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후 유방 마사지 손기술에 대한 다중사례분석

        박현순,조인숙,김민경,Park, Hyunsoon,Cho, Insook,Kim, Min-Kyeong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7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3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hand-on breast massage techniques used by well-known experts in breastfeeding clinics. Methods: A qualitative multiple-case design was applied that involved a feasibility test. Four experts sampling qualitative data collected by observing participants and in individual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linking data to the propositions, and cross-case pattern matching.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cases, and the possibilities of replicating findings across cases. Thirty-nine postpartum women participated voluntarily in the feasibility test, which investigated the usability of four massage techniques. Results: The four techniques showed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stimulation to the breast base and increased flexibility of the wired flexible body, which was the core mechanism underlying the techniques. The breast management strategies were consistent with existing practice guidelines with the exception of using cold cabbage to control engorgement pain. There was in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for supporting the massage techniques used by the experts. All of the techniques showed 100% education completeness, but application rates were higher for self-control-oriented techniques. Conclusion: The massage techniques applied by experts in breastfeeding were based on hypotheses and self-control techniques are feasible to apply in practice.

      • KCI등재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이 자연주의 출산과 간호중재에 미치는 의미 탐색

        박현순 ( Park Hyunsoon ),문길남 ( Moon Guil Nam ),이신영 ( Lee Shi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 목적은 국내 의료기관에서에서 제공하는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이 자연주의 출산에 사회적, 학문적으로 어떻게 기여하며, 간호중재로서 임상실무에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의료기관에서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을 실천한 참여자(초산모n=22, 경산모=7)의 특성과 임상실무의 간호중재로 적용 가능성은 양적연구로 탐색하였으며,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내용은 질적연구로 탐색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본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이 여러 운동기법과 조명, 음악, 호흡법, 수중입욕, 둘라의 장점을 포함한 프로그램 구성이었고, 핵심 기전에는 향후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출산 시 진통조절과 의학적 개입은 자연주의 출산에서 미미한 반면, 성공적인 출산을 이끄는 데는 개인, 가족, 간호 중재자의 신념과 의지가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교육의 핵심은 스피닝베이비 원칙에 따라 균형, 중력, 움직임으로 골반근육 유연성을 증가시켜 편안하고 부드러운 출산으로 이끄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임부의 골반과 태아 아두 직경과의 상관관계에서 최적화 기점을 찾아 자연 생리적 솔루션을 해결하는 데 유의미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출산 시 적용한 스피닝 교육 프로그램은 게일(Gail Tully)이론의 장점을 근거기반함과 동시에 이미 검증된 다른 중재들의 장점을 혼합한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임상실무에서 간호중재로 적용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academic contribution of spinning education program to natural birth provided by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to apply it to clinical practice as nursing intervention. This study accepted mixed research design. First,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primipara = 22, multipara = 7), who practiced spinning education at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Second,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pinning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scientific principles and acceptability as a nursing intervention during deliver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composition of the program, which included several exercise techniques and benefits of lighting, music, breathing, underwater bathing, because the core mechanism requires systematic research in the future. While labor control and medical intervention in childbirth were minimal in naturalistic births, it was found that it took more faith and will of individuals, families and nurse mediators to lead successful births. The key of spinning education is to search for natural more comfortable and smooth delivery through balance, gravity, exercise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pinning Babies. The study was significant in finding the optimal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pregnant woman's pelvis and a fetal head diameter in solving natural physiological solutions. In conclusion, the training program applied at birth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benefits of Gale theory and can be applied in clinical care as a mix of the benefits of other already verified interventions.

      • KCI등재

        한국형 모유은행의 모유 기증자·수혜자를 위한 교육 정보 가이드라인 탐색

        박현순 ( Park Hyunsoon ),송영선 ( Song Young Sun ),한원호 ( Hahn Won Ho ),강남미 ( Kang Nam M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 목적은 모유 기증자와 수혜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교육 정보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한국 모유은행 활성화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모유 기증자와 수혜자 총 20명으로, 다중사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모유 기증 수혜의 경험 및 지식 정도, 교육 요구를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반구조화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1차, 2차, 3차에 걸쳐 전화 상담을 통해 기증자로부터 393개, 수혜자로부터 214개 총 607개의 진술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국외 모유은행의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상위수준과 하위수준 개념을 온톨로지에 따라 코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모유 기증자와 수혜자들은 한국의 모유은행 부족 및 교육 정보 부족으로 인해 보건소나 병원에서 교육이 실시되는 것을 원하였다. 둘째, 교육 참여 방법과 모유은행 활용방안에 대한 상담 및 교육도 국가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추후 웹-기반 교육과 성공적인 한국형 모유은행제도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Korean breastfeeding milk bank activation education by developing educational information guidelines based on experiences of breastfeeding donors and recipients. The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multiple-case analysis, exploring applied of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the breast milk donors and breast milk recipients with a total of 20 cases. The data collection is based on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qualitative data were through telephone counseling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unds, The number of main statements from the study cases were total 607, including 393 from donors and 214 from recipients. The analysis tool base was coded according to the high level and low level concept ontology centered on the guidelines of oversea HMBs. The results First, breastfeeding donors and recipients wanted to be educated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hospitals due to the lack of breastfeeding milk banks and lack of educational information in Korea. Second, The wanted counseling and education on how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HMB should be integrat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study results sugges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web - based education and activation of KHMB system successfully.

      • KCI등재

        조산사 생애사에 나타난 사회적 실천의 과정과 의미 탐색

        박현순 ( Park Hyunsoon ),김영순 ( Kim Youngsoon ),정소민 ( Chung Som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한국에서 희소 직업으로 간주되는 조산사의 삶에 나타난 사회적 실천의 과정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16년 12월말까지 약 1년이며, 이 기간에 걸쳐 현장연구와 자료수집, 자료 분석 작업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경험기의 경우 아비투스 형성, 행위자의 의도성과 지속적인 행위로 의미화 된다. 동생의 죽음과 K 자신의 첫아이 사산은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조산사로서의 꿈을 키워가는 아비투스 형성을 강화시켰다. 여기에 학창시절 학업의 열의와 모범적인 학업은 사회적 실천의 개념 요소들 중 행위자의 의도성과 지속적인 행위에 해당되는 영역이며 조산사 꿈을 이루기 위한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문수련기에서 연구참여자 K는 조산사 수련과정에서 꿈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의도와 행위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는 사회적 실천의 개념요소들 중 행위자의 의도성과 지속적인 행위에 해당 되는 영역이다. 셋째, 지식전환기의 경우 산후조리원을 창시하는 아이디어, 산모와 육아의 멘토 역할 활동 등은 사회적 실천의 개념 요소들 중 실천적 지식 함양, 행위자의 의도성과 지속적인 행위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산부인과 의사들과의 협업 역시 사회적 실천의 개념 요소들 중 협동적인 인간관계 영역에 해당된다. Midwives who operate their own private birth centers out-of-hospital are drastically disappearing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social practice in the life of a midwife who has managed her own birth center for more than 30 years. Life-history interviews and field works for data collection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 year. This research shows three stages in her midwifery life as follows: (i) period of motive cultivation, (ii) period of midwifery training, and (iii) period of knowledge transformation. First, the period of motive cultivation was formed with concepts of social practice such as formation of Habitus, intention of the agent, and continuous actions. Her formation of Habitus had been reinforced by the death of her younger sister`s death and her first baby stillbirth, which had functioned as an enhancer for her dream as a midwife. Furthermore, as intention of the agent and continuos actions, her academic enthusiasm and exemplary efforts seem to provide a background for achieving her dream. Second, in the period of midwifery training, she reinforced her intention and actions to achieve her dream. This can be interpreted as intention of the agent and continuous actions in the concepts of social practice. Third, in the period of knowledge transformation, some of her practices were formed with the concepts of social practice such as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intention of the agents, and continuos actions. For example, her idea for founding a postpartum care center and activities as a mentor of child-caring for new mothers reveal how her midwifery theoretical knowledge and previous experiences transformed into social practice. Her active cooperation with obstetricians in hospitals also indicates one aspect of social practice such as cooperative human relationship.

      • KCI등재

        LMS 기반 에듀테크 교수학습 플랫폼 모형 설계 연구

        윤승배,양승혁,박현순,Yoon, Seung­-Bae,Yang, Seung Hyuk,Park, Hyunso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목적: 이러닝 활성화를 위해 여러 방식의 LMS와 접목하여 연동 가능한 최적의 에듀테크 교수학습 플랫폼 모형을 설계한 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교와 일반대학교의 4차 산업기술에서 활용 가능한 이러닝 시스템을 횡단적으로 내용분석 하였다. 결과: 사이버대학교에서는 전적으로 LMS에 의존하였고, 일반대학교에서는 LMS 이외에도 구글 클래스룸,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유튜브 등 교수별 각기 다른 에듀테크 방법을 보완 활용하고 있어, LMS에 구글 및 유튜브 등 메타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알고리즘 매핑을 제공하는 것이 에듀테크 교수학습 플랫폼 모형에 유의미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LMS 기반 에듀테크 교수학습 플랫폼 모형을 통해 교수법 향상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is a study to design an optimal Edutech teaching-learning platform model that can be linked with various types of LMS to activate e-learning.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of e-learning systems that can be used in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of cyber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were cross-sectionally analyzed. Results: Cyber universities relied entirely on LMS, and general universities supplemented and utilized different Edutech methods for each professor such as Google Classroom, Zoom video communication, and YouTube in addition to LMS. It was considered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provide a minimal algorithm mapping to LMS to share metadata such as Google and YouTube for the Edutech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 model.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LMS-based Edutech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 model.

      • KCI등재

        임산부와 영아 건강증진을 위한 모유 통합관리시스템 설계 -모유성분관리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강남미(Nam Mi Kang),박현순(Hyunsoon Park),구소연(So Yeon Gu),한원호(Won Ho H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모유성분관리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수유모의 시기별 표준 모유성분 정보제공 및 성분변화에 따른 정보제공에 목적이 있다. 모유성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한국형모유은행 사전 연구에서 모유은행 가이드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모유통합관리시스템 관련 요소를 파악한 후, 이를 기초로 한국모유은행 시스템 기능 중 모유성분 관리시스템 구축 및 시스템의 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모유성분관리시스템 구성도, 모유관리서버 및 회원관리부 구성도, 모유성분분석부 및 표준성분저장부 구성도, 모유관리정보생성부 구성도로 모듈이 구축되었다. 결론적으로 수유모의 모유성분 함량을 해당 표준 함량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특정 시기에 자신의 모유성분을 표준 모유성분 및 다른 수유모의 모유성분과 비교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 내 모유성분관리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tegrated human milk (HM) management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provide information on HM components and changes over the lactation period. To establish the HM component management system,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current system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issued by human milk banks (HMB) based on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e developed application can be interlinked with the Korean HM composition management system. System modul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HM composition management system, namely, member management, composition analysis, standard composition storage, and HM management information generator modules. To conclude, this application is expected to allow breastfeeding mothers to improve HM components and to compare their HM components with provided standard HM components at specific lactation periods.

      • KCI등재

        임산부와 영아 건강증진 모유나눔 플랫폼 구축을 위한 모유은행 웹사이트 분석 및 설계

        이민영 ( Min Young Lee ),박현순 ( Hyunsoon Park ),이운형 ( Woon Hyung Lee ),강남미 ( Nam Mi K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지역 거점 의료기관 내 모유은행 기증모유 나눔 플랫폼 구축을 위해 국내·외 모유은행 관련 웹사이트를 탐색한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한 조사연구이며, 임산부와 영아 건강증진을 위한 모유은행 웹사이트를 분석하여 모유나눔 플랫폼 구축설계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모유은행 웹사이트 국내 3개, 국외 9개와 비영리 모유은행 웹사이트 3개의 총 15개 웹사이트와 국내 건강정보 사이트 평가기준 기반으로 개발된 질문도구를 의료인(n=16), 고위험임신부(n=16) 대상으로 모유은행 플랫폼 구축방안을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 거점 모유은행 활성화 전략의 장애요인으로 의료기관과의 연계성 부족이 플랫폼 구축에 대한 신뢰도와 믿음에 관한 불안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의료기관 내 모유은행 웹사이트의 디자인 기술과 내용이 보완된 플랫폼을 보건소 및 의료기관 내 설립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유은행 플랫폼 구축을 통해 모유 기증·수혜자와의 지역 접근성을 해소할 수록 모유은행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의료기관에 연계된 고위험임산부와 영아 건강증진을 위한 모유 기증·수혜 추적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모유은행의 효율성, 정보의 최신성, 기능성, 디자인, 기술성, 홍보성 등 보건의료인과 고위험임산부인 소비자 측면의 요구가 반영된 모유나눔 플랫폼 구축을 위한 콘텐츠 설계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This study is a mixed method of research that explored domestic and foreign human milk banks websites to establish a donated humanmilk sharing platform in local medical institutions. The study is designed to build a humanmilk sharing platform by analyzing the website for the promotion of health of pregnant women and infants. Methods From the total of 15 websites, 3 were domestic human bank websites, 9 were foreign and 3 were non-profit human milk bank websites. Questioning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domestic health information sites, designed for medical personnel (n=16) and high-risk pregnant women (n=16). Result First, the lack of connectivity with medical institutions were found as an obstacle to the strategy to revitalize human milk banks at regional bases, as it caused anxiety in the reliability and belief in the platform constru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human milk bank website and platform in domestic health centers and medical institutions was desired. Third, by establishing an ideal human milk banking platform, human milk banks will be utilized further with higher access in the region with donated milk and recepients. Conclusion Based on the humanmilk tracking system, we would like to present a content design to build a humanmilk sharing flatform that reflects the needs of health care workers and high-risk pregnant women, including efficiency, up-to-date information, functionality, design, technology, and publicity.

      • KCI등재

        유럽 및 북미 모유은행에 대한 체계적 고찰

        구소연(So Yeon Gu),강남미(Nam Mi Kang),박현순(Hyunsoon Park),한원호(Won Ho Hah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모유은행의 유럽 및 북미의 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여 모유은행의 국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모유은행을 소재로 한 유럽 및 북미의 모유은행 설립 및 운영 실태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파악한뒤 운영 관련 쟁점을 도출하였다. 모유은행의 운영 쟁점 사항은 안전성, 비용효율성, 산모의 선택 3가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모유은행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유기증 수혜를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인증 제도 및 법률제정이 요구된다. 둘째, 모유은행이 제공하는 모유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유럽 및 북미 대륙의 선진 운영 체계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셋째, 모유은행 운영 비용을 분담할 고도화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넷째, 모유은행의 원활한 운영을 도울 사적 · 공적 지원 체계의 확립과 모유은행의 양적 성장을 지원할 공적 기금의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uman milk bank trend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draw implications, and propose ways to revitalize human milk banks in Korea.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human milk bank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were systematically considered, and issues related to their operation were identified as safety, cost-effectiveness, and maternal cho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revitalization plan for human milk banks in Korea was derived as follows. First, a certification system and legislation are required that enable the legal donation of breast milk and the receipt of benefits. Second, the advanced operating systems utilized on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tinents should be benchmarked to ensure the safety of milk provided by human milk banks. Third, a system is required to share the operating costs of human milk banks. Fourth, private and public support systems are needed to facilitate the smooth operation of human milk banks. Finally, public funds should be made available to support human milk bank growth.

      • KCI등재

        모유나눔 플랫폼 기반 기증모유 관리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설계 및 구현

        이민영(Lee, Min Young),강남미(Nam Mi Kang),박현순(Hyunsoon Park),최병일(Choi Byoungil),한원호(Won-Ho Ha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모유나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모유은행, 기증모유 관리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 구성을 설계하고 평가하였다. 모유나눔 컨텐츠 개발과정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를 참고하여 준비, 분석, 설계, 구현, 평가, 유지 보수 6단계를 거쳐 개발 적용되었으며, 컨텐츠 구성은 모유은행, 모유기증, 모유수혜, 유방마사지, 문헌, 5개의 메인메뉴와 10개의 하위메뉴로 구성하였다. 산모와 의료진 대상으로 2022년 7월 21일부터 2022년 9월 30까지 모유은행 컨텐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평가 결과, 단기 유용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모유기증 이해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을 통해서도 모유은행 인식 부족 및 정보제공 부족으로 기증·수혜에 어려움이 있는 바, 활용성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 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앱 적용 플랫폼 개발 연동 또한 향후 연구개발이 필요하며 효과를 직접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ontent composition for development of a humanmilk sharing application by analyzing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of human milk bank and donated milk. The humanmilk sharing content was developed in six steps; planing,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testing, and maintenance with a preparation stage for the waterfall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Content structure was human milk bank, milk donation, milk request, self-breast massage, literatures, and five main menu and ten submenu. A human milk bank content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1 to September 30, 2022 for pregnant women and medical staff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rt-term usefulness of the application would be high,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n the milk donation. The lack of awareness and provided information of human milk banks was found to make difficulty in the donation and request of human milk bank. In conclusion, for improving the intention to use the human milk bank,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platform that can make the users familiar with the human milk bank would be also an area that requires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irectly test the effects of applying.

      • KCI등재

        건강한 자연출산을 위한 스피닝베이비 기반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조산원 산모를 중심으로

        이신영(Lee, Shin-Young),정미연(Jeong Mi-Yeon),박현순(Park, Hyunsoon)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임산부의 건강한 자연분만을 위한 스피닝베이비 기반 운동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조산원에서 자연분만을 희망하는 30~40대 36주차 임산부들을(n=14) 대상으로 4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빈도분석과 t-test를 통해 체성분, 분만자신감, 불안, 분만만족감 및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p<.001)과 BMI(p<.001)는 정상 범위 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자신감(p<.001)도 증가하였으며, 상태불안(p<.01)은 감소하였다. 분만통증은 잠재기가 2.93점, 활동기가 6.29점, 이행기가 8.79점으로 나타났고 분만소요시간은 전체 206.43분(초산모 268분, 경산모 172.22분)이었으며 신생아의 평균 체중은 3.4kg이었다. 산후 1분의 Apgar는 8.57점, 산후 5분의 Apgar는 9.57점이었고 태변착색은 2건(14.3%) 있었으며, 분만만족감는 53.93점으로 나타났다. 모든 대상자는 약물, 마취, 수술과 같은 침습적 내과적 치료 없이 NSVD(정상 자연 질식 분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분만자신감, 분만통증, 불안, 출산결과의 명백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spinning baby for healthy natural childbirth to Korean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Accordingly, a 4-week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36 weeks’ pregnant women (n=14) in their 30s and 40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gions who wished to give birth naturally in midwifery clinics. The effect on body composition, childbirth confidence, anxiety, childbirth satisfaction and childbirth results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ight (p<.001) and BMI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the normal range, childbirth confidence (p<.001) increased, and state anxiety (p<.01) decreased. In terms of labor pain, the latent phase scored 2.93 points, the active phase 6.29 points, and the transitional phase 8.79 points. Length of delivering labor was total 206.43 minutes(primipara 268 minutes, multipara 172.22 minutes) and the newborns average weight was 3.4 kg. Apgar at 1 minute after birth scored 8.57 points and Apgar at 5 minutes after birth scored 9.57 points, meconium-stained occurred in 2 cases (14.3%), in the case of childbirth satisfaction, the score was 53.93. In particular, all subjects were given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without invasive medical treatment such as drugs, anesthesia, or surgery. Through the exercis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clear effects on childbirth confidence, labor pain, anxiety, and childbirth results were confirmed,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of pregnant women and fet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