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량무의 지역별 비교 연구 - 부산 • 서울 경기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배라영 영남춤학회 2018 영남춤학회誌 Vol.6 No.2

        A Local Comparative Study on Hallyangmoo -focusing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Seoul, and Gyeonggi areaBae, Ra-Young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anryangdance and the meaning of dance steps, thereby clarifying the traditional awareness of its era and new artistic values. Hanryans안ance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hole dance form of DongraeHanryang쑈公ncQ in Busan, Yeongnam and the theater form of Hanryangdance in Seoul/Gyeonggi areas.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wo Hanryang^ance types, this study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the context of traditional dance and project the value of artistic transmission. To meet these objective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folklore literature materials of Dongrae dance in Busan and of Gyeonggi areas. Next, it explored the theatrical process of dance through onsite survey and looked performance views and dance videos to compare them. Third, the stud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dance steps in Dongrae dance and Hanryangdance from Seoul/Gyeonggi region within a historical context, and interviewed Kim Jin-hongand Cho Heung-dong, who are the current dance practitioners. Finally, the study classified important keywords after transcribing the interview and re-reviewed areas of uncertainties through phone interview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DongraeHanryang^xizeconsist of free and easy dance steps with big motions in a ddeotbaegidanceform,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Hanryang쑈ance from Seoul and Gyeonggiareas were they progress with mime elements in a story, highlighting artistic meanings of a dance drama that indirectly expresses spatial changes on stage. Such Hanryang^nce is expected to provide an important foundation to explore the popularization of traditional dance, and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spread of cultural assets, as a dance with traditional and artistic values. Furthermore, ways to spread Hanryang^ncQ through the creation of various programs must be sought for any non-dance majors to experience it easily rather than being exclusive to professional dancers. This will help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as well as promote the globalization oftraditionalculture and art. 본 연구는 한량무에 관한 역사적 배경과 춤사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시대적으로 전통적 의식과 더불어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한량무는대표적으로 홀춤 형태인 영남의 부산 동래 한량무와 극 형태인 서울 경기지역 한량무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한량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서 전통춤의 맥락을 재조명하고 예술적 전승 가치를 전망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1차적으로 부산 동래지방 춤의 민속학적 문헌자료 및 경기지역 춤의 문헌자료를 검토하였다 2차적으로 춤의 연희 과정을 현장 답사를 통해 살펴보고 비교 자료로써 공연 관람 및 춤의 영상 자료를 검토하여 기록하였다 3차적으로 동래 한량춤과 서울 경기지역 한량무에 나타나는 춤사위 특징 및 변형을 역사적 상황에서 추론함과 더불어 현재예능보유자인 김진홍 선생과 조흥동 선생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을 전사한 후 중요 키워드를 분류하여 의구심이 드는 부분은 유선 통화를 통해 재검증을 받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동래 한량춤은 덧배기춤 형식의소탈한 춤사위로 동작의 몸짓이 큰 것이 특징이며,이에 비해 서울 경기 한량무는 마임적 요소의 몸짓과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되어 무대 위에서 공간적 변화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무용극 형태의 예술적 의미가 돋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한량무는 전통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춤으로써 전통 춤의 대중화 탐구와 문화재적 보존 및 발전 보급 중요성에 밑거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전문무용가들의 전유물에서 벗어나 비전공자인 일반인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창조를 통해 확산시켜나가는 시스템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이를 통해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전통 문화예술이 국제화로 도약할■ 수 있는발판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판 관계적 공격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대상으로

        배라영,최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Relational aggression is defined as behavior that causes relational harm.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Morales & Crick (1998). To this aim, 31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for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Gender relate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is comprised of 10 items, categorized into three subscales including three items on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owards a goal-directed end, four items on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displayed in response to a perceived threat, and three items on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iability was .55 to .74.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fulfilled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anger and de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Femal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with reactive and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Morales와 Crick(1998)이 개발한 관계적 공격성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 하는 것이다. 관계적 공격성은 관계손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격성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3명(남: 113명, 여: 200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관계적 공격성이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목표성취를 위한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 지각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4문항, 연인관계에서의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의 총 10문항으로 원척도와 같은 3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는 .55에서 .74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 보다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내담자의 저항에 대한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경험

        배라영,최지영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xplore how novice counselors experienced and responded to the resistance of their adolescent clients. Nine novice counselors, each of whom had had more than a year and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n a counseling institution targeting adolescent clie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between July and September in 2011. The statements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n auditor and a research team comprising 3 researchers,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and creating data divided into 10 domains and 54 categories. The novice counselors started to counsel adolescent clients by dealing with and paying attention to the attitude of the clients in the ‘here-and-now.’ The novice counselors recognized the denial of counseling and prolonged silences during the process of counseling as forms of resistance. The clients’ resistance made the novice counselor feel skeptical of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The novice counselors carried out actions of intervention to encourage clients to participate in counseling and to depend on the counselor’s character. Novice counselors recognized that their intervening behavior improved the resistant attitude of the adolescent clients, and the client’s rea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counselors’ efficacy in counseling. One negative effect of clients’ resistance was an early end of counseling. However in some instances it had a positive aspect that was helpful to creating a sense of closeness between counselor and a client. This phenomenon depended on the character of the institution where the novice counselor had been engaged. Finally,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이 연구는 초보상담자가 청소년내담자의 저항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개입하는가를 통해 상담과정 중 초보상담자의 심리적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하고 있는 대표기관인 학교, Wee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재직자 중 경력 1년 이상 3년 미만의 초보상담자 9명을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심층 인터뷰 하였다. 인터뷰자료에서 얻은 축어록을 연구자가 포함된 3명의 분석팀과 1명의 감사자가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방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10개의 영역과 54개의 범주가 도출 되었다. 초보상담자는 선입견을 갖지 않고 지금-여기에 충실하고자하는 마음으로 상담을 시작하며 청소년내담자가 상담 중 보이는 거부나 회피의 모습을 저항으로 인식하였고, 그로인해 정서적 반응과 함께 전문적 자질에 대한 회의를 경험하였다. 구체적인 개입행동은 청소년내담자를 상담에 참여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보상담자의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보상담자는 자신의 개입행동이 청소년내담자의 저항을 완화시켰다고 인식하였고, 청소년내담자의 반응을 자신의 능력과 연관 지어 인식하였다. 내담자의 저항은 조기종결의 부정적 결과만이 아니라 상담자와의 친밀감 및 신뢰감 형성에 도움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보상담자가 재직하는 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보상담자의 상담과정경험에 관해 기술하였고 추후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적 학대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배라영(Rayoung Bae),최지영(Jiyoung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문제,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충남의 4년제 대학생 중 만 18세∼만 25세이고, 현재 연애를 하고 있거나 연애경험이 있는 289명(남: 108명, 여: 181명)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정서적요인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분노반추는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중매개역할을 하였다. 셋째, 청소년기 친구관계 문제와 대학생의 분노반추는 아동기에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중매개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mediated effect of adolescent friendship problem,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anxiety, and anger rumination with the influ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relational aggression of university student. Theoretical models of the effect of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on relational aggression were evaluated with participants of 289 university students(male: 108, female: 181) who are in or have experiences of romantic relationship from Seoul, Kyeonggi, Incheon, Daejeon and Chugnam. As a result, Firstly,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performed as a mediating role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e of the childhood experience of parental emotional abuse to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ly, both social anxiety and anger ru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lay double mediating roles in the process that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during childhood result i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Thirdly, friendship problems during adolescence and anger ru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lay double mediating roles in the process that emotional abuse from parents during childhood result in their relational aggression.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ollow-up study.

      • KCI등재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13년

        최지영,배라영 한국인간발달학회 2014 人間發達硏究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이상의 학술지논문과 석․박사학위논문 97편을 대상으로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자료수집방법, 평정방법, 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변인,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논문은 2000년에 시작하여 2010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연구분야는 교육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유아, 중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에서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한 자기보고식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분석방법은 전체적으로는 회귀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2011년부터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질적분석은 2007년부터 나타났다. 측정도구는 Peer Conflict Scale(Marsee, Kimons, & Frick, 2004)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셋째, 가장 많이 다루어진 연구주제는 관계적 공격성 가해자의 정서발달과 관련된 내용이었고 주요변인에 따른 특징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안면도 방포 자갈해빈의 지형 및 퇴적 특성

        최광희 ( Kwang Hee Choi ),이화정 ( Hwa Jung Lee ),한민 ( Min Han ),최재영 ( Jae Yung Choi ),배라영 ( Ra Young Bae ),정진미 ( Jin Mi Jeo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2 地理敎育論集 Vol.56 No.-

        이 연구는 방포 자갈 해빈의 지형적 특성과 그 구성 물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축의 해빈단면을 측량하고 이들과 상부 범이 이루는 선을 따라 구성물질을 채취하였다. 해빈면의 경사는 5~6°로 나타났으며, 자갈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범(berm)이 확인되었다. 자갈의 크기는 두 번째 범까지는 점점 작아졌다가 이후 커져서 세 번째 범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납작한 자갈의 비율이 첫 번째 범에서 감소하다가 상부 범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결과와 부합하는 것이었다. 방포해빈의 퇴적물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남쪽으로 갈수록 방포해빈의 자갈 크기가 감소하고 원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자의 이동방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계절 변화를 고려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We studied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anpo gravel beach, based on field surveys and sedimentological analyses, in Anmyeon island, Chungnam province. For this, we measured two beach profiles and collected samples from 2 axes perpendicular to the coast and along the 1st berm crest. The mean gradient of the two beach profiles ranges from 5° to 6°, and several gravel berms are developed along the profiles. Grain sizes are getting smaller toward 2nd berm and bigger at 3rd berm. The ratio of plat-type gravels are lower at 1st berm but higher at 2nd and 3rd berm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It is likely that the sediments are transport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in this study area, because the grain sizes are decreased while the roundness are increased southward. However, the direction of sediment transport inferred from grain-size and roundness trends would be clearer when we have more data considering season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