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분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유(Park JiYu),박선희(Park S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0

        본 연구는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의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박탈감에 주목하였으며, 사회경제적 박탈감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2019년 10월 한 달 동안 209명에게 설문 조사한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 Macro PROCESS,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은 분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과 분노는 모두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은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감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을 사회구조적 차원과 개인의 심리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considering socioeconomic deprivation as the cause of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elderly. The study subjects were 209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Busan City in October 2019 for a month, and their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acro PROCES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anger, significantly. Second, both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anger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showed to positively affect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Fourth, anger showed the mediated effect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in the elderly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significantly. This study has the meaning to provide the experiences of integrative thinking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elderly in structural perspective of the society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e individuals.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콜라보레이션 방안 -색조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박지유 ( Jiyu Park ),김면 ( Myoun Kim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유형’과 ‘주체 브랜드의 모든 이미지 요소들이 동시에 강화되는 유형’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의 경우는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낮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브랜드가 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적합한 콜라보레이션 유형을 달리한다면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분야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콜라 보레이션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수단이 마련될수 있을 것이다.유형’과 ‘주체 브랜드의 모든 이미지 요소들이 동시에 강화되는 유형’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의 경우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의 경우는 주체 브랜드의 가치가 대상 브랜드보다 낮다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브랜드가 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따라 적합한 콜라보레이션 유형을 달리한다면 효율적인 브랜드 이미지 강화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분야별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콜라보레이션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수단이 마련될수 있을 것이다. Apparently, ``Collaboration`` is focused as a efficient marketing tool. It is enable to grow of brand sustainedly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since it help to brand extensions and increase sales. If it could solve the problem that caused because of the organizations which have different goal individually, collaboration could be the factor to improve brand image. In order to create such an ideal target, it is necessary in-depth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brand image from the collaboration. In this study, chose the color cosmetics brand as specific research scope. Then researched strategic brand image firstly and changed brand image after collaboration, and then compared these results. As a result, it could be divided two types. First type is strengthen common brand images of subject and object brands. Second type is reinforced all images of subject brand. The first type show the feature that object brand value was higher than subject brand. And second type show the feature that subject brand value was higher than object brand. This result means if collaboration typ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brand, it would expected to be an ideal collaboration. Based on this study, if a systematic study in various fields, collaboration could be a strong method for brand image reinfor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