1985 년에 처음으로 남북 음악 교류가 실현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서로에 대한적대적인 감정을 그대로 표출하였던 1985년에 비해 1990년에는 통일 지향적 공통점을찾거나, 남북 모두 서로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요소를 찾기도 하였다. 햇볕정책과 함께이어진 2기의 남북 음악교류는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음악 교류가 있었으나 일회성에 그치는 행사가 많았으며, 북한보다는 남한에서 적극적이었다. 이어진 3기의10년간은 단 1회도 음악 교류 행사가 실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제적인 교류보다는가상공간인 YouTube에서의 음악교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류를 통해 남한사람들에게 북한 음악이 하나의 콘텐츠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을 보았다. YouTube를 통한 음악 교류는 2018년에 들어 16년 만에 실제 교류로 실현되었다. 정치 교류의 재개와함께 이루어진 음악 교류는 비록 한계가 존재하나 남북의 민족공동체 인식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향후 남북 음악 교류를 위해서 남과 북은 신뢰 회복에 기여한다는 마음으로 임해야하며, 이를 위해 남북 협력과 관련한 통일교육이나 문화다양성 교육이 국가적 차원에서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어떠한 방식이든 간에 더 자주 만나고 더 자주 상대의 음악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신뢰를 기반으로 장기적, 정례적 교류를 위한 프로세스를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북한 음악과 전통, 민족적 양식의 발견 - 민요풍 노래를 중심으로 -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5 No.-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Minyo-style songs getting established as a major vocal music genre that can be considered as an ethnic style based on a review of the North Korean materials of 1950’s and early 1960’s before ethnic style and modern esthetic sense were established, and to confirm whether orientation of the 20th century is being maintained even in 21st centu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works that were favorably received at the time with works of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presentative works of the Minyo-style songs among the fruits of modern music that succeeded musical heritage of the past created in 1950’s or reinterpreted based on classical tales as <San-cheon-ga>, <Geune-ddui-neun-cheo-nyeo>, and <Il-teo-ui-hyoo-shik>, <San-cheon-ga> reused traditional Minyo, <Geune-ddui-neun-cheo-nyeo> was very similar to the new Minyo-style work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Il-teo-ui-hyoo-shik> had many similarities to the Japanese-style pop music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inyo-style song of North Korea is still a popular genre in 21st century when Kim Jung-Eun came into power. Speci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Minyo-style songs of Moranbong band as <Ba-da-man-poong-ga>, <Sewoleeya-gaboragi>, and <Cheollyeong-ahre-sagwa-namoo> created in 2014, <Ba-da-man-poong-ga> contained many traditional Minyo style, and the other two showed properties of Japanese style. In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creative aspects of the Minyo-style songs of 1950’s are still continuing on today in 21st century. Although there was no song that borrowed melody of the traditional Minyo, traditional Minyo, new Minyo, or Japanese-style songs of a different tradition have been created consistently under the guise of the people and modernity, and have settled down as an ethnic style. 이 연구는 북한에서 말하는 민족적 형식과 현대적 미감이 굳어져 정착되기 이전 시기인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반의 북한자료의 검토를 바탕으로 음악양식에서의 민족적 형식이라고 말할 수 있는 민요풍의 노래가 주요 성악 갈래명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 시기에 호평 받았던 작품들과 21세기의 작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20세기의 지향이 21세기에도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한 것이다. 1950년대 창작된 과거의 음악 유산을 계승하거나 고전을 바탕으로 재해석된 현대 음악의 산물 중 민요풍의 노래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산천가>, <그네 뛰는 처녀>, <일터의 휴식>을 대상으로 악곡을 살펴본 결과 <산천가>는 전통 민요의 재활용, <그네 뛰는 처녀>는 일제강점기 신민요 스타일의 작품, 그리고 <일터의 휴식>은 일제강점기에 유행했던 왜색풍의 대중음악과 많이 닮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민요풍 노래는 김정은이 집권한 21세기에도 여전히 인기 있는 장르다. 이 중 2014년에 모란봉악단에서 창작한 세 곡의 민요풍 노래 <바다만풍가>, <세월이야 가보라지>, <철령아래 사과나무>를 분석해 본 결과 <바다만풍가>는 전통민요 스타일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나머지 두 곡에서는 왜색풍의 성격이 보였다. 결국, 1950년대의 민요풍 노래 창작 양상은 21세기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전통민요의 선율을 그대로 차용한 노래는 없었으나 전통민요나 신민요, 혹은 그와는 계보를 달리하는 왜색풍의 노래가 인민성과 현대성이라는 미명하에 꾸준히 창작되어 왔으며, 민족적 양식으로 자리 잡았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선군시대 북한의 민족적 감성-2000년대 『조선예술』에 수록된 민요풍 노래를 중심으로-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1 No.-

        This thesis analyze Minyo(folksong)-style song created or introduced in 2000’s representative North Korea’s Songun period, and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eek for forced ethnical sentiment. Following the contents lyric carries in the Minyo(folksong)-style song created or introduced in 2000’s, analyzed songs in themes of Songun leading, military and civilian unity, agriculture, construction of a great power, Kim Jung-Il family praise, unity and woman. As a result, inside Minyo(folksong)-style song’s lyric, scale, melody progress and rhythm, the joy, gaiety, optimism and hope regarding future’s sentiment were found. Like these, North Korea’s foreign politics and the 2000s, the national economy is in a bad situation now through Minyo(folksong)-style song of joy and optimism for the future, the song was 2000’s political slogan “Let a smile even arduous road” who seems to be trying to achieve. But Songun period North Korea’s Minyo(folksong)-style song did not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and “socialism” nation and “reality” them was not reflected. Only functions proposing optimistic view regarding future was emphasized, composer chose folk song of revolutionary optimism genre requested by the party. At the end this custom made the consequence of creating unethical music not reflecting the reality of North Korea. 이 글은 2000년대로 대표되는 북한의 선군시대에 창작되거나 소개된 민요풍의 노래를 분석함으로써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혹은 강요된 민족적 감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0년대 창작되거나 소개된 민요풍 노래를 가사가 갖는 내용에 따라 선군영도와 군민일치, 농업, 강성대국건설, 김정일 가계 찬양, 통일, 그리고 여성을 주제로 한 노래들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민요풍 노래의 가사와 음계, 선율진행, 리듬 등에서 기쁨과 흥겨움, 미래에 대한 낙관과 희망의 감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2000년대 북한의 대외정치와 인민경제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민요풍의 노래를 통해 현재의 기쁨과 미래에 대한 낙관을 노래함으로써 2000년대 정치구호였던 “가는 길 험난해도 웃으며 가자”를 실현하려고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선군시대 북한의 민요풍 노래에는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지 않은, 혹은 “사회주의”국가의 “현실”주제가 아닌 미래에 대한 낙관만을 제시하는 기능이 강조되었으며, 작곡가들은 당이 요구하는 혁명적 낙관주의를 보여 줄 수 있는 장르로 민요풍의 노래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러한 관행으로 점철된 민요풍의 노래는 북한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그리고 전혀 인민적이지 못한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민요풍 노래’에 나타난 민요적 전통성

        배인교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2 No.-

        이 글은 북한의 민요풍 노래의 음계 검토를 바탕으로 민요풍 노래의 특성을 검토한 글이며, 2000년에 출판된 『조선음악전집-민요풍의 노래편 1』에 수록된 479곡의 음계를 전통 민요선법을 바탕으로 검토해 보았다. 1945년부터 만들어 불리기 시작한 민요풍 노래의 음계는 4음음계, 5음음계, 6음음계, 7음음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4음음계는 <명태실이>라는 곡을 제외하고는 이후 한 곡에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 곡은 작곡가가 명시한 조성과는 달리 서도민요의 요소가 많이 보이는 노래였다. 5음음계의 음구성은 ‘도레미솔라’, ‘레미솔라도’, ‘미솔라도레’, ‘미라시도레’, ‘솔라도레미’, ‘라도레미솔’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전통음악적 요소가 가장 많은 음계이기에 전체 민요풍 노래의 대부분인 83.5%를 차지하고 있었다. 6음음계와 7음음계의 곡은 전통민요 선법끼리의 결합도 있었지만 대체로 서양식 음계와의 결합이며, 이러한 결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를 “5음계조식에 기초하면서도 7계단음을 경과적으로 리용한 노래”이며, “자기의 고유한 양식적특성을 견지하면서도 보다 현대화되였으며 그 어떠한 혁명적현실도 훌륭히 반영함으로써 우리 시대 민요식 노래로서의 풍격을 갖추게 되고 우리 가요를 다양하게 발전시키는데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민요식의 노래, 혹은 민요풍 노래의 갈래가 갖는 전통의 계승과 북한식 현대적 변용에 대하여 남한의 학자들의 찬반이 있을지라도 의의가 있다. 즉, 전통 민요선법의 음계를 차용하였거나 하지 않았거나 북한에서는 여전히 ‘민요풍’ 노래를 표방한 많은 노래들이 작곡, 보급되고 있으며, 남한에서는 거의 끊긴 신민요 전통이 북한에서 계승되고 있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o examine traditionality revealed in minyo(folk song)-style songs of North Korea, I have examined the scales on the basis of traditional minyo-mode of 470 pieces included in Chosun Music Complete Collection: Folk Song-Style Songs Ⅰ, published in 2000. It appears that they adopted various scales such as tetratonic, pentatonic, hexatonic, heptatonic scales. The songs in tetratonic scale do not appear except in <Myeongtaesiri>, which has more of Seodo minyo elements rather than those of the mode that the composer intended. The tones used in the songs in pentatonic scale, which is the most traditional, appear in diversity as do-re-mi-sol-la, re-mi-sol-la-do, mi-sol-la-do-re, mi-ra-si-do-re, sol-la-do-re-mi, taking 83.5 %, the most of minyo-style songs. Although some of them are in combined scales of the traditional minyo mode, the songs in hexatonic and heptatonic scales are mostly in combined scales of the western mode. It is said, “these songs in combined scales are the songs that adopted 7 keys as passing tones, being based on pentatonic scale,” “they are kept of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but still more modernized, forming a distinctive character of minyo-style songs of today by faithfully reflecting the revolutionary reality, and they are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advancing our songs in various aspects.”There could be cons and pros to the modern change of minyo-style songs in North Korea in regard to inheritance of tradition but this is meaningful. That is, we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many songs in “minyo-style”, regardless they are in the traditional minyo mode or not, are being composed and popularized in North Korea, unlike in South Korea where the tradition of Sinminyo(New Folk song) has almost died out.

      • KCI등재

        1950~60년대 북한의 민족 악기 개량과 민족 관현악 편성

        배인교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40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ensus on the national instrument improvement and national orchestral music instrumentation carried out in North Korea in the 1950-60s with national support and social demands by reviewing aspects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appeared in many discourses in art magazine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with the methodology of meta criticism. The aspects of national instrument improvement in North Korea in the 1950-60s can be divided into those before and after the Chollima Movement. Before the Chollima Movement, national instrument improvement was carried out by discovering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instruments and Western instruments and preparing ways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hollima Movement, national instrument improvement was carried out by supplementing the materials of instruments based on the achievements in previous periods, restoring traditional instruments that had previously fallen into disuse or disappeared. Next, the instrumentation of national orchestral music, which was discussed in North Korea in the 1960s, can be summarized into the selection of rubbed string instruments to play main melodies, the supplementation of brass instruments, and the construction of musical instrument groups by register. To obtain rich volumes and strong tones in national orchestral music, a large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were organized in diverse ways, and the large national orchestral music instrumentation as such continued in the 1970s too. In the 1960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instrumentation was rapidly increased by creating new works while securing physical foundations through improved human resources and national instrumen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reate works that reflect the reality of the dynamic Chollima Movement in instrumental music without lyrics.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methodology for the creation of national instrumental music have led to the improvement or production of national instruments, and to the studies of the national orchestral music instrumentation that can implement great sound with those instruments. 이글은 1950~60년대 북한에서 국가적인 지원과 사회적 요구로 이루어진 민족 악기 개량과 민족 관현악 편성법에 대한 합의의 과정을 동시대에 출판된 예술잡지의 여러 언술에 나타난 집단지성의 양상을 메타비평의 방법론에 의거하여 살펴본 글이다. 1950~60년대 북한에서의 있었던 민족 악기 개량의 양상은 천리마운동 전과 후로 나누어 정리해 볼 수 있었다. 천리마운동 전에는 민족악기와 서양악기와의 차이점을 발견하고 그 차이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반면 천리마운동 후에는 이전 시기의 성과를 바탕으로 악기의 재료를 보완하고 사라진 전통악기를 복원하며, 새로운 악기와 그 악기들로 연주하는 새로운 민족 관현악을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1960년대 북한에서 논의되었던 민족관현악 편성은 주선율을 연주할 찰현악기를 선택하는 문제와 금관악기군의 보완, 그리고 음역대별 악기군의 구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민족관현악에서도 풍부한 음량, 극성(劇性)이 강한 음색을 얻기 위해 많은 수의 악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편성하였으며, 이러한 대민족관현악편성은 1970년대로 이어졌다. 1970년대에는 이동이 편하고 빠른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해금을 주선율악기로 한 악기편성과 함께 해금악기군을 음역대별로 배치하였고, 금관악기는 배합관현악으로 대체되었다. 1960년대 민족 기악의 발전은 인적자원과 민족 악기 개량을 통한 물적기반을 확보한 상태에서 새로운 작품을 창작해 냄으로써 속도를 냈다. 그러나 가사가 없는 기악음악에서 역동하는 천리마운동의 현실을 반영하는 작품을 만든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민족 기악 창작 방법론은 민족 악기를 새롭게 개량하거나 제작하게 하였으며, 이 악기들로 훌륭한 울림을 구현해 낼 수 있는 민족 관현악 편성을 연구하게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의 체제 성립기 아동가요와 민족적 성격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This paper reveals the aspects of children's songs created during the found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looks for ethnic feature used in music. The themes of children's songs during this period were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Kim Il Sung," patriotism, praise of war heroes, and ethnic traditions and customs, along with encouraging learning. Also, there are many words in the lyrics of the song such as "Wonssu원쑤(enemy)," "Hero," "revolution," and "gun" and many songs have been written that advocate political propaganda. Next, the scales used for 74 children's songs ranged from four to seven, with the range of notes used in the songs ranged from 6 to 12 degrees. In order to find out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created during this period, I looked at the musical scale, the melody and rhythm of 29 song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do-re-mi-sol-la" scale, and korean folk song mode in the three songs such as Menari-tori and Bankyung-tori. Along with this, long and short forms were often used in rhythmic shapes. This apparently led to the attempt to strengthen the ethnic character by adding the rhythm of long and short forms to the melody of Japanese chang-ga style and major scale. In the end, children's songs created in North Korea by the 1950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ir direction and reality by reflecting a lot of political propaganda in their lyrics, along with lack of awareness of the folk songs of the creative groups, despite calls from Kim Il-sung and political leaders to strengthen their ethnic feature. 이 논문은 북한 체제 성립기에 창작된 아동가요의 양상을 밝히고 음악에서 사용된 민족적인 성격을 찾아본 글이다. 이 시기 아동가요의 주제는 학습 독려와 함께 “김일성원수에 대한 존경과 감사”와 애국주의, 영웅 칭송, 그리고 민족적 전통과 풍속 등이었다. 또한 노래의 가사에 “원쑤”, “영웅”, “혁명”, “총” 등의 단어가 많이 보이며,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표방한 노래들이 많이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아동가요 74곡에 사용된 선율 구성음은 4음~7음까지 다양하였으며, 노래에 사용된 음역은 6도에서 12도까지 다양하였다. 이시기에 창작된 아동가요 중 민족적 특성을 찾아보기 위해 4~5음 사용 악곡 29곡을 중심으로 음계와 선법, 리듬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도레미솔라” 음계에 “도”음으로 종지하는 선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세 곡에서 메나리토리나 반경토리와 같은 민요 선법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리듬꼴에서 장-단형을 종종 사용하였는데 장조(major scale)의 선율형에 장-단의 리듬꼴을 더하여 민족적 성격을 강화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1950년대까지 북한에서 창작된 아동가요는 민족적 성격을 강화하라는 김일성과 정치지도층의 요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집단의 민요에 대한 인식 부족과 함께 가사에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많이 반영함으로써 지향과 실제가 일치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전통음악관련 무형유산의 전승과 남북한 협력 방안

        배인교 국립무형유산원 2019 무형유산 Vol.- No.7

        This article examined the North Korean leaders' perceptions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to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transmi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nd perspectives forcooperation or mutual complement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uring the reign of Kim Il-sung , North Korea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socialist or (north)Korean style succession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s. That is, North Korea did not leave themusic of the past as a thing of the past, but critically inherited it so that the music of the pastcould continue living in real life, and demanded the music of the past to melt modern senseson it. During the reign of Kim Jong Il , North Korea tended to emphasize national cultural heritagesmore than the reign of Kim Il-sung , but North Korean perceptions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hanged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at is, alongwith modern succession of music as cultural heritages, North Korea began to be interested inthe preservation of the 'archetypes'. In the reign of Kim Jeong-eun , which began in December 2011, North Korea enactedthe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Act」 (2015) in line with the global trend and it becamethe foundation for the registration of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 as UNESCO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of Humanity and the designation of those as national nonmaterialcultural heritages and local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contrastto the emphasi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performance and creation of national music in the field of music were not as active as inprevious periods. Therefore, in order to inherit the national common musical heritages in the times of SouthKorea-North Korea reconciliation, the efforts to identify and match the statuses of eachcountry's music culture while referring to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or culturalheritages based on the archetypes of region-based musical heritages should be made first.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widely educate tha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common musical heritages. Based on the basic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usicalherit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ce to confirm the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music as cultural heritages,and furthermore, the national homogeneity. 이 글은 북한 지도자들의 음악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남북의 음악문화유산 전승의방향과 협력, 혹은 상호 보완의 관점을 모색한 글이다. 김일성이 집권하던 시기에는 대체로 민족문화유산의 사회주의적, 혹은 (북)조선적 계승에 집중되어 있었다. 즉 과거의 음악을 과거의 것으로 남겨두지 않고 현실 생활에서 계속해서 살아 움직일 수 있도록 비판적계승을 하며, 그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녹여 낼 것을 요구하였다. 김정일 집권기에는 김일성 시대보다 더욱 민족문화유산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족문화유산, 특히 무형유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즉 음악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과 함께 ‘원형’의 보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2011년 12월에 시작된 김정은시대에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민족유산보호법」(2015)을 제정하였으며, 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와 국가비물질문화유산 및 지방비물질문화유산의 지정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가 차원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강조와 달리 음악현장에서는 민족음악 연주와 창작이 이전 시기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남북한 화해의 시대에 민족 공동의 음악유산을 전승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음악유산의 원형성을 기준으로 문화재, 혹은 문화유산 지정을 참고하면서 각국 음악문화의 상태를 확인하고 맞춰가는 노력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남북한이 공동의 음악유산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널리 교육할 필요도있다. 이러한 남북의 음악유산에 대한 기본적 인식과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남북한 음악문화유산의 계승과발전, 나아가 민족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