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콩 논·밭 재배에서 수량예측을 위한 생육과 수량 관련 형질의 비교

        조영,호기,김욱한,김석동,서종호,신진철 韓國作物學會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7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이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소흡수량이 같더라도 총영화수와 수량은 연차간에 차이를 보였다.rotease 활성과 생물학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V는 앞으로 바이러스와 기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병원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300℃ 이하, 공정압력 1 Torr, 그리고 bias전압과 기체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증착하였다. 증착시 in-situ OES 분석결과 플라즈마 내의 질소종의 함유량 변화에 따라 증착속도가 크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많은 질소기체를 인입하면 질소종이 많아지지만 증착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박막내 탄소의 함량이 커지면서 막질이 비정질로 바뀌고 미세경도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in-situ 플라즈마 진단분석이 전체 PEMOCVD 공정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고, Ti(C,N)과 Hf(C,N) 코팅막의 탄소함량과 미세경도는 플라즈마내의 CH과 CN radical종의 세기에 크게 의존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f(C,N) 박막의 경우도 Ti(C,N) 박막의 경우와 유사하게 최대 미세경도값(2460Hk0.025) 이 -600 V bias 전압과 10% 질소기체 혼합비를 사용한 경우에 얻어졌고, 이는 박막이 주로(111) 방향으로 성장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0.6 으로 I 군 2.8±1.2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ng the yield of soybean in upland and paddy field condition. Field experiments were done at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2005. The evaluated soybean cultivars were Taekwangkong, Daewonkong, and Hwangkeumkong. Soybean seeds were planted by hill seeding with 3-4 seeds and row and hill spacing were 60~times10cm in upland and 60~times15cm in paddy field. Seeds were sown on row (without making ridge) and on the top of ridge in upland and paddy field, respectively. Field parameters were measured yield components (plants/m2 , pod no./plant, and 100-seed weight, seed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stem length, leaf area at each stage, and dry weight of shoot) and after measuring they were compared the relationships with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seed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Seed yield of soybean was affected by cultivars and planting density. Seed yield was higher in upland than paddy field due to the higher planting density in upland field. The upland soybeans generally had lower 100-seed weight than that of paddy field. Seed yield of soybean in a paddy field was greatest in Taekwangkong and followed by Daewonkong and Hwangkeumkong. The harvest index of taekwangkong and Hwanggumkong was higher in upland than paddy field, however, it was higher in paddy field than upland in Daewonkong. Seed yield was greatest in Daewonkong in both experimental fields. The greatest stem length was observed in taekwangkong and Hwanggumkong (R6) in late growth stage in paddy field. Dry weight of shoot and pod, pod number, stem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higher grown in paddy field than grown in upland. Crop growth rate (CGR) of cultivars was higher in paddy field after 8 WAS(weeks after sowing) and it was greatest at 13 WAS in Daewonkong among the cultivars. In upland field, CGR was greatest in Taekwangkong and then followed by Daewonkong and Hwanggumkong during 12 and 15 WAS.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100-seed weight and seed yield in both experimental field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seed number and seed yiel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eaf area and shoot dry weight were about 0.8 during the whole growth stage except 5 WAS and 4-5 WAS in paddy field and upland, respectively. This experiment was done just one year and drained paddy field condition was not satisfied drained condition successfully at 7th leaf age of soybean by the heavy rain, so we suggest that the excessive soil water reduced seed yield in paddy field and the weather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utilizing of these results.

      • KCI등재

        SKF 525A가 흰쥐의 대동맥에서 Sodium nitroprusside, Acetylcholine, Pinacidil에 의한 이완반응에 미치는 효과

        박조영(Jo Young Park),김학림(Hak Lim Kim),김주원(Ju Won Kim),신창열(Chang Yell Shin),최윤미(Yoon Mee Choi),김진학(Jin Hak Kim),안형수(Hyung Soo Ahn),손의동(Uy Dong Sohn),허인회(In Hoi Huh) 대한약학회 2000 약학회지 Vol.44 No.1

        TEA, glibenclamide, L-NAME and SKF 525A-induced contra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cetylcholine, sodium nitroprusside (SNP, NO donor) and pinacidil (ATP sensitive K+ channel opener) in rat abdominal and thoracic aorta. The relaxant effects of acetylcholine, SNP and pinacidil were not different in the abdominal aorta and in the thoracic aorta. Acetylcholine-induced relaxation was dependent on endothelial cell, but pinacidil was independent endothelia cell. In the presence of TEA, glibenclamide, L-NAME,mepacrine and SKF 525A, acetylcholine and SNP did not change, but pinacidil-induced relax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presence of glibenclamide, which is ATP sensitive K+ channel blocker. SKF 525A, which is inhibitor of cytochrome P450 dependent epoxygenase, partially inhibited the pinacidil-induced relax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inacidil-induced relaxation may be mediated by ATP sensitive K+ channel and partially by EETS, which is produced by cytochrome P450 dependent epoxygenase.

      • KCI등재

        Expression of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s atDifferent Stages of Differentiation inChick Embryo Chondrocytes

        조영*,종을*,김우택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4

        Purpose:Proliferative chondrocytes and prehypertrophic chondrocytes secrete significant amounts of type II collagen in an extracellular matrix. In contrast, hypertrophic chondrocytes secrete type X collagen. In addition, fibroblast growth factors (FGFs)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s (FGFRs) also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differentiation.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 chondrocytes and FGFR mRNA expressed at different stages of differentiation. Methods:Chondrocytes were isolated from the caudal one-third portion (LS) of the sterna, peripheral regions (USP) and central core regions (USC) of the cephalic portion of the stern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roximal tibial growth plate (Ti). Chondrocytes from the LS, USP, USC, and Ti of 17-day-old chick embryo sterna and tibia were cultured and type II and type X collagen mRNA and FGFR1, FGFR2, and FGFR3 mRNA were isolated and analyzed by Northern blotting. Results:Generally, the cells were larger in size after two days of culture than after seven days of culture and the cells from the USC and Ti were larger and more mature than those from the LS and USP. Type II collagen genes were found to be expressed in all the chondrocyte types, while type X collagen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USC and Ti. Therefore, the LS was identified as a resting or proliferative zone, the USP as a postproliferative or prehypertrophic zone, and the USC or Ti as a hypertrophic zone. FGFR1 was expressed only in hypertrophic chondrocytes in proportion to the culture time, FGFR2 was not expressed in any of the chondrocyte types, and FGFR3 was expressed in all the chondrocyte types. Conclusion:As such, it is possible that the different receptors play distinct roles during chondrocyte differentiation 병아리 태아 연골세포의 분화단계에서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주학교실*,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서조영*·박종을*·김우택목 적 : 증식기 및 전비후기 연골세포는 세포외 기질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제 2형 콜라젠을 분비하고 비후기 연골세포는 제 10형 콜라젠을 분비한다. 또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도 연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골세포 분화의 각기 다른 상태에서 연골세포의 특징을 규명하고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의 발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골세포를 17일된 태병아리의 흉골 하부 1/3에서, 흉골 상부 말단 부위에서, 흉골 상부 중심부위에서, 그리고 경골 근위부 하방에서 채취하였다. 연골세포를 제 2형 및 제 10형 콜라젠 mRNA와 제 1형, 제 2형, 및 제 3형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의 발현을 관찰하였다.결 과 : 일반적으로 연골세포는 7일간 배양한 것보다 2일간 배양한 것이 크고 흉골 상부 중심부위의 연골세포와 경골 근위부 하방의 연골세포가 흉골 하부 1/3의 연골세포와 흉골 상부 말단 부위의 연골세포 보다 더 크고 성숙되어 있었다. 제 2형 콜라젠 mRNA는 모든 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반면에 제 10형 콜라제 mRNA는 흉골 상부 중심부위의 연골세포와 경골 근위부 하방의 연골세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흉골 하부 1/3의 연골세포는 휴지기 및 전증식기 연골세포로, 흉골 상부 말단 부위의 연골세포는 증식기 및 전비후기 연골세포로, 흉골 상부 중심부위의 연골세포와 경골 근위부 하방의 연골세포는 비후기 연골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형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는 배양 기간에 비례하여 비후기 연골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제 2형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는 모든 연골세포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나, 제 3형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의 mRNA는 모든 연골세포에서 발현되었다.

      • KCI등재

        한국인의 타석증에 대한 임상병리학적 리뷰

        시원,조영아,신의정,윤혜정,홍성두,이재일,홍삼표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12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36 No.2

        Sialolithiasis consists of calcified structures in either the salivary gland or ductal system and alteration of salivary gland parenchyma.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sialolithiasis in Korean patients, we selected 60 patients with sialolithiasis diagnosed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ir clinic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with the analysis of available histologic data from 32 case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1. Sialolithiasis is most common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years and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submandibular gland (97%). Upon microscopic examination, most lesions showed moderate-to-severe inflammatory infiltration and parenchymal changes such as ductal metaplasia, acinar necrosis and fibrosis. Consequently, Korean patients exhibite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similar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 DNA barcode 분석을 통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Gebler)] 종내 다양성 조사

        전준형,김도성,조영복,두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북방수염하늘소는 솔수염하늘소와 같이 소나무재선충병을 유발하는 소나무재선충의 주요 매개충으로 소나무류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북방수염하늘소는 형태적으로 다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들을 구분하는 뚜렷한 표현형이 제시되지는 못한 실정이다. 북방수염하늘소의 종내다양성 조사를 위하여 충북, 경기, 강원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 oxidase 1 유전자의 DNA barcode를 확보하고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계통을 보이는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개의 그룹은 2.4-2.6의 K2P distance를 나타내었으나 형태적으로 구분되는 특징은 파악되지 않았다. 각 그룹의 북방수염하늘소 수컷의 생식기 검경결과 I 그룹 표본의 파악기 (paramere) 길이가 II그룹의 표본보다 다소 짧고 약간 넓은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그룹 간에 북방수염하늘소가 계통적으로 분화가 진행 된 것으로 사료되지만 두 그룹간의 명확한 지역적 분포의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종 분화의 원인에 대해서는 현 시점에서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진전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