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uanxi, Modernity and Primordializing China

        박충환 대한중국학회 2014 중국학 Vol.48 No.-

        이 글은 중국적 사회관계와 꽌시(關係)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서구적 모더니티의 전도된 자기이미지에 오염되어 상당한 정도의 허구적 지식을 양산해 왔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막스 베버(Max Weber)와 페이샤오통(費孝通)을 위시한 일련의 학자들이 남긴 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고함으로써, 중국적 사회관계에 관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그것을 재현하는 이론적 틀과 수사학적 전략의 확연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특정한 학문적 담론의 구체적 내용에서 드러나는 분명한 불연속성에도 불구하고 그 근본적인 서사구조는 은밀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인류학자 아담 쿠퍼(Adam Kuper)의 ‘변환’(transformation) 개념에 입각해서, 그러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생산되고 재생산되는 데 작동하는 논리적‧인식론적 기제를 파악한다. 이러한 일련의 비판적 분석과 재고를 통해 중국적 사회관계에 관한 허구적 지식체계가 중국 내외의 정치경제적, 역사적, 지적 환경과 의미심장하게 연동되어 중대한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중국의 시원화’(始原化, primordializing China)라는 개념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중국에 관한 허구적 지식이 현대화 및 세계화 담론과 맞물려 학자들의 중국연구에 심대한 인식론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드러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의 방향을 모색한다.

      • G/T 3.5톤급 레저보트의 선저 공기공급 유무에 따른 저항특성 비교 연구

        박충환,진송한,장동원,심상목,진종룡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춘계

        고속선의 선저부에 공기공급을 유도하면 접수면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어 경계층 유동변화와 침수표면적 감소에 따른 마찰저항의 감소로 소요마력 절감과 연비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저 접수면에 공기공급을 유도하여 미소기포 및 공기막 형성으로 경계층 유동변화와 침수표면적 감소에 따른 저항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선저 공기공급 유무에 따른 G/T 3.5톤급 레저보트 동일선형을 대상으로 해상모형시험을 통한 저항특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 KCI등재

        선저 스텝개수에 따른 고속 활주형선의 저항특성 비교

        박충환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8

        The planing craft is designed specifically to achieve comparatively high spe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n general, the stepped hull craft has effect improvement in speed and fuel-efficiency because of the reduction of total resistance by a small wetted surface area without corresponding stepped hull craft. In this paper, the high speed stepped hull crafts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bottom step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resistance performance using at-sea model-test method. In conclusion, the stepped hull craft with twin-step was proved to be effective to reduce the total resistance. 활주형선은 고속 운항시 선저에 동적압력을 발생시켜 선체를 부상시킴으로서 저항이 감소하게 되어 고속의 항주가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선저에 스텝을 적용한 선형은 일체형 활주형선에 비하여 고속 주행시 선저 공기공급에 따른 접수면 감소로 인하여 전체저항 감소 에 따른 속도향상과 연비절감 효과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선형시험이 가능한 실 해역모형시험을 이용하여 선저 스텝개수에 따른 고속 Stepped Hull 선형의 저항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2개의 스텝을 가지는 선형이 최소저항 선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Spray Strip부착에 따른 고속 활주형선 저항특성 연구

        박충환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10

        The planing craft is designed specifically to achieve comparatively high spe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Most of planing crafts have installed the spray strip in decreasing of wave impaction and improving motion erformance of rolling and pitching et al. It is known to reduce the spray and frictional resistance by the effect of lift and improvement of wave profile in high speed. In this paper, the high speed planing crafts with & without spray strip in bottom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resistance performance by model-test. In conclusion, the high speed planing crafts with spray strip in bottom was proved to effect of the resistance decrement of 3.0~5.0%. 활주형선이 수면 위를 활주하여 고속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특별하게 설계되어 진다. 대부분의 활주형선은 충격하중을 줄이고 횡요, 종요 등의 운동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스프레이 스트립을 설치하며, 고속에서는 파형개선과 양력발생으로 스프레이저항과 마찰저항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형시험을 통하여 스프레이 스트립의 부착 유무에 따른 고속 활주형선의 저항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험결과, 스프레이 스트립 부착 고속 활주형선이 미 부착 선형에 비해서 3.0~5.0%의 저항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농촌지역 오수처리시설의 성능평가 및 개선방안

        박충환,박희동,이창균,임봉수 大田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2002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Vol.6 N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erformance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in rural area. Average effluent concentration was 7.6㎎/1 BOD. 10.3㎎/1 COD, 4.7㎎/1 SS, 19.140㎎/1 TN, and 1,631㎎/1 TP, within discharge quality standard. The removal efficiency rate of BOD, COD and SS was good as 89.8%. 78.5% and 90.1%, respectively. But that of TN, TP was very low as 25.0% and 31.4% respectvely. Average sewage flow rate was investigated by about 1.1㎥/d per household, 398ℓ pcd. In rainfall period, the removal efficiency rate of BOD. TN and TP was very low as 15%, 22% and 28%, respectively because of inflow and infiltration into sewer. In flowing concentration of sewage was diluted as rain is inserted into sewer and submerged facility was not operated at normal condi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sewer will have to repair and hydraulic design for facility will have to be check.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systematical, administrative measures for responsible management.

      • KCI등재

        A comparison study on the deck house shape of high speed planing crafts for air resistance reduction

        박충환,박희승,장호윤,임남균 대한조선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 Vol.6 No.4

        Planing crafts were specifically designed to achieve relatively high speeds on the water. When a planingcraft is running at high speed, dynamic pressure on the bottom makes the boat rise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isreduces the area of the sinking surface of the boat to increase air resistance. Air resistance means the resistance thatoccurs when the hull and deck house over the surface of the water come in contact with the air current. In this paper, wecarried out a CFD numerical analysis to find optimal deck houses that decreased air-resistance on the water whenplaning crafts are running at high speed. We finally developed the deck house shape of high-speed planing crafts thatoptimally decreased air resistance.

      • KCI등재

        南冥 曺植의 家族觀과 公共性의 아포리아

        박충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4

        This article is a rudimentary study of a great Neo-Confucian scholar, Nammyong Jo Shik (南冥 曺植, 1501-1572) in the mid-Choson Dynasty, focusing on his notion of family and its implications for his socio-political thoughts. Nammyong’s socio-political thoughts converge on a Neo-Confucian concept, ‘self-cultivation and ruling people’(修己治人). This research first captures Nammyong’s notion of family in the social-historical context of the mid-Choson Dynasty, and then relates it with his socio-political thoughts in terms of the aporia of family and publicity to fin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Nammyong’s thoughts in the modern soc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Nammyong’s notion of family registers an obvious duality as a result of the social-historical context of his age in which the cultural legacy of the bilateral extended family in the previous Goryeo Dynasty was complexly mixed with the new culture of the Neo-Confucian patriarchical family in the mid-Choson Dynasty. Secondly, from Nammyong’s socio-political thoughts is induced a self-family-state continuum, based on which one may imagine ‘holistic publicity’ where the aporia of family and publicity is to be logically resolved. Finally, despite the difficulty of applying Nammyong’s socio-political thoughts in the reality of actual politics due to his overemphasis on the realm of self-cultivation and his theoretical ignorance of the issue of family, it may provide a useful intellectual window for envisioning a better societ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article ends up with a suggestion that we need further systematic comparative studies of Nammyong’s political thoughts and Western political theories, focusing on the issue of family and publicity. 이 논문은 南冥 曺植의 가족관과 그 사회정치적 함의를 조명하는 연구이다. 그동안 학계는 남명의 가족관은 물론이고, 그것이 그의 학문사상 및 정치적 실천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여오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서 먼저 남명 조식의 가족적 삶과 가족관을 조선중기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에서 포착한다. 그 다음 남명의 가족관과 그의 사상적·정치적 삶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과 그것이 갖는 현재적 함의를 ‘가족과 공공성의 아포리아’라는 문제틀 속에서 조명한다. 이 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실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남명의 가족관은 고려시대 양변적 방계확대가족 문화의 잔재와 조선의 유교적 가부장제가족 문화가 혼재하는 조선중기 사회의 역사적 맥락으로 인해 이중적이고 양가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둘째, 修己治人으로 압축되는 남명의 정치사상에서 가족의 편협한 이해와 그것을 초월한 수준의 공공성 사이에 존재하는 본질적 길항관계가 논리적으로 해소되는 개인-가족-국가 연속체가 도출되고, 이를 통해 일종의 ‘총체적 공공성’을 상상해 볼 수 있다. 셋째, 남명의 정치사상은 修己에 대한 지나친 강조, 그리고 인류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가족과 공공성의 난제에 대한 이론적 무관심으로 인해, 현실정치의 장에 적용되어 개혁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 논문은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남명의 정치사상과 서구의 정치사상을 심도 있게 비교분석해보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제언, 그리고 이러한 지적 탐구가 가족과 국가의 급격한 해체와 변화를 예고하는 제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보다 바람직한 사회의 비전을 모색하는데 의미심장한 지적 상상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끝을 맺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