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의배분이 표적과 방해자극 간의 반복효과에 영향을 준다

        박창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6 No.3

        순간 노출된 자극판에서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옆에 있을 때, 표적의 정확 식별율이 떨어지는 ‘부적 반복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박창호(2013)는 주의창을 이용해 표적이 제시될 몇 위치를 미리 지정할 때, 주의창 밖의 방해자극이 표적과 가까이 있을 때에는 정적 반복효과를, 멀리 있을 때에는 부적 반복효과를 낳는 경향을 보고했다. 본연구는 이런 결과가 주의창에 대한 주의배분을 조작할 때에도 관찰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운데 두 주의창에서 표적이 제시될 확률이 같을 때(실험 1) 표적의 식별에 방해자극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두 주의창에 대한 주의배분이 편중되는 상황에서(실험 2) 표적의 제시 확률이 낮은 위치에 표적이 제시될 때, 표적과 가까이 있는 방해자극은 정적 반복효과를, 멀리 있는 방해자극은 부적 반복효과를 내었다. 이런 결과는 부적 반복효과에 대한 기존의 여러 가설로 잘 설명되지 않으며, 순간 노출되는 표적과 방해자극 간에 발생하는 주의변동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Negative repetition effects (NREs) have been reported that the accuracy of target identification is lowered when a target is flanked by the same distractor than when by alternative distractor in briefly exposed displays. Park (2013) used attention windows to indicate the positions of probable targets, and observed positive repetition effects (PREs) with distractors close to the target and NREs with distant distractor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bove results could be replicated when allocation of attention is varied among attention windows. In Experiment 1, when the probability of target presentation is the same between the two centered attention windows, repetition of the same distractor to the target had no effect in identifying the target. However, when allocation of attention is biased toward one of the two attention windows in Experiment 2, in regard to the target presented in the less probable position, the distractor close to the target produced PRE and the distant distractor produced NRE. This result is hard to be explained by various existing hypotheses, and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riously the issue of attention shift between the target and distractors.

      • KCI등재

        균일연결성과 보고과제 유형이 순간 노출된 형태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박창호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0 No.2

        The previous studies (Park, 2001, 2004a), using identification task of brief displays, did not obtain evidence supporting the hypothesis of uniform connectedness (i.e., UC) that uniformly connected forms are processed as a single unit. Negative repetition effect (i.e., NRE) which was observed in these studies and led to this conclusion might be caused by easy namability or good continuation of the alternative displays. NRE means that target detection rates are lowered in the repetitive displays than in the alternative displays.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UC hypothesis. In experiment 1, where the repetitive displays were 'M' or 'W' in shape for ease of naming, no NRE was observed. In experiment 2, where good continuation between two parts was controlled among the displays, there was also no NRE. And no UC effect was observed in both experiments, that is, UC displays were not identified more accurately than disconnected displays. To test that these null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improper stimulus displays, Experiment 3 applied post-cueing forced-choice task to the same displays used in Experiment 2, and observed NRE but still no UC effect. This results indicated that UC had no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briefly exposed displays, irrespective of namability and good continuation, and the type of report task and its related attentional processing might have an affect on the mode of processing of the whole display. 순간 노출된 형태를 식별하는 과제를 사용한 선행 연구(박창호, 2001, 2004a)에서 균일하게 연결된 형태가 한 단위로 지각된다는 균일연결성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를 얻지 못하였다. 즉 자극판에서 서로 연결된 두 부분이 같은 모양(반복) 조건에서, 다른 모양(상대) 조건에 비해, 표적의 탐지율이 떨어졌다. 그러나 이 같은 부적 반복효과는, 상대 조건의 자극판에서 명명이 더 쉽거나 부분의 연결(연속)성이 더 좋았기 때문에 관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자극판의 두 부분이 같은 반복제시 자극판에 대한 명명이 더 쉽게 자극판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참가자로 하여금 자극판 전체를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좋은 연속성을 통제한 자극판을 만들고, 이에 대한 전체 보고를 요구하였는데, 역시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 모두에서 균일연결성의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처럼 아무 효과도 얻지 못한 것이 자극판 구성의 문제점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3은 실험 2와 같은 자극판에서 자극판을 순간 노출시킨 다음 후단서를 제시하여 그것이 가리키는 표적 형태의 정체만 보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부적 반복효과는 관찰되었으나 균일연결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순간 노출된 형태의 식별에 균일연결성의 효과가 없음을 시사하며, 보고과제가 유도하는 주의과정이 자극판의 처리 양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결론을 내린 다른 선행연구들과 관련하여 지각과제의 특성과 균일연결성의 기능을 논의하였다.

      • Langmuir Blodgett법에 의한 박막 제작에 미치는 효소농도, 압력 및 dipping 속도의 영향

        박창호,최재호,최정우 慶熙大學校 1996 論文集 Vol.25 No.-

        Bioelectronic device using ultrathin organic membranes can possibly replace silicon-based electronic device. In this study Langmuir-Blodgett (LB) method was used to make ultrathin lipid (viologen) membranes coated with an enzyme (acetyl cholinesterase). Higher enzyme concentration increased Z-type (hydrophillic moiety of the lipid faces toward the plate) LB membrane formation. Optimum surface pressure, upward and downward dipping speeds for LB membrane formation were 37 mN/㎠, 5㎝/min and 30㎝/min,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FEM을 이용한 Micro-Electromagnetic Clutch 토크와 응답시간해석

        박창호,김명구,이흥식,조종두,Park, Chang-Hao,Kim, Myoung-Gu,Lee, Heung-Shik,Cho, Chong-Du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여 소형전자기클러치(micro-electromagnetic clutch)에서 발생하는 마찰토크와 응답시간을 해석하였다. 소형전자기클러치의 설계변경과 최적화를 위하여 전자석클러치에서 자기장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달토크와 응답시간을 정확하게 예측 할 것이 요구된다. 해석을 위하여 전자기장 이론을 기반으로 소형전자기클러치의 축대칭 모델을 구성하고 실제 재료 물성치를 대입하여 토크와 응답시간을 해석하고 유한요소 해석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토크와 응답시간의 해석결과는 실험데이터와 거의 일치하다는 것을 통하여 해석적 방법으로 토크와 응답시간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s the torque and engaging time generated in a micro-electromagnetic clutch by using FEM. For the purpose of design change and optimization of the micro-electromagnetic clutch, the torque prediction is very important. We employ a mathematical approach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principle. For torque prediction, real material properties are substituted to the constructed axi-symmetric FEM model to obtain the analytical torque and engaging time. The predicted torque and engaging time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experiments to discuss the validity of torque and engaging time analysis. The analytical results agrees well with experimental data, therefore explaining the validity of the torque and engaging time predic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