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미국, 호주의 기술교육 목표와 내용 분석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of technology in Germany, America and Australia, and producing the basic data for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technology education in Germany, the STL that was presented by ITEA in America, and the technology education in New South Wales in Austral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urpose of three nations was that the ability of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technology on the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e ability of solving and managing problems creatively were important in the technology commonly. 2.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ree countries is divided into the personal area, the technical area and the environmental area. 3. In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the personal area is composed the effect of the technology on the society, the occupations world, the rational decision, the health and the safety,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technical area is composed the constru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system, and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e environmental area is composed the balance of the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 the effects of the technology on the environment, the responsible behavior for the environment and the ecology. Through the study, the personal area and the environmental area is important with the technical area in the technology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독일․미국․호주의 기술교육 목표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의 기술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독일의 기술교육과 미국의 ITEA에서 개발한 STL(Standards for Technology Literacy)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주는 New South Wales주의 기술교육을 대상으로 문헌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개국의 기술교육 목표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기술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능력과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관리하는 능력 함양'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2. 3개국의 기술교육 내용은 인간적 영역․기술적 영역․환경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3. 3개국의 기술교육 내용 분석에서 인간적 영역은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직업세계, 합리적인 의사결정, 건강과 안전성, 지식과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술적 영역은 ‘기술시스템의 구조와 발달, 문제해결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환경적 영역은 ‘기술과 환경의 균형, 기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환경에 책임질 수 있는 행동, 생태계’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교육에서 ‘기술적 영역’과 함께 ‘인간적 영역’과 ‘환경적 영역’도 중요한 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개념 및 영역의 탐색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s related with the technology concept, the technology literacy, the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technology assessment, to consider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to extract the 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produce the basis data for the systematic and reasonable technology assessment.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s treated important in the technical concepts, the technology literacy, the technology educ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objects of the technology assessment are the new technology and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y has to be assessed in daily lives. 2. The person that designs the technology has to predict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y and make a decision. Futhermore, the citizen has to be able to decide to develop the technology and to use it or not. 3. The reason to take a technology assessment is that technology has a great effect in humans' general lives.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echnology the technology has to be assessed in the historical point during technology assessment. 4. The standard categories are the personal, the social, the technological, the environmental, and the ethical aspect in technology assessment. Technology has to be appropriate the society and the technological system, be taken as a kind of social value, and last be harmonized with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technology assessment refer to that people predict the potential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 of the technology they are using at present or new technology in the personal, the social, the environmental, the technical, and the ethical categories. 이 연구는 기술의 개념, 기술적 소양 및 기술 교과 교육, 기술영향평가와 관련된 문헌들을 분석하여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기술영향평가의 영역을 추출함으로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기술영향평가와 기술 교과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술영향평가는 기술의 개념과 기술적 소양, 기술 교과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기술이 미칠 영향을 개발하기 전에 평가해야 하며, 매일의 삶 속에서도 현재 이용하고 있는 기술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기술을 설계하는 사람은 기술이 미칠 영향을 예측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하고, 더 나아가 기술을 이용하는 시민들도 기술의 개발과 이용 여부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기술은 인간의 전반적인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술영향평가를 실시해야 하며, 기술은 양면성이 있으므로 역사적인 관점에서 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기술영향평가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영역은 개인적 측면, 사회적 측면, 기술적 측면, 환경적 측면, 윤리적 측면이다. 기술은 사회와 기술 시스템에 알맞아야 하고 그 사회의 가치로서 받아들여져야 하며, 환경과도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기술영향평가란 ‘기술 설계자나 일반 시민들이 개발 대상의 신기술이나 현재 이용하고 있는 기술에 대해서 개인적 · 사회적 · 환경적 · 기술적 · 윤리적 측면에 미치는 긍정적 · 부정적 영향을 역사적 관점에서 예측하여 적정 기술을 결정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프로그래밍 교육과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이 학습 전이력과 수업에 대한 이식에 미치는 효과 비교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of applied software in Transfer and View of Learning o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73 second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in Taejeo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experimented on programming lessons and the other group was experimented on applied software lessons. The experiment was continued at creative activities periods once a week for 7 months. After the experiment was over, the test of transfer of learning and the questionaries were conducted to two groups for 60 min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transfer of learning in the programming lessons group was higher than the transfer of learning in the applied software lessons group. Second, the programming lessons group students had a positive idea more than the applied software lessons group students abou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ast, the students thought the programming lessons were more valuable than the applied software lessons. We can improve the transfer abilities of learning through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in the flood age of knowledge.

      • KCI등재

        기술 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영향평가 도구 개발

        박헌미,최완식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chnology Assessment tool for the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Technology Assessment, and to improve and apply the cognition of the Technology impact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had accomplished a literature study and four sequential Delphi studies with the experts who are in various fields of Technology Education.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using its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four Delphi studies. The reliability tests were made by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this researcher developed. Deriv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 : First, the 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consisted of 5 fields : individual, social, environmental, technological, and ethical aspects. Second, the twenty sub-categories of Technology Assessment were derived: the effects on humans' physical states, on individuals' mental states, on living styles, on organizing social groups, on cultures, on educations, on politics, on economics, on national defences, on natural environments, on artificial environments, on conservations and protections of nature, on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n other technology systems, the possibility to propose alternative plans, on efficiency of production, on individuals' ethics, on social ethics, on bioethics, and on property rights protection. Third, the total average of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in Technology Assessment was 4.51 and every sub-categories' importance degree was over 4.2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importance degree, Cronbach's α was .907 so the reliability was so high. Fourth, Technology Assessment tool that consist of 20 sub-categori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Delphi studies. The Cronbach's α of the main studies was .900 that shows so high reliability. Therefore, it proved that the Technology Assessment tool was the measurement tool that can be relied on.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중이 기술영향평가에 쉽게 참여할 수 있고, 기술 교과 교육에서의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활용을 위하여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 후 기술 교육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하여 델파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교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영향평가 영역은 개인적 측면, 사회적 측면, 환경적 측면, 기술적 측면, 윤리적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은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 생활 양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 집단 구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에 미치는 영향, 정치에 미치는 영향, 경제에 미치는 영향, 국방에 미치는 영향,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인공 환경에 미치는 영향, 환경 보호와 보전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 지식에 미치는 영향, 다른 기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대안 제시의 가능성, 생산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개인 윤리에 미치는 영향, 사회 윤리에 미치는 영향, 생명 윤리에 미치는 영향, 재산권 보호에 미치는 영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델파이 조사 결과 기술영향평가 항목에 대한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4.51이었고, 모든 항목이 4.21 이상으로 높게 도출되었다. 중요도의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는 .907로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넷째, 기술영향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20개 문항의 기술영향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기술영향평가 도구의 일반 대중에 의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한 검사의 Cronbach's α값은 .900으로서 신뢰도가 상당히 높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영향평가 도구는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 교과의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좌우뇌 선호도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헌미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forming groups according to the brain hemisphere preference on the coope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5 second grade boy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Daejeon and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 preference is the Brain preference Indicator(BPI)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orrance et al(1977) and was adjusted by Ko, Younghee(1991).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on cognitive,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Deriv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 First, making groups according that the brain preference is more similar was more effective than making groups according to the high familiarity and the similarity of performa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sychomotor and affective domains. Second, making groups according that the brain preference is more similar was more effective than making groups according that the brain preference is more diffrent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ffective domains on the coope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n technology. Third,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of the right hemisphere preference group is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population in three domains. Also, the academic achievement score of the right hemisphere preference group is higher than the score of the left hemisphere preference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교과의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좌우뇌 선호도에 따른 소집단 구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 광역시에 소재한 D중학교 2학년 남학생 95명이었고, 좌우뇌 선호도의 측정 도구는 Torrance 등(1977)이 개발한 뇌선호도 진단 테스트로서 고영희(1991)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는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정의적 영역으로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술 교과의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좌우뇌 선호도의 차이가 작도록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이 친숙도가 높고 학업 성취도 수준이 비슷하도록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법보다 심동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이 었다. 둘째, 기술 교과의 협동적 문제해결학습에서 좌우뇌 선호도의 차이가 작도록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법이 좌우뇌 선호도의 차이가 크도록 소집단을 구성하는 방법보다 정의적 영역의 학업 성취도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좌우뇌 선호도의 차이가 작은 소집단들로 구성된 집단에서 우뇌를 가장 선호하는 소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전체 평균 점수보다 세 영역에서 모두 높았으며, 좌뇌를 가장 선호하는 집단보다는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에서 더 높았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 교육에서 목공 실습과 좌우뇌 활용과의 관계

        박헌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pentry training in technology in middle schools and the left-right hemisphere utilization and to provide the materials for the whole brain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7 second grade boy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Daejeon and each 4 students made a group as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 preferences. Deriv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stated below:First, the carpentry training in technology in middle schools used both hemispheres, especially the right. The left and right hands were employed continuously in the whole process. Second, all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 preference groups memorized somethings through the images, a function of the right hemisphere and did the spatial, optical and intuitive thought mostly in language. They spent the most time sawing in behavior. Third, while the left hemisphere preference groups dealt the problems temporally, orderly and systematically, the right hemisphere preference ones liked the impromptu, active and free the experiments and were subjective and emotional. Fourth, the following is the process of carpentry training for the whole brain education. Identifying and analyzing a problem are the steps for invigoration of the left hemisphere and right hemisphere. Investigating the solution is the step for invigoration of the right one. Sketching and Making a shop drawing are for invigoration of the right hemisphere. The processes of cutting, pruning, assembling, decorating the exterior and varnishing are for invigoration of the right one. Evaluating is the step for invigoration of the left.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의 전뇌 학습을 위하여 목공 실습과 좌우뇌 활용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중학교 2학년 남학생 87명 중에서 좌뇌와 우뇌 기능이 가장 잘 분화된 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개의 소집단을 구성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교 기술 교육의 목공 실습에서는 좌뇌와 우뇌를 모두 활용하였으며, 특히 우뇌를 더 많이 활용하였다. 전 과정에서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지속적으로 사용하였다. 둘째, 목공 실습에서 좌뇌 선호 집단과 우뇌 선호 집단 모두 언어의 사용면에서는 우뇌의 기능인 심상을 통해 기억하고 공간적, 시각적, 직관적 사고를 가장 많이 하였으며, 행동 면에서는 톱질하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다. 셋째, 좌뇌 선호 집단은 문제들을 시간적, 순차적, 체계적으로 다루지만, 우뇌 선호 집단은 즉흥적인 것을 좋아하고 활동적이고 자유로운 실험을 즐겨하였으며, 주관적이고 정서적인 면이 많았다. 넷째, 전체 뇌를 골고루 활용할 수 있는 목공 실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좌뇌와 우뇌를 모두 활성화하는 단계로 문제 확인 및 분석하기이고, 두 번째에서 네 번째 단계는 구상하고 스케치하기, 제작도 그리기, 마름질하기·다듬기·조립하기·외관 꾸미기 및 니스칠하기 과정으로 우뇌 활성화가 두드러졌다. 마지막 단계는 평가하기로서 좌뇌 활성화가 두드러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