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등학교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의 비교 - ‘사료’와 ‘탐구’를 중심으로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07 역사교육연구 Vol.- No.6

        Constructivism of 7th curriculum and strong demands for 'doing history' in history classroom has brought very large changes in organizing history textbooks. The core value of changes is making the best use of historical materials and inquiry activity, based on a historian's methods. Now many history textbooks give 'well organized' problem solving activity of students,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For long, use of historical material in me school has totally depended on personal efforts and will of teacher. So in actual fact, it has been poorly practiced. I comparatively investigate on organizing of 'modern korean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 willing to arrange the special features in using records and student's activities. And attempt to make clear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ext, material and inquiry activity as components of textbook. Careful investigation about various problems appeared in the ways of questions is a theme of this research too. Ultimately I tried to find useful an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history textbook which will be developed based on newly revision curriculum before long. The majority give consequence to doing history, but text is as front and center as ever. In the same time, material and inquiry activ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attaining more deepened understanding and polished historical thinking. But, there are serious problem with inquiry question, too abstract and conglomerate for beginners, and unkindness-lack of considerations student's maturity and former similar experience-. To animate the aim of doing history, needs proper questions, carefully concern student's intellectual and emotional conditions with dear and accurate educational intends.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개발 되면서 역사 교과서(국사, 세계사)의 외형 및 내용 구성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다. 역사 교과서 내용 구성 방식에 나타난 변화는 역사 교육계 내부의 오래된 요구와 제7차 교육과정이 지향한 교과서관의 결합에 따른 것이다. 역사 교과서들은 종래 역사 교사의 관심과 역량에 전적으로 의존하다시피 했던 ‘사료와 탐구’를 교과서 체제에 공식적으로 담아냈다는 매우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이 글에서는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에서 역사하기를 위하여 사료와 탐구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며, 본문과 사료, 탐구 등을 어떻게 연계짓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탐구 과제의 특성과 제시 방식을 검토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을 정리하였다. 대부분의 『한국 근ㆍ현대사』 교과서는 본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문의 이해를 뒷받침하기 위한 사료와 탐구의 비중이 높았다. 사료는 읽는 자료와 탐구 자료의 두 측면에서 매우 중시되고 있으며, 1차 문헌 사료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단위 학습 시간을 염두에 두고 구성된 탐구를 비롯하여, 단원 정리와 수행 평가 등에서 탐구와 크게 다르지 않은 활동을 요구하고 있어, ‘탐구 과잉 현상’도 나타나고 있었다. 사료와 탐구들이 본래의 취지를 살려 수업에 활용되려면 학생들의 활동과 사고 방향을 제시하는 탐구 질문이 적절해야 하는데 현재 교과서들에서는 지나치게 추상적이거나, 학습자의 사고 과정을 고려하지 않았거나, 자료와 연계성이 부족한 질문도 많이 발견되어 앞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역사 교과서 내용 구성에서는 역사 교과서에서 사료와 탐구를 활용하는 교육적인 의도가 뚜렷해야 하여,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이 어떤 지적ㆍ정서적 경험을 하게 될 것인지, 그러한 경험이 학생의 역사 이해와 역사의식의 형성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 KCI등재

        최근 논쟁 중심 역사수업 논의와 교사전문성, 교사교육

        방지원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49 No.-

        Recently, history teachers rediscov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controversy in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class. In many history classroom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based on contentiousness. This movement is likely to gradually change the frame of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along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world such as learning community and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he field of teacher training and school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opening up the developmental prospects of history education together by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e idea of ‘history lesson that treats controversial learning topics as controversial activities’ requires a change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rofessionalism for the formation of historical teacher identit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the planning of a history curriculum is likely to increase. In this study, therefore, I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the idea of history class which deals with controversial subject matter as a discussion-based student activity on history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ducation. In particular, I introduced a professional syllabus designed to help preliminary history teachers understand the controversy of history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최근 역사 교사들은 역사 교육과 역사 수업에서 역사 논쟁의 교육적 가치를 재발견했다. 많은 역사 교실에서는 논쟁성을 기반으로 역사를 이해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학습공동체나 역량중심의 교과과정과 같은 교육계의 변화와 함께 역사교육과 학습의 틀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교사 연수 및 학교 역사 교육 분야는 서로 교류하고 소통함으로써 역사 교육의 발전 전망을 열어 가는데 기여해야 한다. 그래서 ‘논쟁적인 학습 주제를 논쟁의 여지가 있는 활동으로 다루는 역사 수업’이라는 발상은 현재의 역사교사 양성교육과정이 내용과 방법 면에서 변화를 모색하도록 한다. 특히 비판적 성찰 활동과 교육과정 계획을 통한 역사교사 정체성 형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역사를 안다는 것’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교사양성 과정의 수업 사례를 고안하여 실행한 결과를 덧붙였다. 이와 같은 교사양성 과정의 설계 및 수업 사례들이 활발하게 공유되어 비판적 검토의 과정을 거치며 개념화 될 수 있을 때, 학교 역사교육의 현장과 교사양성과정이 더욱 긴밀하게 소통하며 역사교육의 밝은 전망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야기체(narrative)를 활용한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방지원 호서사학회 2007 역사와 담론 Vol.0 No.47

        Suggestions for improving history textbook writing with narrative mode

      • KCI등재

        ‘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진로 모색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nly works with studentdirected- researches, which see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korean modern history’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 of history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recent surveys on ‘Student’ s Opinion o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aken in large scale more then 1,200 every time by teachers and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History Education Institute, Over 70 percent of students choo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s worthy of study in all ages of korean history. Another one thing to remember as productive result in the field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the ‘History’, the new-born subject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best feature of it is comprehensive recognition and reflection through World-Korean history. Until then, our history education has been very rigid and has lacked any diversity. On top of that, in these days, some researchers and teachers began to look at the potential of history education as core subject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They are seeking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y curriculum which vased on democratic values. Then I put forward three future-oriented propositions, necessary for progression in the study of student-centered program history curriculum. First is to examine critically ‘state-centric-narration’ Which deeply ingrained in history textbooks and ordinary public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Second, we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for organizing democratic values-based curriculum; peace, civil rights, the respect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nd so on. Third, we must realize that to delay is no option in the fight with a series of measures designed to entrench of deep- right- biased history curriculum.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함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긍정적 유산으로두 가지를 들었는데, 첫 번째는 근현대사 교육의 강조이고, 두 번째는 국사 중심 역사교육에서 세계사와 함께하는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이다. 이어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공감대를 넓혀가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연구와 실천의 동향을‘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으로 잠정 정의하고, 이 맥락에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현실 진단의 과제로서 국가 중심 서사 및 그 재생산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수십 년간공고하게 형성 유지된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토대를 확고히 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래 역사교육의 상을 마련하는 과제로 평화와 인권, 다문화와 공존 등 민주적 가치와 덕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필요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급격히 달라진 역사교육의 외적 조건을 인식하기위한 것으로 ‘우파’ 역사인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리이다. ‘우파’ 역사교과서의등장이 역사교육계에 몰고 온 충격에 대해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차원에서 대응하고, 학습자를 위한 역사교육 내용 체계를 모색하는 또 다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어떻게 읽을까?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6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nalyze narratives of history textbooks is very important in the curriculum expertise of history teacher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 ‘Korean War’ narrative perform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ctiv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ypical narrative’ and ‘controversial narrative’ and expressed their own views on each of them from the activities that analyz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the Korean War narratives of the five kinds of history textbooks. At this time, it was conducted wit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o critically review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formation of hi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The point of reflection and growth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task of [class diary] is very suggestive in teacher education. First, many of the preliminary teachers did not fully utilize the narrative viewpoint as a standard when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When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relatively unfamiliar narrative was additionally given, the educational meaning implied by the differences in narrative viewpoints was more actively explored. Second,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find emotional history and objective history narratives to be opposed to each other.,There was a strong belief that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should be objective and neutral, and emotional descriptions were also seen as hindering it.,Third,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which is based on typical narratives acquired through history education, has limited the flexi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ought., He also said that teachers' broad understanding of history is a prerequisite for history classes that guarantee diversity in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Through the activities and resul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nd the urgency of the task of how to deal with the pluralistic perspective were confirmed again.,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perspective of textbooks and narratives exert more power than to understand the past through cohesive fact delivery, and as curriculum designers, they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textbooks from various angles. 역사교과서의 서술 관점과 서사를 식별하고 분석해내는 능력은 역사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분석하고,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및 인식 형성 과정을 성찰하는 활동 사례를 다뤘다. 예비교사들은 다섯 종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술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활동으로부터, 전형적 서사와 대항 서사를 인식하고, 각각에 대한 자기 견해를 표명하는 활동 과정을 거쳤다. 이 때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형성에 작용한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기반성을 함께 진행했다. [수업일기] 과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자기반성과 성장의 지점은 교사교육에 매우 시사적이다. 첫째, 예비교사 다수는 역사교과서 서술의 차이점을 분석할 때 서술 관점 등을 그 기준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낯선 대항 서사에 대한 역사지식이 추가적으로 주어졌을 때 비로소 서술 관점의 차이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좀 더 적극적으로 탐색했다. 둘째, 감성적인 역사서술과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사교과서의 서술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강했으며, 감성적인 서술이 이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 셋째, 자신들이 과거 역사교육을 통해 습득한 전형적 서사 위주의 한국전쟁 인식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유연한 이해와 사유의 확장을 제약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폭넓은 역사 이해가 관점과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역사수업의 필수 요건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예비교사들의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중요성,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과제의 시급성이 다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관점과 서사가 응집력 있는 사실 전달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과정 설계자로서 교과서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 역사교육 계열화의 개념과 원리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06 역사교육연구 Vol.- No.3

        The stabilization of the sequence of history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And it is correlated to important aspects of history education ; aims, contents and methods in history classrooms. Till now, the grater part of the discussion on the sequence of history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korean history syllabus, especially to make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syllabus in middle school and that in high school. And they carried out as the ground-making for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Recently, various theoretical researches have been fulfilled, and the outcomes are remarkable; a scheme for sequence of contents based on organized concepts, a plan which links aims and contents closely by stages. Futhermore, historical epistemology is illuminated seriously as theoretical basis of sequence in history education. It is the time for conversion of basic ideas in the discussion on sequence of contents, from the definite method which premises the fixing subject and regular scope of curriculum, to the method of line up the series of history subjects by school levels. For this, it is essential to study about the aim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aching. The sequence also associated with the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activities in history classrooms. So the specific features of learner’s understanding about historical contents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it are to be very important aspect of research on the sequence of class room activities. In the end, the point at issue is to systematize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in the schools by stages. And steady efforts to jo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s a whole -aims, contents, methods- is important the condition for the good discussions on the sequence. 계열화는 초ㆍ중ㆍ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것이며, 역사교육 목표, 교육내용, 수업 방법 등 역사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계열화 논의는 주로 국가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질 때 중ㆍ고등학교 『국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학교급별 학습내용을 차별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주력해왔다. 최근에는 조직 개념을 중심으로 한 계열화 방안, 교육 목표와 내용의 체계적인 구성 방안이 모색되고 역사 인식 논리에 따른 계열화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등 계열화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학교급별 학습내용 계열화를 위해서는 과목 내용의 범위를 일정하게 정해놓고 학습 주제나 내용 요소를 차별화하려는 지금까지의 방식에서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역사 교과목 편성을 통해 학습내용의 연계성과 차별성을 살리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리고 교과목 편성을 뒷받침하는 기반으로서 학교급별 역사교육 목표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또한 계열화는 각급 학교 역사수업과도 관련된다. 학습자가 역사를 배우고 이해하는 방식 및 그 성장 과정에 대한 정리는 학교 단계별로 역사수업을 체계화하는 이론적 바탕이 된다. 동일한 종류의 역사이해나 사고 활동이 포함되는 수업도 학교급별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역사교육의 계열화는 목표와 학습내용, 수업 활동에 걸친 역사교육의 체계적 실천에 대한 문제이다. 따라서 계열화 논의를 진전시키려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는 과정을 하나의 연결된 체계로 접근하면서 목표와 교과 편제 및 내용 구성, 수업방법과 학습자의 역사이해 등을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금속이온에 의한 CdSe 나노결정의 형광 소광 및 회복 특성

        방지원,김봄이,구은회,김성지,Bang, Jiwon,Kim, Bomi,Koo, Eunhae,Kim, Sungjee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2

        CdSe 기반 나노결정의 구리이온에 의한 형광 소광 특성 및 아연이온에 의한 형광 회복 특성을 관찰하였다. 구리이온이 첨가되었을 경우, CdSe 양자점에서는 매우 빠르고 급격한 형광 소광 특성을 보이는 반면에 CdSe 나노라드의 경우에서는 형광이 서서히 소광되는 특성을 보인다. 구리이온으로 형광을 소광시킨 CdSe/CdS(핵/껍질) 양자점에 아연이온이 첨가되면 소광된 양자점의 형광이 회복된다. 용액 내 1 μM의 아연농도에서 양자점의 형광이 50% 증가됨을 확인하였으며, 아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양자점의 형광세기가 증가되며 이는 Langmuir binding isotherm 모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CdSe 기반의 나노결정을 이용한 형광 화학 센서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pper ion induced photoluminescence (PL) quenching dynamics and recovery of the PL by zinc ions were investigated for CdSe based nanocrystals. When copper ions were added, CdSe quantum dots showed fast and dramatically PL quenching whereas PL of CdSe nanorod gradually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zinc ions, the PL of CdSe/CdS (core/shell) nanocrystals that have quenched by copper ions was efficiently recovered. It showed that the PL intensity of nanocrystals increased by 50% in a solution containing 1 μM zinc ions. The PL intensity was increasing with increasing zinc ions, and could be described by Langmuir binding isotherm model. We showcase that the CdSe based nanocrystals can be used as fluorescence turn-on sensor.

      • KCI등재

        학교 역사교육과 공공역사(public history)의 만남, 어떻게 볼까

        방지원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79 No.-

        In production, transmission, communication, consump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various actors, groups, and institutions of society participate. Public history is based on the social space in which historical descriptions and representations take place. Public history combined with the school history curriculum provides for student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history as an activity that produces an endless series of discoveries as an ongoing conversation, not the final truth.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at history produces interpretations that change not only our understanding of the past but also our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this era in which we live. In this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public history, and the definition of public history as a dialectical process of identity struggles taking place in society were reviewed. Next, this article, while examining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oriented toward civic education, explored the reasons why teachers and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public history in the process. A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above definition were examined. The reasons for paying attention to public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are related to the problems of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Students come into the classroom "with public history" by meeting representations of history in their daily lives. Each student is the subject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and experiences the dialectical process of the identity struggle. How does school history education contribute to this student's life? History teachers, who are designers of learning experience, must stand in a central position to deal with this question, and in many aspects, they need to have a steady opportunity to deal with this question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Based on the reflec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act of the history representations experienced by the pre-service teacher himself, I added a class case tha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hat public history poses to school history education. .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들은 역사학습의 ‘다원적 관점(multiperspectivity)’을 어떻게 담았는가?

        방지원 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논집 Vol.74 No.-

        For student learners, the multi perspective of history is a lens for insight into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process of forming one's own lens, by exploring the past through various lenses, is ultimatel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in multi perspective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three aspects inherent in the concept of multi perspective in the history textbook and class teaching design. According to studies at home and abroad, the multiperspectivity as a historical learning method and composition principle emphasizes that as a curriculum designer, teachers and textbook authors shoul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ability to read historical source according to historical research norms. It also emphasizes careful design of learning experiences that address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f subjects on the layers of time that extend from past to present. “Korean Histor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very regrettable in terms of understanding history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The curriculum basically maintained the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national narrative, and focused on the delivery of core knowledge with the dry and concise statements as much as possible. Therefore, the textbooks of “Korean History” developed based on this have a common limit. There were many shortcomings in setting up various perspective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to relativize national- centered narratives.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that were customary in the activities for student's inquiry. It was confirmed that the historical inquiry, which has been a key part of the textbook since the 7th curriculum, has various structural problems even though it has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learning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For example, students had to approach dichotomously to past people's perspectives, or be indifferent to the relevance between different perspectives.,Even, there were cases where the author's judgment on historical events should be accepted. This is not a problem of textbooks, but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our history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make efforts to set up more sophisticated learning topics and design lear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