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 에어컨 가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방법

        박준홍(Junhong Park),강건우(Gunwoo Kang),이종태(Jongtae Lee),김선문(Sunmoon Kim),김정수(Jungso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The green house gas(GHG) emission from transportation sector including motor vehicle account for 17% , so various and global actions have been done to reduce GHG from motor vehicles. In addition to regulating engine exhaust CO₂ emission, policies are being constructed to give incentive for CO₂ reduction technologies which could not be well estimated with conventional emission test mode. Mobile air conditioning(MAC) is quite big energy consumption device in vehicle operation. EPA in USA and European Commission is developing how to estimate the increase of CO₂ and to differentiate advanced high-efficiency technologies. In this study, test methods expected to be set up for MAC estimation have been conducted with Korean vehicles of different MAC technology levels. The results show the lower CO₂ increase with more advanced MAC technology but different quantity of increase as test method.

      • KCI등재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안 탐색

        박준홍(Park, Junhong),김경희(Kim, Ky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됨에 따라 평가 역시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야 한다는 문제의식하에 기존 국어과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역량 기반 국어과 성취도 평가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핵심적인 성취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국어과 역량이 국어과 성취도 평가 틀의 구성 요소로 기능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한 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에 대한 답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는 역량 기반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성과가 부족한 상황에서 델파이 조사 결과에 한해 도출된 잠정적인 방안이었기에, 궁극적으로는 보다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교급별 하위 영역 비중의 차등화, 국어과 역량 설정의 타당화 및 세분화, 결과 산출 및 보고 방식의 변화를 개선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the existin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into competency-based achievement assessment,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what the cor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and how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can function as a component in the achievement assessment framework. However, the above results were provisional improvement measures drawn in the situation of the lack of research results on competency-based evalu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ree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giving differential weight of sub-domain by school level, validation and segmentation of competencie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etting, and changes in how results are produced and reported.

      • KCI등재

        도시생활형 자전거의 시각적 기능과 활용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탈착 가능한 물품수납가방을 중심으로

        박준홍 ( Junhong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본 논문은 도시생활형 자전거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생활형 자전거의 의미를 문헌연구를 통해 정의하고, 최근 10년간의 자전거와 디자인 관련 논문을 수집하여 연구의 방향성과 흐름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접근의 연구 방향성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자들이 직접 경험하는 문제를 도출하기 위해 자전거를 자주 사용하는 10대에서 40대 사이의 남녀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사용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명확하게 확인 하였다. 심층인터뷰의 세부 분석을 통해 자전거 사용자들의 니즈(Needs)는 편의성, 안정성, 주목성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범주화 하여 도시생활형 자전거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자인의 개발 방향성 기준을 나타내는 4가지 요소인 이동성, 보안성, 효율성, 심미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디자인의 개발 방향성을 충족하기 위해 이동성은 도시형 자전거 크기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 보안성은 자전거의 구조에서 보관함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 효율성은 장치가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심미성은 기존 자전거의 짐받이와 짐바구니의 전형에서 탈피는 것을 고려하였다. 또한 기술조사를 진행하여 Hubless wheel의 활용이 자전거에 탈착이 가능한 물품수납가방의 프로토타입 제작에 알맞음을 확인하고 디자인 개발의 방향성이 실제 제품으로 문제없이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해 개발된 제품은 전반부 바퀴만 교체하면 새로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형의 디자인과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있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도시생활을 하는 사용자들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design to improve the usability of urban life bicycl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meaning of city life bike is defin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direction and the flow of the research are analyzed by collecting the articles related to bicycle and design for the last 10 years. I confirmed what I needed. We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15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10 and 40 who frequently use bicycles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users experience.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s of bicycle user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stability, and attention, and they were categorized as 4 Mobility, security, efficiency, and esthetics. In order to mee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esign, the mobility is to maintain the form of the size of the urban life bicycle, the security is to apply the concept of the storage bag in the structure of the bicycle, the efficiency is to make the storage bag move easily, The aesthetics is has designed considering the exiting from the stereotype of the existing bicycle 's luggage rack and basket. In addition, we have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Hubless wheel is suitable for the prototype of the storage bag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bicycle through the patent technology survey. The products developed through the prototype can be replaced with new functions by replacing the front wheel. The design of circular sha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which can apply various colors have been suggested to satisfy the taste of users in urban life.

      • KCI등재

        사용자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양념통 디자인 개발과 제작에 관한 연구

        박준홍 ( Junhong Park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비대면 방식의 업무처리와 재택근무가 빠른 속도로 확산하면서 주거공간에 대한 많은 관심과 함께 요리도구 및 주방 공간의 환경이 매우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양념통을 보기 좋고 사용하기 쉽도록 개선하는 방안과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양념 및 양념통의 의미를 정의하였다. 또한 최근 10년 동안의 학술지 문헌과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기존연구의 방향성과 흐름을 고찰하였다. 요리에 관심이 있고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회의와 특허조사 그리고 3D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시제품을 설계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 심층인터뷰 분석을 통해 디자인의 방향성을 시인성, 심미성, 편의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아이디어 회의를 통해 웨이브 형태로 구성된 벽면을 고안하고 웨이브 벽면에 자석의 힘으로 손쉽게 부착되는 원형의 양념통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양념통 디자인의 기능이 정확하게 작동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가 보기 좋은 제품을 실수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함께 실무적 개발 방법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의 의견을 정리하여 새로운 양념통의 디자인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하여 결과를 제시한 것에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제품의 사용성 평가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후속연구의 수행이 요구된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spread of non-face-to-face work processing and work from home, the environment such as cooking tools and kitchen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long with a lot of interest in residential spaces. With this trend, methods and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Spice jar that is often used in the kitchen so that it looks good and is easy to use. Method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meaning of spice and spice jars. and analyzed the journal literature and dissertations of the last decade. The design direction was deriv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who are interested in and experienced in cooking. Based on this, idea meetings, patent research, and 3D computer modeling were carried out, and a prototype was produced. Results The design direction was determined by visibility, aesthetics, and convenience. Through the idea meeting, a wave-shaped wall was devised, and a circular spice jar was easily attached to the wave wall with a magnet. In addition, a prototype was created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new spice jar design works accurately, and a way for users to conveniently use a product that looks good without mistakes was suggested. Conclusion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the actual development, this study has meaning and value in that it presents the results of proposing a new spice jar design by analyzing users' opinions and making a prototype. However, the absence of a product usability test can be seen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refore,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