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관이 회전된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Ⅰ)- 주관 플랜지 파괴모드 -

        배규웅,문태섭,박금성,강창훈 한국강구조학회 200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4 No.5

        paper described the ultimate strength and deformation limit of the new uniplanar T-joints in cold-formedsquare hollow sec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T-joint, only a branch member is orientated to a chord member at 45 degrees in the plane of the truss. This study focused on the branch-rotated T-joints that were governed by chord failure in previous studies. Test results of the T-joint in cold-formed square holow sections revealed a deformation limit of 3%B for 16.7 ≤ 2γ(=B/T) ≤ 33.3 and 0.27 ≤ β(=b1/B) ≤ 0.6. The existing strength formulae for traditional T-joint were determined and a new yield-line model for the branch-rotated T-joint proposed. Finaly, the strength formula on the yield-line analysis was compared with test results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roposed formula recommended. 본 논문은 새로운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과 변형제한치에 대한 연구이다 . 새로운 T형 접합부의 형상은 지관을 주관에 대하여 45°회전시켜서 용접하는 형상이고, 지난 보고의 지관 45°회전형 T형 접합부 실험결과 중에서 주관플랜지 휨 파괴가 지배하는 접합부만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 16.7 ≤ 2γ(=B/T) ≤ 33.3 이고 0.27 ≤ β(=b1/B) ≤ 0.6 범위의 지관 45°회전형 T형 접합부에 대하여, 최대내력을 정의를 위한 변형제한치는 주관폭의 3% 변형량(3%B)으로 제안하였다. 기본형에 대한 기존의 항복선모델을 검토하고, 지관 회전형에 대한 새로운 항복선모델을 제안하였다 . 최종적으로 항복선해석에 근거한 내력식과 실험결과를 비교하고 , 제안내력식의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SY 비탈형 보 거푸집의 휨 거동에 대한 실험적 고찰

        배규웅,부윤섭,신상민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2 No.1

        Currently,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e free web method has been emerging as a potentialsolution to the shortage of skilled worker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as it helps in securingeconomic feasibility through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ing labor costs. To considerone part of the construc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bend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load wasevaluated for the SY slope-type beam formwork, which was manufactured at a factory, assembled withrebar, brought into the site, and then poured into the site. For the SY Beam standard cross-sectionalshape, a cross-sectional dimensional width of 400mm and depth 600mm determined throughstructural modeling using the MIDAS GEN program were applied. A total of 6 specimens were madewith a member length of 5,000mm, 5 specimens and one RC specimen in the comparison group weremanufactured in real-size format using the thickness of the steel plate(0.8, 1.0, 1.2mm) as a variable,and bend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bending test, the steel plate deck showed high initialstiffness and maximum strength as it yielded, which showed that it sufficiently contributed to theflexural strength. It is judged that additional analysis and experimental studies for 1.05, 1.1, and1.15mm are needed to derive the appropriate steel plate thickness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tensile force contribution of the steel plate to secure the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economicfeasibility of SY Beam in the future. 현재 국내 건설 산업분야에서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기능공 인력부족, 공기단축 및 인건비 감소를 통한 경제성 확보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리웨브 공법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 공법의 일환으로서, 이 연구에서는 공장에서강판 거푸집 제작하고 철근 선조립하여 현장 반입한 후 현장 타설하는 SY 비탈형 보거푸집을 대상으로 하중재하에 따른휨거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SY Beam 표준단면 형상은 MIDAS GEN 프로그램에 의한 구조모델링 통해 결정된 단면 치수 폭 400mm, 춤 600mm을 적용하였다. 총 6개의 실험체를 부재길이 5,000mm로 하여 강판두께(0.8, 1.0, 1.2mm)를 변수로 실험체 5개와 비교군 RC 실험체 1개를 실대형으로 제작하여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휨 실험결과, 강판데크가 항복하면서 높은 초기강성과 최대강도를 나타내어 휨강도에 충분히 기여하고 있음을 보였으며, 이후에도 콘크리트와 강판데크는합성거동를 통해 충분한 연성거동을 하면서 휨 파괴 모드를 나타내었다. 추후 SY Beam의 제작/시공/경제성 확보를 위한적정 강판두께 및 강판 인장력 기여도 산정방법 도출을 위해 1.05, 1.1, 1.15mm에 대한 추가 해석 및 실험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관이 회전된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I) - 주관 플랜지 파괴모드 -

        배규웅,박금성,강창훈,문태섭,Bae, Kyu Woong,Park, Keum Sung,Kang, Chang Hoon,Moon, Tae Sup 한국강구조학회 2002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0 No.3

        본 논문은 새로운 냉간성형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최대내력과 변형제한치에 대한 연구이다. 새로운 T형 접합부의 형상은 지관을 주관에 대하여 $45^{\circ}$ 회전시켜서 용접하는 형상이고, 지난 보고의 지관 $45^{\circ}$ 회전형 T형 접합부 실험결과 중에서 주관플랜지 휨 파괴가 지배하는 접합부만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16.7{\leq}2{\gamma}(=B/T){\leq}33.3$ 이고 $0.27{\leq}{\beta}(=b1/B){\leq}0.6$ 범위의 지관 $45^{\circ}$ 회전형 T형 접합부에 대하여, 최대내력을 정의를 위한 변형제한치는 주관폭의 3% 변형량(3%B)으로 제안하였다. 기본형에 대한 기존의 항복선모델을 검토하고, 지관 회전형에 대한 새로운 항복선모델을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항복선해석에 근거한 내력식과 실험결과를 비교하고, 제안내력식의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d the ultimate strength and deformation limit of the new uniplanar T-joints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new T-joint, only a branch member is orientated to a chord member at 45 degrees in the plane of the truss. This study focused on the branch-rotated T-joints that were governed by chord flange failure in previous studies. Test results of the T-joint in cold-formed square hollow sections revealed a deformation limit of 3%B for $16.7{\leq}2{\gamma}(=B/T){\leq}33.3$ and $0.27{\leq}{\beta}(=b1/B){\leq}0.6$. The existing strength formulae for traditional T-joint were determined and a new yield-line model for the branch-rotated T-joint proposed. Finally, the strength formula on the yield-line analysis was compared with test results and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proposed formula recommended.

      • KCI등재

        무보강 모살용접 각형강관 T형 접합부의 거동에 관한 실험적연구( II )

        배규웅,문태섭,Bae, Kyu-Woong,Moon, Tae-Sup 한국강구조학회 199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xperimentally the strength and deformation of T-joints to improve the structural behavior of truss connection consisted in square hollow steel section. There are two-types to be changed in T-joint shape. One type is TP-series that a brace member is rotated to 45 degree, another type is TR-series that a chord member is rotated to 45 degree. The most important results obtained from the 2nd experiment on the T-joints is as follow; The yielding strength and initial stiffness of TP-series increase more than a current type(TS-series) in $0.6{\leq}{\beta}(d/D){\leq}0.7(0.85{\leq}{\beta}$'$(={\sqrt2}{\cdot}{\beta}){\leq}1.0)$.

      • KCI등재
      • KCI등재
      • 모듈러 경량합성바닥판에 대한 휨성능 평가

        배규웅,이상섭,박금성,홍성엽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3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8 No.2

        This study is to proposed structural technologies on the light-weight composite floor systems in the unit modular and to evaluate experimentally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floor through flexural experiments. The flexur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otal six specimens using steel stud and precast concrete. From the results of test, all specimens showed the same failure patterns which exhibited deflection at the center of the specimens due to flexural deformation before concrete crushing at the upper of specimens. Also, we know that the proposed floors satisfied in serviceability. The ratio of experimental yield load by theoretical nominal load was the distribution of 0.70 to 1.30 with an average 1.03. Coefficient of variation in distribution showed relatively good agreement. 층간소음에 대응할 수 있는 유닛모듈러 경량합성바닥 구조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러한 바닥판에 대한 휨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자한다. 스틸스터드와 PC바닥판을 활용하여 제안된 형상별로 각각 3개씩 총 6개의 경량합성바닥판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체의 파괴 형태는 바닥판의 중앙부에서 처짐으로 인한 휨변형에 의해 지배되었고 종국으로 바닥판 상부에 콘크리트 압괴가 발생하는 동일한 파괴양상을 보였으며, 사용성 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 공칭하중에 대한 실험 항복하중의 비는 0.70~1.30의 분포로 평균 1.03으로 나타났으며, 분포도 측면에서 변동계수는 0.204로 나타나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닛 모듈러 기둥-보 조인트의 구조 성능 평가

        배규웅,이상섭,박금성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2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7 No.2

        The object of this paper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of the flexure performance test for unit modular steel frame with the cold-formed hollow structural steel sections column and light weight ㄷ-sections steel beam. The main variables of the joints are the column width-thickness ratio and loading method a total of four specimens were fabricated. Regardless of column width-thickness ratio and loading method, failure modes of all specimens was dominated by lateral buckling in column insert part. Comparisons with previous researches on the column having larger width-thickness showed highly yielding load to 1.76~3.13 times, peak load to 1.77~2.98 times, stiffness to 1.03~1.68 times and ductility to 1.0~1.54 times. 본 연구는 각형강관 기둥과 경 ㄷ-형강 보로 접합된 조인트에 대한 구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인트의 주요 변수로는 기둥의 폭-두께비와 가력 방법으로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체의 파괴형상은 기둥의 폭-두께비와 가력 방법에 관계없이 대부분 기둥 삽입 외측부에서 면외좌굴에 의해 지배되었다. 기둥 폭-두께비가 가장 큰 실험체에 비해 항복하중은 1.76~3.13배, 최대하중은 1.77~2.98배 높은 내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강성 측면에서 1.03~1.68배 높은 초기강성을 나타내었으며, 연성능력 측면에서는 1.00~1.54배로 평균 약 30% 정도 연성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골형 합성 테크플레이트를 사용한 반슬림 합성보의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배규웅,오상훈,허병욱,양명숙,Bae, Kyu-Woong,Oh, Sang-Hoon,Heo, Byung-Wook,Yang, Myung-Sook 한국강구조학회 200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3 No.1

        상업건축물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철골조 건물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와 함께 합성거동하도록 설계된다. 현제 "합성 구조"가 사용성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상의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지만, 자체의 춤이 깊기 때문에 철골조 아파트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합성의 전체 춤을 절감할 수 있는 반슬림플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철골보 춤내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삽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철골조 고층건물에서 층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공법이다. 실험은 12개의 합성슬래브 실험체를 데크현상, 슬래브폭, 스터드볼트의 유무와 콘크리트 토핑두께를 변수로하여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Steel frames are increasingly used in commercial buildings. and most steel frames are designed to achieve composite action with the concrete floor slab. The advantages of 'composite construction' are now well understood in terms of structural economy. good performance in service. and ease of construction. But. these conventional composite construction system are difficult to apply steel framed apartment due to their large depth. So. in this study we developed Semi Slim Floor system which could reduce the overall depth of composite beam. Semi Slim Floor system is a method of steel frame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in which the structural depth of each floor is minimised by incorporating the steel floor beams within the depth of the concrete floor slab. Twelve composite slab specimens with different deck-type. slab width. with or without stud bault and concrete topping thickness were tested to evaluate the flexural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