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충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3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re has been a boom of domestic area studies whose domain of analysis corresponds to various administrative units of Korean society. This article aims at critically examining Youngnamhak(Youngnam Studies) conducted by the Research Institute for Youngnam Culture(RIYC) in the context of the glocal cultural landscape of globalization and the theoretical, methodological, epistemological issues polemic in area studies in general. For this, it analyzes 78 volumes of book published by RIYC, major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RIYC, and 437 pieces of article published in Youngnamhak, the academic journal issued by RIYC. And then it illuminat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analysis in terms of spaciality, holism, and epistemology of area studies in general.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ly, Yougnam area studies conducted by RIYC has more or less failed in properly representing the lives of people in Youngnam area due to its lack of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oncerns on the changing spatiality of area studi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econdly, Youngnam area studies conducted by RIYC have represented only a few facets of Youngnam culture in academically biased ways because it has not actually practiced the interdisciplinary and holistic approaches that RIYC proclaimed at the time of its establishment twenty years ago. Finally, due to its lack of concerns on the epistemological issues of knowledge production in area studies and its rather exclusive emphasis on insiders’ point of view, RIYC’s Youngnam area studies have been intellectually very parochial, seriously isolated from the global academic and practical issues. Based on this critical review, this article tries to offer an intellectual jumping board for a new momentum for the development of RIYC soon celebrating its 20th aniversary. 최근 한국 사회에서 다양한 수준의 행정단위를 공간적 매개로 하는 ‘자문화연구’ 지역학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역학 열풍의 시기에 수많은 자문화연구 지역학 분야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온 영남문화연구원의 영남학을 지구화시대의 글로컬 문화지형과 지역학의 이론적·방법론적·인식론적 쟁점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조명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남문화연구원 설립 후 약 20년 동안 간행된 78편의 저역서, 연구원이 수행해온 연구 프로젝트, 그리고 연구원의 학술지인 『영남학』 70호까지 게재된 논문 437편을 분석한다. 그리고 그 분석결과를 지역학 일반의 공간성, 총체성, 인식론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영남문화연구원의 영남학은 지역학의 공간성과 그것을 둘러싼 이론적·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의 결여로 인해, 지구화시대를 살아가는 영남인들의 글로컬한 삶을 입체적으로 담아내는 데 전반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둘째, 연구원의 개원 당시 지향점으로 삼았던 학제적·총체적 접근을 실제 연구활동을 통해 구현하지 못함으로써 영남문화를 매우 파편적이고 편향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성이 두드러진다. 셋째, 지역학적 지식생산이 수반하는 인식론적 문제에 대한 고민의 부재로 영남문화를 지나치게 내부자적인 관점에서 재현해왔고, 그 결과 글로벌 수준의 학문적·실천적 쟁점과 연결되지 못한 채 매우 국지적이고 고립된 문제의식에 갇혀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러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영남문화연구원의 지역학적 지식생산 이면에 숨겨져 있는 잘못된 이론적 가정과 방법론적·인식론적 관행들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개원 20주년을 앞두고 있는 영남문화연구원이 지역학 연구소로서 새로운 정체성과 학문적·실천적 비전을 구축하고 제2의 도약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지적 발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G/T 3.5톤급 레저보트의 선저 공기공급 유무에 따른 저항특성 비교 연구
박충환,진송한,장동원,심상목,진종룡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춘계
고속선의 선저부에 공기공급을 유도하면 접수면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경계층 유동변화와 침수표면적 감소에 따른 마찰저항의 감소로 소요마력 절감과 연비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저 접수면에 공기공급을 유도하여 미소기포 및 공기막 형성으로 경계층 유동변화와 침수표면적 감소에 따른 저항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선저 공기공급 유무에 따른 G/T 3.5톤급 레저보트 동일선형을 대상으로 해상모형시험을 통한 저항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Guanxi, Modernity and Primordializing China
박충환 대한중국학회 2014 중국학 Vol.48 No.-
이 글은 중국적 사회관계와 꽌시(關係)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서구적 모더니티의 전도된 자기이미지에 오염되어 상당한 정도의 허구적 지식을 양산해 왔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막스 베버(Max Weber)와 페이샤오통(費孝通)을 위시한 일련의 학자들이 남긴 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고함으로써, 중국적 사회관계에 관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그것을 재현하는 이론적 틀과 수사학적 전략의 확연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특정한 학문적 담론의 구체적 내용에서 드러나는 분명한 불연속성에도 불구하고 그 근본적인 서사구조는 은밀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인류학자 아담 쿠퍼(Adam Kuper)의 ‘변환’(transformation) 개념에 입각해서, 그러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생산되고 재생산되는 데 작동하는 논리적‧인식론적 기제를 파악한다. 이러한 일련의 비판적 분석과 재고를 통해 중국적 사회관계에 관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중국 내외의 정치경제적, 역사적, 지적 환경과 의미심장하게 연동되어 중대한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중국의 시원화’(始原化, primordializing China)라는 개념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중국에 관한 허구적 지식이 현대화 및 세계화 담론과 맞물려 학자들의 중국연구에 심대한 인식론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의 방향을 모색한다.
A comparison study on the deck house shape of high speed planing crafts for air resistance reduction
박충환,박희승,장호윤,임남균 대한조선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 Vol.6 No.4
Planing crafts were specifically designed to achieve relatively high speeds on the water. When a planingcraft is running at high speed, dynamic pressure on the bottom makes the boat ris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isreduces the area of the sinking surface of the boat to increase air resistance. Air resistance means the resistance thatoccurs when the hull and deck house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come in contact with the air current. In this paper, wecarried out a CFD numerical analysis to find optimal deck houses that decreased air-resistance on the water whenplaning crafts are running at high speed. We finally developed the deck house shape of high-speed planing crafts thatoptimally decreased air resistance.
박충환,박희동,이창균,임봉수 大田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2002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Vol.6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erformance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in rural area.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was 7.6㎎/1 BOD. 10.3㎎/1 COD, 4.7㎎/1 SS, 19.140㎎/1 TN, and 1,631㎎/1 TP, within discharge quality standard. The removal efficiency rate of BOD, COD and SS was good as 89.8%. 78.5% and 90.1%, respectively. But that of TN, TP was very low as 25.0% and 31.4% respectvely. Average sewage flow rate was investigated by about 1.1㎥/d per household, 398ℓ pcd. In rainfall period, the removal efficiency rate of BOD. TN and TP was very low as 15%, 22% and 28%, respectively because of inflow and infiltration into sewer. In flowing concentration of sewage was diluted as rain is inserted into sewer and submerged facility was not operated at normal cond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sewer will have to repair and hydraulic design for facility will have to be check.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systematical, administrative measur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혁개방 후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과 ‘항구적인 본원적 축적’
박충환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1 No.-
Focusing on the ambivalent cultural construction of China’s rural-urban relat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rural-urban dual structure and inequality in post-Reform China. First of all, this article captures the transformations and continuities of politico-economic and cultural dimensions of rural-urban relations in post-Reform China, and based on which it demonstrates that the ambivalent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urban relations and the rural-urban dual structure significantly shape China’s market-socialist accumulation, power relations, and Chinese people’s identity politics today. The research findings in this article ar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Firstly, despite the radical reconfiguration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dimension of rural-urban relations since the 1978 reform, the problem of rural-urban dual structure and severe inequality still exist in China today. Secondly, the ambivalent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urban relations and the representational flexibility exerted through it work as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mechanism that keeps reproducing the rural-urban dual structure in post-Reform China. Thirdly,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ural-urban relations and the rural-urban dual structure intimately geared with the former constitute the particular conditions that allow the permanent primitive accumulation in China today. Finally, the primitive accumulation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massive values from the Chinese peasant population will continue as long as the rural-urban dual structure persists in China. 본고는 중국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에서 발견되는 양가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혁개방 후 4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도농이원구조의 정치경제적·문화적 원리를 조명하는 연구이다. 본고의 요점은 크게 네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개혁개방 후 발생한 도농관계의 급진적인 재구성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도농이원구조와 도농불평등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둘째,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을 관통하는 양가성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도농관계 재현의 유연성이 중국의 도농이원구조를 재생산하는 문화적·이데올로기적 기제로 작용한다. 셋째, 도농관계의 문화적 구성 그리고 이와 연동되어 재생산되고 있는 도농이원구조가 중국에서 “항구적인 본원적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이러한 중국 특색의 도농이원구조가 해체되지 않는 한 농촌부문으로부터의 대규모 가치전유를 기반으로 한 시장사회주의 중국의 본원적 축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