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영정 논제와 정상 조건문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故 김영정 교수는 비판적 사고와 형식논리학의 ‘멋진 조화’를 꿈꾸며 ‘선제논리’라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불행하게도 그 프로그램은 실패로 끝났다고 여겨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김영정 논제”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김영정 논제”란 전칭명제와 특칭명제를 모두 조건문을 포함하는 양화문장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영정 교수는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를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나는 김영정 교수의 프로그램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근원적인 이유는 우리의 조건문을 실질 함언으로 파악했다는 점에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실질 함언이 아니라 우리의 언어실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조건문, 즉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normal conditional)”(p → q)을 김영정 논제와 결합하면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김영정 논제”에 따르면, 가령 전칭긍정명제와 특칭긍정명제는 각각 (∀x)(Sx → Px)와 (∃x)(Sx → Px)로 기호화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정된 김영정 논제는 정상 조건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열쇠와 통로 역할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생각들이 정리가 되면 예컨대 (A → B와 A → ∼B가 둘 다 참이 되는) 기바드(Gibbard) 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며, 기존의 논의가 얼마나 혼란스러운 것인지를 깨닫게 한다. 요컨대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의 정상 조건문과 김영정 논제를 결합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설정한 후 이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할 때 어떤 귀결이 나올지를 탐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정된 김영정 논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적인 대당사각형이 복원된다는 것, 정상 조건문 p → q의 조건부 부정은 p → ∼q라는 것, 또 정상 조건문의 또 다른 사용(⇒)이 있다는 것, p → q의 대우는 ∼q ⇒ ∼p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ate Professor Young-Jeong Kim propounded the ‘Presupposition Logic’ program, longing for harmony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formal logic. Unfortunately that program is regarded as a failure, but I believe that Young-Jeong Kim’s thesis is still relevant. Young-Jeong Kim’s thesis asserts that both a universal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quantified proposition which contains a conditional. Professor Young-Jeong Kim asserts that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 (Sx ⊃ Px), respectively. However, I believe that the fundamental reason that Professor Young-Jeong Kim’s program could not help but end in failure is that he regarded our conditional as a material implication (conditional). Hence we need to consider the case that in Young-Jeong Kim’s thesis, a material implication should be replaced with a conditional which is used in our real language practice, that is,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According to this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a universal affirmative proposition and a particular affirmative one must be symbolized as (∀x)(Sx → Px) and (∃x)(Sx → Px), respectively. The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n important key and the path to for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conditional. Furthermore, after we arrange our thoughts in regard to this matter, we will come to know that the Gibbard phenomenon in which both A → B and A → ∼B are true does not exist, and come to realize how confusing the previous thoughts about conditionals are. In a nutshell, we can investigate what consequences can be derived if we maintain this modified thesis consistently after we combine Wittgenstein’s normal conditional with Young-Jeong Kim’s thesis. And through this we can ascertain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modified Young-Jeong Kim’s thesis, that we can rehabilitate the traditional opposition square, that the negation of a normal conditional p → q is p → ∼q, that there is another kind of use for a normal conditional(⇒), and that the contraposition of p → q is ∼q ⇒ ∼p.

      • KCI우수등재

        과연 타르스키의 진리정의는 철학에 필수적인가?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7 No.-

        최근에 이병덕 박사는 졸고 「열린 해석과 타르스키의 진리정의」 (이하 ‘박정일(1999)’로 약칭함)에 대하여 일견 매우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그 비판의 핵심은 박정일(1999)에서 제시된 주장의 세 가지 근거가 모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러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에 대해 답변하고자 한다. 나의 논점은 이러하다: 나는 박정일(1999)에서 타르스키의 진리정의가 철학에 필수적인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며,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 대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은 더 깊은 생각을 요구하는 자극적인 것이었지만, 나는 그가 대체로 박정일(1999)를 오해했다고 생각하며, 그리하여 그의 어떤 비판은 모호하거나 빗나갔고 또 어떤 주장은 오류라고 생각한다. 특히, 그가 제시하는 반대 주장 -이것을 의도한 것이라면- 의 논거는 거의 설득력이 없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여전히 박정일(1999)의 주장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 유사 멜로디 검색을 이용한 음악 표절 감지 시스템

        박정일 ( Jeong-il Park ),김상욱 ( Sang-wo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유사 멜로디 검색은 질의 멜로디와 유사한 멜로디들을 음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찾는 연산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 멜로디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표절 감지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논의한다. 먼저, 정합 및 이동 변환을 지원하는 새로운 유사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각 멜로디의 특징들을 인덱싱 하는 방법과 인덱스를 기반으로 표절 감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표절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곡가는 자신의 멜로디와 유사한 멜로디를 가지는 곡들을 음악 데이터베이스에서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규명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기법은 순차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약 31배까지의 성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해양에너지 개발사업의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

        박정일 ( Jeong Il Park ),김태윤 ( Tae Yu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4 환경영향평가 Vol.23 No.4

        A wide range of projects for ocean renewable energy are currently in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and ocean energy industries continue to receive significant support from their governments. Surrounded by sea on three sides, Korea has potentially abundant renewable ocean energy resources, which include tidal current, tidal range, offshore wind power, osmotic pressure and ocean thermal energy. Numerous ocean renewable energy projects has been developed in Korea. Nevertheless, there are some concerns that those developments often select an environmentally unsuitable location and/or there are very few existing information on those environment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upporting policies and regulation systems of ocea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Korea by reviewing and compiling government policie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systems related to ocea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The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its environmental-friendly development in Korea, including requirements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proactive and environmentally suitable site selection of ocean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continuous post-development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so on.

      • KCI등재

        감염병의심자에 대한 격리조치와 인권

        박정일 ( Park Jeong-il ) 한국의료법학회 2021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9 No.2

        Coronavirus infection-19 (COVID-19) is a first-class infectious disease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Act, and it is also classfied as the new infectious disease syndrome. Article 42 (2) of the same Act stipulates quarantine measures for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in the event of a first-class infectious disease. The term, people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was introduced on March 4, in 2020 to expand the scope of quarantine targets, reflecting the need for enhanced quarantine after the MERS outbreak in 2015. The term shows that people recognize COVID-19, which was spreading at a terrifying rate without even knowing the cause of the disease, as a risk of infection rather than its own risk. Only some of the people, who had been classified as people suspected of contract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en quarantined, were confirmed to have COVID-19, while much more people of them were not confirmed. Of course, they have been compensated for the economic losses incurred during the quarantine period, but it cannot be compared to the damage to human rights that were deprived or restricted by procedures, regardless of whether the quarantine period is long or short. The government can limit individual freedom in order to protect the more people’s right to live a healthy life when individual free actions can harm society. However,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public interest and the human rights which should be restricted by the public interest. Still wee have been fighting an infectious disease (war) that we never know when it will end. Like this,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method is also undergoing a process of change i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and the operation of related regulations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under Constitution. The government tends to use compulsory means which are similar to direct compulsion for the public interest and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and the epidemic of infectious diseases. As a result, while the government can achieve the administrative purposes rapidly, significant human rights restrictions are bound to be imposed. It is very important to discuss how much and how to limit people’s freedom of the body in order to prevent infectious disease. To minimize human rights restrictions, it is necessary, I think, to have legislators and scholars discuss direct compulsion and the scope of direct compulsory application deeply.

      • KCI등재

        채용공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 공급의 산업 및 지역입지 특성분석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지역학회 2023 지역연구 Vol.39 No.4

        Using extensive job posting big dat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dustri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decent work from the supply side.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ufacturing is pivotal in supplying decent work, accompanied by a stark regional disparity, most not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Statistical Area (MSA), which constitutes nearly half of all decent work opportunities. The study further uncovered that the distribution of decent work varies significantly across MSAs, with a pronounced inclination towards a higher supply in peripheral rather than central areas. These findings bring to light the critical need for policies that bolster manufacturing, aiming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high-quality jobs and to bridge the job quality gap between the Seoul MSA and other regions. Moreover, the results emphasize the necessity for customized job supply strategies in each MSA, prioritizing strategies that account for the proximity between workplaces and living areas in the job supply proces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체’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중요한 수수께끼 중 하나는 ‘의미체’(Bedeutungskorper)가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 『탐구』에서 단 한 번 언급된 ‘의미체’는 바로 『논고』에서 거론되는, 특히 논리적 상항의 ‘의미’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이 실제로 ‘의미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언급은 ?비트겐슈타인의 음성들에서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우리는 이 언급에서 제시된 것을 ‘의미체 비유’라고 부를 수 있다. 둘째, ‘의미체 비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것이 과연 『논고』에 실제로 있는지 우리는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서 먼저 선행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과 같은 논리적 상항이 의미(Bedeutung)를 갖는지 여부이다. 셋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전기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이제 그의 의미이론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와 바일의 형식주의라는 새로운 시각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프레게의 생각을 수용한 결과 형성된) 의미체와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극복하였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넷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실제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논고』의 형성 과정에서 그러한 생각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의미체’ 문제가 비트겐슈타인에게는 『논고』의 집필을 포기하게 할 수 있었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였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One of the important puzzles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is this: What is his “Bedeutungskorper” (meaning?body)? With regard to this problem, I will show in this paper that “meaning?body,” which is mentioned just once in the Investigations, is the “meaning” (Bedeutung) of the Tractatus, in particular, that of a logical constant. For this I will discuss in the sequence as follows. Firstly, we must take a look at the remarks that Wittgenstein adduced concretely. Those remarks are expressively given in The Voices of Wittgenstein, which we can call the “meaning?body simile.” Secondly, we must confirm that what Wittgenstein adduced in the “meaning?body simile” is embodied in the Tractatus.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in advance is whether logical constants such as ‘∼’ have meanings (Bedeutungen). Thirdly, if the thoughts related with the “meaning?body” belong to early Wittgenstein, then we need to explicate how the early Wittgenstein’s theory of meaning is connected with the later Wittgenstein’s. We will confirm that Wittgenstein overcame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which were the results that he had accepted the important basic idea of Frege’s theory of meaning) by partly accepting the new point of view of Hilbert’s formalism. Fourthly, if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are Wittgenstein’s, we must be able to confirm those thoughts in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Tractatus. We will confirm that the “meaning?body” problem w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for the early Wittgenstein that could lead to his abandoning the writing of the Tractatus.

      • KCI등재

        Network-based Walkability Analysis for Evaluating Transit Stop Accessibility

        Park, Jeong-Il(박정일),Rao, Arthi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보행환경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보행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을 측정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개별 커뮤니티 혹은 도시의 보행환경을 전반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보행로의 여러 가지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실제적 접근성을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의 보행환경 분석이라는 새로운 분석방법의 기초 체계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미국 애틀랜타 벨트라인 프로젝트 계획상의 대중교통 정류장에 대한 보행자들 접근성 분석사례를 통해, 본 연구는 토지이용 혼합, 범죄율, 경사도, 고속도로 접근제한 등의 다양한 질적 조건들이 어떻게 네트워크 기반의 보행환경 분석에 통합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이 네트워크기반의 분석방법은 다양한 보행환경 요소를 고려한 대중교통 정류장의 접근성 분석과 더불어 최적경로 탐색이나 최근접 정류장 탐색 등 다양한 보행환경 및 접근석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Walkability studies are usually area-based and have measured composite built environment attributes that affect walking behavior, usually at the local community or city level. These are helpful at a broader scale but do not provide “on-the ground” realistic estimation of actual accessibility as determined by the availability of pedestrian infrastructure. This study fills this important gap in estimating true pedestrian accessibility by introducing a preliminary methodological framework of network-based walkability analysis. Using the Atlanta BeltLine as a case study, we advance a more nuanced preliminary method that incorporat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that might influence route choice for walkability. Factor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land use diversity, slope, crime and highway restrictions. Based on statistical techniques, these were incorporated into network analysis as costs. Our network-based approach can perform various analyses of walkability. Accessibility to transit stops was assessed using service area analysis as well as best route and closest station analyses based on existing roads with costs imposed.

      • KCI등재후보

        내용 검토 및 개선 방향 -비판적 사고와 토론의 논리-

        박정일 ( Park Jeong-il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2 No.-

        In th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2018), part 2(critical thinking and the logic of debate) plays a part of the bridge between part 1(communication ability and public speaking) and part 3(critical thinking and the real debate). In part 1, from the most general and broadest point of view, by explicating both communication capacity and public speaking, the basis for critical thinking is prepared, and in part 3, on the basis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logic of debate, the principles and real practices of debates are explicated. Hence it is the part 2 that plays a role of the decisive intermediate bridge. Therefore if we try to point out several problems about part 2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2018) and to improve it in the desirable direction, we should examine whether part 2 plays sufficiently such a role of the intermediate bridge.

      • KCI등재

        의약품의 긴급사용승인과 국가책임

        박정일(Jeong Il Park)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1

        “인류의 역사는 질병의 역사다”라는 말이 있다. 인류는 지금도 질병을 극복 또는 완화하기 위해 이전에는 없었던 수많은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인류가 존재하는 한 이런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2019년 12월 말에 시작한 COVID-19는 신약개발의 중요성을 우리 모두에게 사무치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신약개발의 선두주자는 북미권 국가들이고 중국과 일본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신약의 개발과 공급을 위한 법제를 정비하며 그 개발을 독려하고 있지만 COVID-19 백신과 치료제를 포함한 다수의 의약품을 수입하고 있다. 2021년 3월 9일에는 공중보건 위기상황에 대응하고자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의 개발 촉진 및 긴급 공급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여기서는 정식의 허가절차와는 다른 긴급사용승인을 인정하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공중보건상의 위기를 막을 수 있는 의료제품을 신속하게 수입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긴급사용승인으로 공급되는 제품이 동일하더라도 바람직하지 않고 의도되지 않은 징후, 증상 또는 질병이 개인에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법률에는 피해구제 대한 근거가 없어서 제도 보완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 지적되어 왔었다. 이를 반영하여 국가보상의 근거를 명시한 공중보건 위기대응 의료제품의 개발 촉진 및 긴급 공급을 위한 특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2023년 2월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된 것은 환영할 만하다. 국가보상은 국가의 조절적 또는 중재자적 지위를 전제하는 것으로 국가의 과실 등을 인정하는 국가배상제도와는 엄연히 다르다. 공중보건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긴급사용승인 이후에도 국가는 해당 의약품에 대한 위험관리책임 또는 위험방지책임을 여전히 부담하므로 그 의무를 불이행한 경우에는 부작위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행정부작위에 의한 국가책임은 그 행위형식이 행정지도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임의성이라는 고유한 속성으로 인하여 작위의무의 존재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물론 있지만, 행정지도를 하는 것으로 생명과 건강에 대한 손해를 회피 또는 경감할 수 있는 개연성이 인정될 수 있다면 그 실효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행정권한을 행사하기 위한 요건이 충족되어 있지 않거나 시간적 제약을 받아 바로 위험에 대응하기 위하여 행정지도가 적절한 수단이 되는 경우에도 그 작위의무는 적극적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saying, “History of mankind is the history of diseases.” Humans are still developing numerous drugs that have not existed before to overcome or alleviate diseases, and these efforts will continue as long as humanity exists. COVID-19, which began at the end of December 2019, served as a momentum to inform all of us of the importance of the new drug development. North American countries are leading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followed by China and Japan. Korea also has reorganized the legisl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new drugs and encouraged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new drugs. However, it is true that Korea has been importing a lot of drugs, including COVID-19 vaccines and treatments. On March 9th, 2021, the Special Act for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Emergency Supply of Medical Products Responding to Public Health Crisis was made. In this Act, Approval for Emergency Use of Drugs is allow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rmal licensing procedure, and through this, medical products that can prevent public health crises can be quickly imported and supplied. As the products supplied under Approval for Emergency Use of Drugs have also side effects, undesirable and unintended signs, symptoms, or diseases may occur to some individuals. However, because there is no basis for damage relief in the relevant laws,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of the system has been pointed out. Reflecting this, it is welcome that some revised legislation specifying the basis for national compensation has been passed. National compensation presupposes the nation's regulatory or arbitrator status, and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on’s compensation system that admits the national professional negligence. Even after the Approval for Emergency Use of Drugs to cope with the public health crisis, the administration still bears the risk management or risk prevention responsibility for the drugs, so it cannot be free from the liability for omission if this obligation is not fulfilled. National responsibility by administrative omission can also be applied when the form of action is administrative guidance. Of course, some point out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a duty of action due to the randomness. However, if the probability of avoiding or mitigating damage to life and health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dministrative guidance, its effectiveness can be verified. In addition, the obligation of administrative guidance can be actively interpreted even though the requirements for exercising administrative authority are not met, or administrative guidance is forced to respond to risks immediately due to time constra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