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의 욕구를 반영한 유아 전용 PC 개발에 관한 연구

        박헌균,박화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1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Korean children these days, to suggest child use only PC to meet their needs, and to develop child use only PC reflecting digital natives' needs. This is a follow-up study on "Research of status and enhancement plan of Korea's child use PC" written by Park, Hun Gyun (2014).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four types of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in this research, we learned about digital natives' behavioral traits, the advantages of tablet PC, and market prospects through reference researches. Second, the status of Korea's child use only PC was also examined. Third, wit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contents, nine types of needs for digital natives were concluded regarding child use only PC. Fourth, it is significant that the idea sketch was proceeded according to concluded research results, and final draft for child use only PC reflecting digital natives' needs was determined, and new products customized to their traits were develop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se digital natives' behavioral traits, advantages of tablet PC and market prospective, 9 types of digital natives' needs for child use PC are as follows. First, in addition to currently available child use PC, digital natives hope to see various new products developed. Second, digital natives will prefer PCs that can be used at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y will be proficient in using tablet PCs that require entering letters without physical keyboard and mouse devices and through virtual keyboard shown on screen. Fourth, digital natives will like to handle various tasks simultaneously. Fifth, they will prefer intuitive User Interface (UI) that makes direct input on screen possible. Sixth, they like convenient portable personal PCs that they can bring anywhere to be developed. Seventh, they will prefer child use PC screen in large size. Eighth, they like to see handles proper for child use PC to be developed. Ninth, they like clean and simple colors and images for tablet PCs, and recommend final result expressed with 3D rendering based on research result.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s digital natives’ needs about child use PC, and related development of products customized to their need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 유아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욕구(Needs)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유아 전용 PC를 제안하는 것이며, 디지털 네이티브의 욕구를 반영한 유아 전용 PC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는 박헌균(2014)의 ‘국내 유아용 PC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4가지의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의 행동 특성과 태블릿 PC의 장점 및 시장 전망을 알아보았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 유아 전용 PC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셋째, 앞에서 살펴본, 연구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유아 전용 PC에 대한 디지털 네이티브의 9가지 욕구를 도출한다. 넷째,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이디어스케치를 진행하였으며, 디지털 네이티브의 욕구(Needs)를 반영한 유아 전용 PC에 대한 최종 디자인 시안을 결정한다. 이처럼 디지털 네이티브의 행동 특성과 태블릿 PC의 장점 및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 전용 PC에 대한 디지털 네이티브의 욕구(Needs) 9가지는 다음과 같다. 즉, 첫째, 디지털 네이티브는 기존 유아 전용 PC외에도 다양한 신제품이 개발되기를 바랄 것이다. 둘째, 디지털 네이티브는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PC를 선호할 것이다. 셋째, 물리적인 키보드와 마우스 장치가 없이 화면에 나타나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태블릿 PC 사용에도 능숙할 것이다. 넷째, 디지털 네이티브는 다양한 일을 동치에 처리하기를 원할 것이다. 다섯째, 화면 위에 바로 입력 가능한 직관적인 UI를 선호할 것이다. 여섯째, 개인이 직접 갖고 다니며 조작할 수 있게 설계된 개인용 PC가 개발되길 바랄 것이다. 일곱째, 유아 전용 PC의 화면이 크기를 바랄 것이다. 여덟째, 유아 전용 PC에 적합한 손잡이가 개발되기를 제안할 것이다. 아홉째, 컬러와 이미지는 태블릿 PC의 경우, 깔끔하고 심플한 컬러 이미지를 활용하기를 바랄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3D 렌더링으로 표현한 최종 결과물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전용 PC에 대한 디지털 네이티브의 욕구를 제안한 것이며, 그들의 특성에 맞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외 업사이클링(Upcycling) 제품 브랜드에 관한 현황 및 분석

        박헌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upcycling product brands to protect environment that is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issue in desig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upcycling product design. Korean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the biggest concern due to ultrafine dust, and accordingly there appears daily habit of checking dust levels and wearing a mask when going out. If environment can not be preserved and there is no nature, humans are not guarantee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ultimately, progress and survival. In the end, society can not bear long-term economic and social costs, as well as damage from ecosystem deterioration and biodiversity loss. Therefore, human beings should propose a design that does not hurt nature by studying more deeply the design, namely up-cycling product design which can protect and complement nature ecosyste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ase study and current situ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brands in terms of the upcycling product design considering environment, and in order to survive upcycling products in the market econom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new marketing strategy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 competitors, so the current status and importance was classified and analyzed by marketing mix(4P). As a result, the diversity of materials, the price of products, and processing, distribution and promotion show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problems of Korean upcycling products and the way to proceed in four directions. First, they must have diversity in securing materi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raise prices appropriately to maintain the market. Third, the technical growth of processing is required. Fourth, more active and diverse public relations activities should be pursued. The above-mentioned improvement measures are expected to help upcycling products in Korea to grow into more environment-friendly and systematic ones. 본 연구는 현재 디자인에서 가장 이슈화가 되고 있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업사이클링 제품 브랜드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국내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이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의 환경문제는 초미세먼지로 인해 최대의 관심사로 떠올랐고 매일 미세먼지 수치를 확인하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습관까지 만들었다. 환경이 보전되지 못하고 자연이 없다면 인간은 사회적, 경제적 발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진보와 생존을 보장받기 어렵다. 결국 사회는 장기적인 경제적, 사회적 비용 뿐 아니라 생태계 쇠퇴 및 생물다양성 손실에 따른 피해를 감당 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연의 생태계를 지키고 보완할 수 있는 디자인 즉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에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여 자연을 해치지 않는 디자인을 제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을 생각하는 업사이클링 제품 디자인에 대하여 국내외 브랜드를 통하여 사례조사와 현황분석을 하였으며, 시장경제에서 업사이클링 제품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다른 경쟁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현 실태와 중요성을 마케팅믹스(4P)에 의거하여 분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료의 다양성과 제품의 가격 그리고 가공 및 유통, 촉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업사이클링 제품 브랜드의 문제점과 나아갈 바를 네 가지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재료 확보에 다양성을 가져야 한다. 둘째, 시장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가격 향상이 필요하다. 셋째, 가공과정의 기술 성장이 필요하다. 넷째,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홍보 활동을 추진해야한다. 이상의 개선 방안으로 인해 우리나라 업사이클링 제품이 더욱더 친환경적이고 체계적인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에로틱 이미지를 활용한 의자디자인 제안연구

        박헌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1

        The interest in human sex has been consistently high in the past and present. Erotic images that stimulate human nature are used in many fields such as products, advertising, TV, marketing, and so on. However, the expression of sex, which is too straightforward, is still considered obscene or vulgar. However, the expression of sex is a good way to attract people, and it is appropriate for current trends which no longer emphasize practicality but originality and fun. It is also a way to stimulate people's needs to purchase goods and is sufficient to arouse curiosity. This study classified the constituent types of eroticism and chair design through major books, domestic journals, preliminary research and internet, and studied metaphor. In addition, it surveyed erotic chair design types applying such metaphor types as Simile, Metonymy, and Metaphor, and analyzed the erotic chair designs that people wanted most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As a result of analyzing people's favorite erotic chair design, the erotic design is organic and the material is plastic. The most preferred erotic chair design is a Metonymy type that focuses on act, and the least preferred erotic chair design is a Simile type that directly expresses as it is. Therefore, they prefer a Metonymy type of erotic chair design which is indirect, soft and interesting, rather than a direct, explicit, and burdensome Simile type of erotic chair desig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erotic chair desig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is study proposed erotic chair design applying Metonymy. In other words, the act of sharing love between men and women was defined as a motif, and the line was extracted from the form, and the erotic chair design was developed through the line. 인간의 성(性)에 대한 관심은 과거나 현재나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의 본성을 자극하는 에로틱 이미지는 제품이나 광고, TV,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너무 직설적인 성(性)에 관한 표현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외설적이거나 천박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현 실정이다. 그렇지만 단언컨대 성에 대한 표현은 여전히 사람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좋은 방법이고 예전의 실용성을 중시하던 시대에서 독창성과 재미를 중시하는 현 시대의 트렌드에 적합한 표현이다. 이는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상품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방법이며 호기심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하다. 본 연구는 전공서적, 국내 학술지, 선행조사와 인터넷 등을 통하여 에로티시즘과 의자 디자인의 구성 요소별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메타포를 연구하였다. 또한 메타포 유형 즉 직유(Simile), 환유(Metonymy), 은유(Metaphor)를 적용한 에로틱 의자디자인 형태 분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에로틱 의자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에로틱 의자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에로틱 디자인의 형태는 유기적이며 소재는 플라스틱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에로틱 의자디자인은 행위에 초점을 적용한 환유 유형의 형태이며 가장 선호하지 않는 에로틱 의자디자인은 사실 그대로 표현한 직유 유형의 형태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접적이고 노골적이며 부담스러운 직유 유형의 에로틱 의자디자인보다는 간접적이고 부드럽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환유 유형의 에로틱 의자디자인을 선호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에로틱 의자디자인 분석과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환유를 적용한 에로틱 의자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즉 남녀 간에 사랑을 나누는 행위를 모티브로 정하였고 그 형태에서 라인을 추출하였으며, 라인을 통하여 에로틱 의자디자인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에로틱 이미지를 활용한 골프 티 (Golf Tee) 디지인 개발에 관한 연구

        박헌균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7 No.-

        현대의 디자인은 보다 자극적이고 보다 독특한 형태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나 인간내면을 가장 자극하는 성(性)을 모티브로 하는 디자인은 그 효과가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性)을 매개로 한 디자인은 광고, TV, 영화, 인터넷 등 여러 곳에서 다양하게 상품화되고 일반화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극적인 형태나 이미지는 때론 노골적이고 천박하며 외설스럽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회에서 외면당할 때도 종종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적 표현이 가미된 디자인은 여전히 사람들의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특히나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자에게는 상품 구매의 욕구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중요한 디자인 요소인 에로틱 디자인 중에서 재료로 느끼는 에로틱 디자인과 형태로 느끼는 에로틱 디자인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또한 직접적 형태와 간접적 형태, 상징적 형태의 에로틱 디자인을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에로틱 디자인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제품을 선정하고 재료와 형태를 가미한 골프 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Contemporary design has tendency toward more stimulating and unusual form. Particularly, design based on sexual motifs is highly effective because sex is most provocative to human nature. For that reason, sex-based design is widely used in many places like advertisement, TV, movies, and internet. However, sometimes these provocative forms and images receive criticism for being explicit and vulgar, causing the society to turn its back on them. Nonetheless, design with sexual elements is still an important tool to bring about interest and attention form people and make people want to purchase the products. This study looked into two types of erotic design -one based on materials and another forms. Also, by distinguishing direct forms from the indirect and symbolic,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Finally, the study included selection of the most effective product for erotic design and suggestion for Golf Tee design that integrates material and form.

      • KCI등재

        박람회 상품 디스플레이의 실태 분석 - 베이비페어를 중심으로 -

        박헌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9 No.56

        Fair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especially a baby fair is on a steep rise. However, since two years before, the fair revenue has been gradually falling down for many reasons, e.g., declining birthrate, recession and frequent number of fairs. In order for fair participants to improve the revenue, this study suggests better product quality and reasonable price along with how to display product at fair. Firs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urrent baby fair circumstance and fair product display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fair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audience was also investigated to find out display components, preference and influence of display over purchase intent. As a result, the most preferred display method among respondents was a single brand display . On the other hand 8 display factor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differences of respondents in those factors. Finally, it was found out that display factors affect purchase intent. Negative display methods that may reduce the purchase intent are displaying many different products all together, followed by on the front of the booth, on the stage, on the shelf, on the hanger, on the steel net and a single product display. Hopefully these research findings are helpful for fair participants' sales increase, and visitors' reasonable viewing and purchase decision. 우리나라의 박람회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베이비페어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렇듯 활발하게 박람회는 개최되고 있지만 참가업체 관계자들은 매출이 2년 전부터 서서히 하락하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로는 출산율 저하, 경기침체, 잦은 박람회 개최 등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참가업체들이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제품 품질 향상, 합리적인 가격과 더불어 상품 디스플레이의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페어 상품 디스플레이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베이비페어의 현 실태와 박람회 상품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참가업체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현재 베이비페어의 실정과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디스플레이 구성요인과 선호도, 디스플레이와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설문 응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단일 브랜드로 진열하는 방법이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요인으로 8가지의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요인들에 관한 응답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들이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관람객들의 구매의향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방법은 판매대에 여러 상품을 같이 진열, 부스 앞면 진열, 스테이지 진열, 선반 진열, 행거 진열, 철망끈 진열, 판매대에 단일 상품 진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참가업체들의 매출 향상과 관람객들의 합리적인 관람뿐만 아니라 구매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소형 가전제품 두유기 디자인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박헌균,박화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d develop a soybean milk maker equipped with harmony and unity with living space. When the recent trend at interior design and changing aspect in household appliances are examined, it is found out that harmony with living space has been more considered at electronic products as times go by. Actually, large sized household appliances are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interior decoration coordinate. Among them, a refrigerator and an air conditioner are told to be the typical cases for it. The data about the result from the precedent study related to this was reviewed and analyzed. On the other hand, from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small sized household appliances, soybean milk makers produced in 2013 and 2014,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m couldn’t be escaped from the white goods period (which is between 1960s and 1970s) and also it was pointed out that they have the problems to be designed independently, ignoring the trend flow of recent interior decoration because not only the basic interior elements for floor, wall and ceiling, main furniture and large size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small props are included to complete the strategy for interior decoration coordinate, and the same small sized household appliances are also included from the aspect of size. Therefore, this study points out actual situations of the small sized household appliance, the soybean milk maker and also draws the following result. Consequently, in order to complete the strategy for interior decoration coordinate, this study signifies that the trend flow of interior decoration in 2014 should be understood even in the small sized household appliance, the soybean milk maker, and new soybean milk maker equipped with this should be suggested and developed accordingly.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공간과의 조화성 및 통일성을 갖춘 두유기 제품을 제안하고 개발하는 데 있다. 최근 실내장식(interior design) 추세(Trend)와 가전제품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전자제품은 갈수록 주거공간과의 조화성을 고려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실제로 대형가전제품은 실내장식 코디네이트 전략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중 냉장고와 에어컨이 이에 대한 대표적인 전자제품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는 연도별 냉장고의 추세와 실내장식 추세간의 연관성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자료 검토 및 분석을 실행하고자 한다. 한편, 2013년~2014년 소형가전제품 두유기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백색가전 시대(1960년~1970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하며, 최근 실내장식 추세(Trend)의 흐름을 무시하고 독립적으로 디자인되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한다. 왜냐하면, 실내장식 코디네이트(Coordinate) 전략을 완성하기 위해선 소품이 포함되며, 규모 측면에서 같은 소형가전제품도 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형가전제품 두유기의 실태를 지적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한다.

      • KCI등재

        Fundamental needs를 활용한 블랙박스 디자인 컨셉 및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박헌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4

        A vehicle black box is an image device equipped with GPS and impact sensors, which records, collects and manages vehicle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Such vehicle black box has the advantages of analyzing the cause of any unexpected accident and receiving more accurate and objective data. Currently, the first-generation black boxes which only saved the image of impact have been replaced with products conta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consumers expect that more stable and reliable black boxes with lower price, better performance and excellent design will be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current conditions through sample analysis and keywords extraction for black boxes, and identifies users’ needs and idea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And then, through the paraprofessional group study, it classifies them in the aspects of design, sight-securing and vehicle interior, and then identifies ideas through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With analysis and idea generated from such processes, it creates and applies the optimum design concept by arranging similar and common factors, selects the design concept through the process of suggestion and selection of design samples, and finally presents the mock-up as a final result through the process of idea development and embodiment. In conclusion, it identified the fundamental needs of users by adopt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t the same time, and created and embodied the design concept, and developed the optimum black box through evaluation and review. It attempted to maximize more aesthetic and formative elemen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products, by applying ideas and users’ needs generat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to the design process. This study expects that it will become a basis for market entry and growth of client businesses. 차량용 블랙박스는 GPS와 충격센서 등이 장착된 차량용 영상장치로써, 차량의 정보 및 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수집하고 관리한다. 이러한 차량용 블랙박스는 돌발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원인을 다시 분석하여, 더욱 정확하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블랙박스는 충격 당시 영상만을 저장하는 1세대 제품에서 다양한 기술을 접목한 제품이 대체되고 발전해 나가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기존 제품대비 제품가격과 성능이 좋고, 디자인이 뛰어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블랙박스가 개발되기를 바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대한 사용자 니즈 파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사용자 니즈와 아이디어를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한 저가용 고성능 디자인을 제시한다. 그리고 결과물로 Mock-Up을 제안한다.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나타나는 사용자 니즈는 2가지 방법을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 시 적용하였다. 전자는 블랙박스 제품 현황을 분석하여 사용자 니즈를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후자는 앞에서 다룬 방법에서의 잠재적 요구를 발견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 니즈 수집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준전문가 집단 연구 조사를 시행한다. 결론적으로, 2가지 분석을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핵심적인 사용자 니즈를 파악하고, 디자인 컨셉 추출 및 구체화하여, 평가/리뷰를 거쳐 최적의 블랙박스 제품을 개발하였다.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해 추출된 아이디어와 사용자 니즈를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기존 제품보다 심미적, 조형적 요소를 극대화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클라이언트 기업의 시장 진입과 성장에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지감각을 활용한 이동용 Storage Kit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헌균(Heon Kyu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4 No.2

        The size of the disabled population, including the visually impaired, is on a steady incline as pollution and other man-made disasters affect people despite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industrialization. There are approximately over 200 million blind people around the world. 2 million or so people go blind annually.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he number of visually impaired people, children and adults alike, is consistently growing. Despite the growing size of the blind population, however, there is an inadequacy of policies and programs designed for the welfare of the bli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products specifically catering to the needs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and improve many problems and troubles blind children experience while using products designed for non-blind children.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storage kits and other storage systems that many children use, by interviewing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The result is the design for a new storage kit that stimulates visually impaired children`s tactile and auditory senses. Although this research focused only on disabled individuals, there are many other groups which have been generally ignored in terms of products suited specifically for their needs. Hopefully this research might inspire others to develop products designed specifically for other overlooked groups with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