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동산 이중매매가 과연 형사처벌의 대상인가?

        박찬걸(Park, Chan-Geol) 한국형사정책학회 2018 刑事政策 Vol.30 No.1

        Considering the basic premise that in case there are civil disputes occurring, it is right to resolve, in principle, them, in accordance with civil codes, but that if only such a method is judged invalid, criminal codes shall be applied exceptionally, protective steps for buyers sales and purchase prices are to be taken by improving such a civil case system. It is possible enough to prevent antisocial behaviors of real estate double contract, in advance, by revising the practice of real estate trade. Nevertheless, using the nation s penal power through the means of prohibition and oppression cannot be considered a valid policy. Especially in the case of statute nation which cannot accept the case law, taking the established precedents as an unchanged truth is extremely dangerous. In the statute nation like South Korea, it is indisputable that case law does not have binding force as the laws and regulations do. Taking it into account, the supreme court must play a role to resolutely revise a case law and improve its contradiction if such a case law is found to have no logical consistence or involve few penalties owing to the complemented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although such a case law has long been established. It needs to be noted that revising a case law can mean complementing such an institutional or policy system that was not established properly at that time the case law began to be amended. The criminal code association criticizes too much for the logical contradiction of the criteria to be given criminal punishment. Even the judicial body has the greater opinions in favor of such a situation. Given such a stern reality, the judicial body should never delay making a final judgment, considering whether such opinions must be limited by legally persuasive power, and possible social impacts incurred when such opinions are to be accepted. This is a matter to be overcom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he legislative body drafted the related laws and ordinances and the administrative body executes them.

      • KCI등재
      • KCI등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독립성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에 대한 검토

        박찬걸(Park Chan-Geol)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1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2020. 7. 15.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의 주된 목적이 과거에는 고위공직자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2020년 현재의 상황에서는 강력한 검찰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 동안 수많은 검찰개혁의 방안이 제시되어 실제로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찰개혁이 완수되기는커녕 오히려 갈수록 그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는 형국에 이르렀다. 특히 야심차게 도입된 특별검사제도는 그 한시적 기능과 대상의 한정성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말미암아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였고, 이는 보다 폭넓은 고위공직자범죄를 대상으로 상시적으로 수사를 할 수 있는 독립된 수사기관의 창설에 이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므로 현재의 상황에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여부에 대한 찬반 견해의 대립은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으로 치부될 것이므로, 향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논의로 초점이 맞추어질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수사처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이란 과연 구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는가? 그리고 수사처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하여 인적․물적 조직의 구성과 체계 전반을 관통해야 하는 이념은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의 해답으로서 본고는 수사처 운영의 필수적인 전제를 직무독립성과 정치적 중립성에서 찾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국회를 통과한 수사처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크게 ‘조직의 구성’부분과 ‘직무’부분으로 나누어 독립성 및 정치적 중립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 입각하여 검토함으로써 현재의 수사처가 과연 설립취지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해 봄과 동시에, 향후 운영과정에서 이에 보다 부합할 수 있는 세부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will take effect from July 15, 2020. In the present situation of 2020,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way that the main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was to fight against illegalities and corruption of high-ranking officials in the past, but it is now pushed ahead as part of strong reform of the prosecutors. Despite a number of plans for reform of the prosecutors had been suggested and actually enforced so far, reform of the prosecutors had not even come to close to accomplishment, and the necessity has come to the fore even more. Especially, the independent special prosecutor system which was adopted ambitiously repeated failur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emporary function, limitations on the subject etc., which led to the result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investigative agency capable of investigating a wide range of crimes by high-ranking officials on a permanent basis. For the reasons, conflict of pros and cons about establishment of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will be considered wasteful dispute in the present situation, so it is clear that the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reasonable operating plan of the agency in the future. Then, what does ‘reasonable operating plan’ for investigative agency here stand for concretely? And is it possible to bring in the ideology of constituting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of investigative agency and penetrating the overall system for rational operation of investigative agency?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this manuscript intends to find essential premise for the operation of investigative agency in the independence of duty and political neutrality. From now on, this manuscript will make a judgment how much the present investigative agency accord with the purpose of its establishment and suggest a detailed improvement plan for the process of future operation to make it more suitable to its objectives by dividing details of the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that passed through Parliament largely into organization and duty of the agency from the two perspectives of independence of duty and political neutrality.

      • KCI등재

        의료소년원의 운영현황과 발전방안

        박찬걸(Park, Chan-Geol) 한국형사정책학회 2017 刑事政策 Vol.29 No.3

        The main purpose of properly rendering individual treatment to antisocial juveniles might be to strengthen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protected juveniles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ve education. For this, the revised Juvenile Act in 2007 added juvenile medical facilities besides hospitals and sanitariums as the institutions for the Subparagraph 7 Disposition and revised Protected Juvenile Act in 2013 made clear the legal grounds for treatment of juveniles requiring medical, rehabilitation education. These came to provide both legality and justification for practices which used to have either ambiguous or no grounds in the existing law. But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still so many legal or institutional shortcomings in our society s path towards complete sorting out problems emerged while operating our country s medical youth training centers. Having that issue in mind, this article firstly looked at the current state of regulations and organizations related with medical youth training centers. And then the study mov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focused on foster care period, the state of foster completion, the state of transfer of juveniles requiring medical/rehabilitation treatment, the state by the handicap type, the state by age and gender. The study then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actual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 of newcomers,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of education. process and organization of concentrated education. Following the soli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medical youth training centers as such, the study sought to find futuristic methods for their development. For these, the study suggested several solutions by grouping; deletion of regulations related with treatment of hospitals and sanitariums , sorting out overcrowded accommodation, necessity for installing independent medical youth training centers, separate accommodation by the target and individual treatment. And the study concluded the discussion.

      • KCI등재

        소년사건 피해자의 인권 강화방안에 대한 검토 - 제20대 국회에 제출된 소년법 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

        박찬걸(Park Chan-Geol)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1

        최근의 소년법 개정에 대한 입법적 결단은 인색하기 그지 없다는 평가가 충분히 가능한데, 2007. 12. 21. 개정 이후 약 20여년 동안 타법개정 2건 이외에 비교적 단순한 일부개정 4건이라는 초라한 결과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또 하나 간과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쟁점이 존재하는데, 2000년대 접어 들어 날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피해자의 인권보호라는 측면이 소년법 개정에 있어서는 입법적 결실을 전혀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동안 소년법은 범죄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 중심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소년법의 규율대상이 비행소년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소년사건에 있어서의 피해자 보호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기본적인 명제라고 할 수 있는데, 소년심판절차 과정의 피해자를 형사소송절차 과정의 피해자와 달리 취급하는 것은 불합리한 측면도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난 제20대 국회에서 논의되었던 총 42건의 소년법 일부개정법률안 가운데 소년사건 피해자의 인권 강화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평가되는 의원안을 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한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과거에도 그러하였듯이 현재의 제21대 국회에서도 지난 제20대 국회에서 자동폐기된 법안의 상당수가 다시 상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소년보호사건에 있어서 피해자의 인권 강화방안과 소년형사사건에 있어서 피해자의 인권 강화방안을 서로 나누어 분석해 보기로 한다. Legislative decision for recent revision of the Juvenile Law is able be evaluated as too stingy, and partial revision of 4 relatively simple cases other than revision of 2 cases in other laws during the last 20 years after revision on December 21, 2007 represents such poor result. However, there exists an important issue we cannot overlook, which means that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victims that its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in the 2000s has continued to fail in bearing legislative fruition in the revision of the Juvenile Law. There has been a criticism that the Juvenile Law is regulated with priority given to assailants, not to the victims of crimes, and it is analyzed that the aforementioned is caused by the fact that object of regulation by the Juvenile Law are basically juvenile delinquents. However, protection of victims in juvenile cases is considered a basic proposition that cannot be disregarded, and we cannot deny that treating victims of juvenile inquiry and determination proceedings differently from the ones in criminal proceedings. In this regard, analyzing a bill which is evaluated as seeking a measure for strengthening human rights of the victims of juvenile cases out of total 42 bills (hereinafter ‘Bill proposed by ○○○’) for partial revision of the Juvenile Law discussed in the 20th Assembly is considered very meaningful. As it was in the pa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fair number of bills automatically scrapped in the 20th Assembly will be laid again to the 21st Assembly. Based on the critical mind, this manuscript aims to analyze measures for strengthening human rights of victims both in juvenile protection cases and juvenile criminal cases respectively.

      • KCI등재

        제20대 국회에 제출된 소년법 개정법률안에 대한 검토 : 제재강화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박찬걸(Park Chan-Geol)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2

        1958. 7. 24. 제정된 소년법은 그 동안 총 11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제20대 국회에서는 총 42건의 소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제출되어 이 가운데 단 1건만이 국회를 통과하였는데, 이 마저도 제67조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의 취지를 반영한 것에 불과하고, 나머지 41건의 법안은 모두 임기만료로 자동폐기되어 버렸다. 현행 소년법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은 입법의 영역으로 귀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최근 국회에 상정되고 있는 소년법 일부개정법률안의 제안배경, 내용, 기존 법령과의 차이, 다른 법령과의 관계 등을 파악하는 것은 우리나라 소년법 정책의현 주소와 미래를 음미해 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21대 국회의 임기가 이제 막 시작된 상황에서 제20대 국회에 계류하였던 총 42건의소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전수조사하여 구체적으로 재음미하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소년법 정책에 대한 큰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특정 범죄에 대한 소년법의 적용 배제, 촉법소년 상한연령의 하향 조정, 범죄소년 상한연령의 하향 조정, 사형 및 무기형 특례규정의 정비, 부정기형의 정비, 가석방 특례규정의 정비, 자격제한 특례규정의 정비 등을 중심으로 소년범에 대한 형사처벌의 강화와 관련된 개정안의 내용을 살펴 본 다음(Ⅱ), 구속영장제한적 발부 규정 삭제, 촉법소년에 대한 임시위탁영장 발부, 형사법원으로의 재이송사유 추가, 심리기일에 보호자의 필수적 소환 등을 중심으로 소년사법 처리절차의강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며(Ⅲ), 이후 소년원 송치기간의 연장, 사회봉사명령 부과연령의 하향조정, 수강명령 부과연령의 하향조정, 보호처분 병합의 추가, 우범소년의 범위 확대 등을 중심으로 한 보호처분의 강화와 관련된 검토(Ⅳ)를 차례대로 진행하기로 한다. Enacted on July 24, 1958, the Juvenile Act have went through 11 times of revision so far.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otal 42 cases of partially-revised legislative bill of the Juvenile Act were submitted and only 1 of the cases passed through Parliament, and the case was merely a reflection of the intent of the decision of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the Article 67, and the rest 41 bills were all discarded automatically due to the expiration.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a forum for understanding problems of current juvenile act and seeking an improvement lead toward the area of legislation, and among others,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contents of proposing a partially-revised legislative bill of the Juvenile Act that has recently been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difference with existing laws and relation to the other laws is considered the best way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and the future of our Juvenile Act. In this respect, reexamination of 42 cases of partially-revised legislative bill of the Juvenile Act which were pending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concretely by carrying out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in the situation when the term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has just begun is expected to be of a great help to understanding of the great flow of the relatively recent policy on the juvenile act. Thus, this thesis aims to examine contents of revised bill related to intensification of criminal penalty against juvenile delinquents focusing on the exclusion of application of the Juvenile Act to specific crimes, lowering of the age of juvenile offenders, improvement of exceptional cases for death penalty, life imprisonment, indeterminate sentence, conditional release, restrictions on qualification etc. and will make an analysis on the detail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juvenile jurisprudence procedure focusing on the deletion of limited issuance of arrest warrant, consigned issuance of temporary warrant against law-intruding juveniles, add of the reason for retransfer to the criminal court, shortening of the time of execution of the general prisons, and will continue examination related to enhancement of protective disposition giving priority to the extension of the term of sending to juvenile reformatory, downward adjustment of the age for imposition of social service order, imposition of order to attend a lecture, addition of protective disposition for concurrent crimes, expansion of the range of pre-delinquents etc.

      • KCI등재

        전기통신금융사기 관련 범죄의 가벌성 검토

        박찬걸 ( Park Chan-geol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3

        본고에서는 전기통신금융사기의 ‘처벌’에 초점을 맞추어, 일련의 범죄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불법성을 현행법의 규율체계 내에서 어떻게 다룰 것인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전기통신금융사기는 대체적으로 조직범죄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지만, 총책을 비롯한 대다수의 조직원이 점조직의 형태를 취하고 있어 일망타진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외수사기관과의 수사공조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그 어려움은 배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실무에서는 대포통장 등을 중심으로 한 접근매체의 유통행위 및 대포통장에서의 현금 인출행위에 방점을 두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사기이용계좌의 연결고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적용법조인 전자금융거래법 제49조 제4항 위반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통신금융사기에 있어서 대포통장의 명의인이 해당 통장의 유통행위가 정범의 범죄행위에 이용되리라는 점을 인식하거나 예견할 수 있었다면 사기죄에 대한 방조범의 죄책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현행 법체계에 의하면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제15조의2의 신설을 통하여 전기통신금융사기 목적의 정보·명령 입력행위를 별도의 독립된 범죄로 처벌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법적 성격과 구성요건적 해석을 시도해 본다. 마지막으로 전기통신금융사기의 피해보전에 미흡한 현재의 실정에 대한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이에 관여한 조직원들을 형법상 범죄단체조직등죄로 의율하여 범죄수익 은닉규제법상 중대범죄를 통한 규제를 할 필요성을 역설하며, 논의를 마무리하기로 한다. Telecommunications fraud occurring in Korea has continued to evolved up to now, and in spite of various efforts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it has emerged as a continued social problem as the scale of damage is growing rather than declining. Thus, this manuscript aims to consider how we can deal with illegality shown in the series of the process of crime within the scope of control system of the current law focusing on the ‘punishment’ against telecommunications fraud. Especially, most of telecommunications fraud assume the form of organized crimes, so it is difficult to wipe out such members as the majority of gang members take a point organization form and such difficulty has been doubled as cooperative investigation with overseas investigation agencies is not made smoothly. Considering the reality, hands-on workers carry out investigation placing a focal point on circulation of access media and cash withdrawal from a fake deposit bankbook focusing on the fake deposit bankbook.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necting links of bank account used for fraud and consider violation which is the Clause 4, Article 49 of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Act. It is also needed to consider the liability of an accessary to a crime if a holder of fake deposit bankbook in telecommunications fraud was able to recognize or predict that circulation of one’s bankbook can be used for crime of the chief criminal. Next, through enactment of Article 15-2 of the Telecommunication Damage Repayment Act, the current law punishes input of information·order for the purpose of telecommunications fraud, so this manuscript intends to attempt interpretation of the legal nature and constituent. Lastly, as part of improvements fo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at are considered insufficient for compensation of damage caused by telecommunications fraud, this manuscript will finish discussion by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punish members involved in such crimes under the crime of organization of a criminal group and control as a grave crime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Control of Concealment of Criminal Proceeds.

      • KCI등재

        성폭력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몇 가지 쟁점에 대한 검토

        박찬걸 ( Park Chan-geol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5 No.3

        성폭력범죄는 가해자에 대한 정책의 변화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다른 범죄와 달리 피해자에 대한 정책의 변화가 오히려 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정책의 변화는 숨어 있는 범죄를 양지의 세계로 안내하는 역할을 통하여 성폭력의 예방이라는 정책기조에 한층 더 충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동안 사회적 지위의 우위를 이용한 성범죄는 일반적인 성범죄에 비하여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해 절대적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피해자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과거 업무 또는 고용관계 등에 있는 여성들의 경우 성폭력 피해를 겪더라도 범죄 특성상 오히려 피해자가 수치심 등으로 인해 외부노출을 꺼려하여 범죄사실을 수사기관 등에 신고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상황이 비일비재 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성범죄 피해자들은 신고 이후 절차 진행 과정에서 개인 신상 공개, 사건과 관련 없는 피해자의 과거 이력추적, 피해자 가족에 대한 무분별한 신상털기, 피해사실의 반복적 진술, 음해성 인신공격, 동료나 주변인들의 차가운 시선 등으로 2차 피해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견가능한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피해사실의 신고 및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이를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한 제도적·입법적 보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국회에서는 올해 초촉발된 미투운동을 계기로 집중적으로 소위 미투운동 관련 법안을 다수의 소관위원회에 회부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성폭력에 대응하는 대표적인 법률이라고 할 수 있는 형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총 3개의 법률에 대한 개정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의 정비, 성폭력 재발방지 대책의 마련, 성폭력피해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이익 내용의 구체화, 소멸시효에 관한 특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 성폭력사건 은폐·축소죄의 신설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성폭력피해자의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최근의 논의에 대하여 검토해 보기로 한다. Sexual crime resorting to the advantage of social positions is extremely hard for the damaged to seek help publicly, compared with general sexual crime, since in the case of the former, perpetrators can exert absolute influences to the damaged. The damaged from sexual violence are apt to seriously suffer from the another serious damage. For example, they would have their private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course of the procedure after having reported their damages; their careers of the past related no to the case would be tracked down; their family information would be uncovered recklessly; the fact of the damage would be stated repetitively; and harmful character assassination and cold eyes from their friends or people around them might be given. The fear for another predictable damage such as this becomes the major factor to result in the interruption of reporting from the damaged and punishing perpetrators. Accordingly, it is prerequisite to complement institutional and legislative bills in order to prevent and overcome it. With numerous problems with the current system arising, the outcome should be drawn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ge to strengthen institutional systems necessary to prevent sexual violence and protect the damaged from sexual violence. At this, the National Assembly brought what’s called legislative bills on Me Too Campaign to numerous related committee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study will recent studies on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victims caused by Me Too Campaign, with the main focus on the revision bills on major legislations to respond to sexual violence: Criminal Law,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Prevention Act.

      • KCI등재

        경찰권과 검찰권의 조정을 통한 ‘국가수사청’ 설치에 대한 시론

        박찬걸 ( Park Chan-geol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8 비교형사법연구 Vol.20 No.1

        국가수사청의 핵심은 수사와 공소를 분리한 후 수사권을 갖는 전문적이고 독립적인 국가수사청을 설치하고, 검사와 사법경찰이 동 기관에 소속되어 검사는 수사지휘를, 사법경찰은 수사를 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수사기관에서 검사와 사법경찰관리가 함께 직무를 수행하면서 검사는 수사지휘를, 사법경찰은 수사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수사기관과 별개로 수사청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검찰과 사법경찰로 양분되고 있는 2개의 수사기관을 하나로 통합하여 검찰청이나 경찰청과 분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국가수사청을 신설하여 수사검사와 사법경찰이 함께 근무하면서 수사권을 전담하고, 검찰청은 공소권을 담당하며, 경찰청은 범죄예방과 질서유지 등 행정경찰작용만을 담당하는 것이다. 국가수사청은 검찰과 경찰의 권한과 조직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분리해야 할 것은 분리하고, 통합해야 할 것은 통합함으로써 국가의 형사사법작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이 기존의 특별 수사기구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형사사법의 기본구조가 규문주의에서 탄핵주의로 변화되어 소추권과 심판권을 분리한 것과 동일선상에서 검찰사법에 대하여도 검찰이 독점하는 수사권과 공소권을 분리할 필요성이 인정된다. 소추하는 자가 심판하면 그 심판은 소추하는 자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은 수사와 공소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의 수사결과에 따라 기소 여부가 결정되어야 하는데, 수사권과 공소권을 동시에 가진 기관이 기소 여부에 대한 결정을 미리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에 따라 수사의 내용과 집중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재 검찰이 가지고 있는 권한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작은 권한의 일부 배분이 아니라 수사와 공소를 분리하는 근본적인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key point of National Investigation Administration is to operat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independently, establish a professional and independent national investigation administration having investigation authority, and to include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in the same agency where prosecutor commands investigation and judicial police takes charge of investigation. In other words,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perform their duties together with each other in an investigation agency where prosecutor commands investigation and judicial police takes charge of investigation. This cannot be said to add an investigation administration, setting aside from the current investigation agency, but to integrate the two investigation agencies divided into prosecution and judicial police with a single one by separating it from prosecutor's office or police administration. Such as this, National Investigation Agency where investigation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worked together to have entire investigation authority was newly built, while prosecutor's office performs prosecution powers and police administration solely performs administrative police actions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maintenance of order. National Investigation Administration has its objective to maximize efficiency of national crime judicial action by mediating the authorities of police, prosecution and organization in a rational manner and separating what needs to be separated and integrating what needs to be integrated. This is one of the starkest characteristics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peci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The research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with excessive authority and the position as quasi-judicial agency in relation to fairness of prosecution judgement, and the problems with prosecution investigation and indictment caused by double investigation by the police and prosecutor's office mainly focusing on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protocol of examination of a suspect, and the ones with trust of people about police investigation, dual command chain, and police investigation mainly focusing on the side effect caused by sending overall cases to prosecutor's office. Subsequently, the study is to place the emphasis on the need to reinforce trial-central system, disperse power by separating investigation from prosecution, and to introduce integrated investigation organization based on establishing equal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prosecution and police to finish the discussion by pursuing a concrete method for separating administrative police from judicial police; investigation examination from trial examination and abolishing prosecution investigation officer system and the interrogation procedure of suspect at the police level.

      • KCI등재

        소년조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찬걸 ( Park Chan-geol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2 No.4

        소년법은 반사회성이 있는 소년의 환경 조정과 품행 교정을 위한 보호처분 등의 필요한 조치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여기서 보호처분 등의 필요한 조치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소년의 환경이나 품행에 대한 실질적인 파악을 통하여 반사회성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소년사법절차에서는 각 단계별로 다양한 소년조사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경찰단계에서는 조사과정에서의 전문가참여제도를 통하여 비행성예측자료표 및 소년환경조사서를 활용하고 있으며, 검찰단계에서는 보호관찰소의 장, 소년분류심사원장, 소년원장 또는 청소년비행예방센터장에게 소년의 품행·경력·생활환경·요보호성 등에 관한 조사를 요구할 수 있는 검사 결정전조사제도가 도입된 바 있다. 다음으로 법원단계에서는 보호사건에서의 소년조사제도와 형사사건에서의 소년조사제도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가정법원 또는 지방법원 소년부의 조사명령에 의한 조사관조사와 전문가의 진단, 소년분류심사원의 분류심사 결과와 의견, 보호관찰소의 조사결과와 의견 등을 고려하는 결정전조사가 활용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역시 조사관조사와 유죄가 인정된 소년피고인에 대하여 조사를 요구할 수 있는 판결전조사가 각각 활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정단계에서의 소년조사제도로는 분류처우심사, 환경조사, 분류심사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행 소년조사제도는 경찰단계에서부터 교정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과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소년의 환경과 품행을 실질적으로 조사하여 이에 적합한 개별적인 처우를 함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궁극의 목적은 동일하다. 하지만 유사한 내용에 대하여 각 기관별로 새롭게 조사를 의뢰함에 따른 중복조사의 문제, 숙련된 조사인력이 턱없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조사과정의 내실화 내지 전문성의 문제, 모든 유형에 있어서 소년조사의 실시 여부가 필요성의 판단에 따른 임의적인 사항에서 발생하는 재량판단의 문제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소년조사제도의 각 단계별 현황 및 실시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 이에 대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The juvenile act intends to contribute to sound growth of juvenile ultimately through necessary measures such as regulation of environment and correction of conduct for juvenile with antisociality. For doing so, judgment of antisociality shall be preceded preferentially through actu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or conduct of the juvenile to impose necessary measures such as protective disposition etc., and fore the aforementioned, juvenile justice procedure uses various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s for each stage. Police stages use delinquency forecast data sheet and juvenile environment investigation report through expert participation system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and in the stage of prosecution, prosecutor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system has been adopted to request the director of probation offic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juvenile reformatory or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center for investigation of conduct·career· living environment·necessity of protection of juvenile. In the stage of court, it can be examined by dividing into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 in protection cases and the one in criminal cases, and investigation of investigator and diagnosis of expert, classification result and opinion from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center and pre-determination investigation to consider investigation result and opinion of probation office are used for the former, and investigation of investigator and pre-judgment investigation to request investigation of convicted juvenile defendants are applied respectively for the latter. Lastly, classification treatment review, environment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review have been implemented as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s in the stage of correction. Presently,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and methods from the stage of police to the stage of correction, but the ultimate intentions to make a practical investigation into the environment and conduct of juveniles and provide help to individual treatment suited to the result are the same. However, duplicate investigation caused by request for new investigation of similar matters from each institute, issue of substantialization or expertise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caused by vastly insufficient skilled manpower for investigation, and discretionary decision for implementation of investigation of juvenile in all cases have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This manuscript aims to suggest rational improvement plans for the present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 after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of juvenile investigation system in each stage and problems generated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