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민기 부정적 주체의식과 유학인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박정심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3 No.-

        Modern colonial era of Korea still affected seriously to the Life style of Korean. This period made the negative allocentric thoughts in Joseon life time. A sense of sovereignty during the colonial era of Korea was the inferior Self-conscioussess, and this non dependent and subordinate Self-conscioussess made people could not resist imperialism. By this historical background Takahashi and Lee Gwang-soo(李光洙) thought Joseon people have to be assimilated the Japanese. Because Japanese have sufficient ability and talent. So they thought that rule of Joseon colonization pointed to reformation rather than intellectual enlightenment. But such non-subject person could not evaluate and look accurately colonial imperialism of Joseon. So we can conclude his modern Joseon person that he tried to fulfill with racial remodeling. 식민기에는 문명한 보편타자와 대비되는 문명 부재의 열등한 자기의식이 생성되었다. ‘동양’으로 표상되는 일본의 우월한 근대적 자의식은 타자를 배제하고 차별하는 근대적 주체성을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정립되었다. 이러한 일본 근대 자의식은 조선 인식에 그대로 투영되었다. 高橋亨는 유학을 통해 열등한 조센징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망국의 이념인 조선 유학은 사대주의와 정체성 당파싸움 등 부정되어야 할 모든 것이었다. 이광수는 이러한 사유를 그대로 내면화하여 조선은 유학 때문에 죽었다고 선언하고, 민족을 개조의 대상으로 단정지었다. 식민지 주체의식과 유학에 대한 부정적 이해는 일본의 우월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요청된 왜곡이었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마땅할 것이다. 근대 이래 유학은 민족주의와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식민기의 조선유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조선의 원시성과 무정신성을 논증하는 부정적 기제였다. 역으로 일본에서 유학은 천황에 대한 충군애국을 요구하는 긍정적 이념으로 작동하였다. 또 현대 중국의 중화주의가 중국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근대적 맥락에서 유학의 인이 국가주의로 환원됨으로써, 그 사상적 보편성을 실현하기 더욱 어렵게 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유학 연구는 근대 이후 생성된 유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닌 함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함께 포스트근대란 시대적 맥락을 유학은 어떻게 읽을 것인지에 주안점을 두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신채호의 我와 非我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정심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주체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은 근대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였다. 신채호는 고유한 조선의 주체로서 ‘아’를 제시하였다. 아의 근대적 具顯態는 자강기에는 민족적 大我로서 식민기에는 제국주의침략에 맞서는 ‘민중’이었다. 민중은 민족적 대아의식을 자기의식[아됨]으로 專有하여 보편타자에 포획당하지 않은 주체이며, 동시에 자각된 주체성과 도덕성을 본유함으로써 비로소 타자와 동등하게 마주서 연대할 수 있는 열린 주체였다. 식민기 조선의 我는 일본제국이란 보편타자[非我]와 마주섰다. 일차적으로 아와 비아의 마주섬은 서로 다름을 확인함으로써 생존을 위한 투쟁적 관계를 형성하지만, 大我的 生存은 단순히 아의 恒性과 生存을 고집하는 데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투쟁과 함께 비아 속의 아와의 ‘연대’ 역시 아와 비아가 만나는 하나의 樣式이라고 파악하였다. 小我가 양심의 본연을 회복함으로써 대아가 되듯이, 대아는 인류 전체의 자유와 평등과 같은 보다 보편적인 이념의 실현을 위해 민족 국가적 삶의 경계를 넘어서 세계적인 민중 연대를 할 수 있는 근대주체였다. 신채호의 민중 직접혁명은 폭력적 수단을 정당화하였지만, 이는 제국주의침략이란 근대적 폭력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자각한 민중들의 자율적인 연대는 국가적 단위를 넘어선다는 점에서 신채호의 ‘연대’는 민족적이면서도 민족적 담론을 넘어서 있었다. 그것은 제국주의 폭력을 타파하고 일체의 불합리를 제거하며, ‘인류로서 인류를 억압하지 않는’ 자유를 지향했다. It is very important problem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main agent in the modern area. Shin Chaeho set as the inherent main agent of Choseon. Here studies delicately about the thought of Shin Chaeoho by the analysis of main adea of Ah and Biah. Shin Chaeoh tried to establish independent Self Conscioussess not caught by Biah of Imperial Invasion. This Ah of Chosun is different from Biah by the Compressed Nationality and Self Reflection. But Ah has the Property to meet Others because of the Natural Ability. As is the subject to struggle with Others because of the Natural ability. As is the subject to struggle with Others and is to be related with Son-Self. Shin said it is valuable to keep the object of national preservation and self reflection of Ah. Because it is valuable that Self Ah has the value inherent idea and soul and then meet equally others. He said 'Now Here' if transformed by the acquired form and so is possible to meet the acquired existence. He tried to break down imperialism and eliminate all of irrationality, and tries to freedom not to supress manki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유학인식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정심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6 No.-

        한국 근대사상은 이질적인 타자였던 서구문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였으며, 동시에 타자와 마주한 주체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유학이 서구근대문명에 대한 자기방어적 기제에서 벗어나 서기수용의 자기변형을 거쳐 해체와 재정립을 과정을 신기선 박은식 신채호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적 유학은 ‘오도’의 정덕은 변화할 수 없는 측면이나 현실적 이용후생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 당연하며 당시는 서기수용이 그에 해당한다는 주장을 경위와 체용이란 용어로 해명하였다. 신기선의 유학사상은 서기를 이용후생이란 유학적 범주 안에서 포용하면서 유학의 도덕적 보편이념은 견지함으로써 유학을 해체하지 않으면서 서구근대와 만나려는 근대적 변형에 해당한다. 반면 박은식과 신채호는 리기 심성론으로 인간과 자연을 해명하지 않을뿐더러, 유학 전반에 걸친 자기반성에서 출발하였다. 그들은 도덕도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고 주장하면서 유학의 전근대적 요소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러나 유학을 전면 거부하지는 않았다. 그들은 한국은 유교국가로서 유학이 근대국가에 맞는 이념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전근대적 측면은 단호히 해체하되, 도덕적 자각과 실천 그리고 사 사로움에 매몰되지 않는 공덕 등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근대사회에 맞게 재해석함으로써 유학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斥邪的 타자/주체인식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즉 근대 공간에서 유학은 자기방어적 기제에서 서기수용의 자기변형을 거쳐 해체와 재정립을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 시대와 호흡하고자 하였다. 그렇다면 근대 공간에서 보여준 유학의 다양한 자기변화 양상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서구이념이 여전히 세계적 보편으로 확고히 자리잡고 있는 오늘날, 지금 유학은 어떤 이념으로 거듭나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물을 수 있을 것이다. Korean Modern Thoutht hold communion with oneself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Western Culture which was heterogeneity. This paper analyze the process to reproduct of the Confucianism to self-enewal and self-modernize by the thoughts of Park Eun-sik(朴殷植), Sin Chae-ho(申采浩) and Shin Gi-seon(申箕善). Only with metaphysical logical confirmity,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 is more complicated and fine, because of the movement to fulfill of the Confucianism. Therby, Shin Gi-seon(申箕善) refused the activity of the Li(理) but seeked actual method to keep right morality(正德). His this idea is recognized by the logic of the DogiSangbun(道器相分). The school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衛正斥邪派) recognized Seogi(西器) as the human needs but Shin Gi Seon(申箕善) thought as the right of that time to do as a wealthy country and powerful army. So his thought of YuhagGeyongwi(儒學經緯) is recognized ad the self change to fit and seek the method of the eastern penetration by western. On the other hand Park Eun-sik(朴殷植) and Sin Chae-ho(申采浩) didn't examinate the human and nature with Li(理)-Gi(기(己) mentality of Sung Confucianism (性理學). They argued to change the modality by the epoch.

      • KCI등재

        한국 근대지식인의 ‘근대성’인식Ⅱ

        박정심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6 No.-

        The modern age is the point to start the genuine world history. European modern civilizations are organized as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lso a Caucasian superiority and racism. And these European modern civilizations have the position of the world universalism. It is the problem how Korean modern intelligentsia accepted and recognized these Western modern civilizations. Then the problems that modern Korea confronted with are classified as three problems. First the most important was the problem how to accept these world universal civilizations. Second it is to reconstruct the logic to criticize a Caucasian superiority and racism. And finally it is to make theses of modern national entities. To cope with Western civilizations as the national subject, it is needed to keep critical attitude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Western savagery. Park Eun-Sik(朴殷植) and Sin Chae-Ho(申采浩)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keep national identity rather than to accept Western culture. And also they criticized the problems such as white supremacist, racial superiority of Japan, and imperialism. Park Eun-Sik supposed Korean modern entity with real-self(眞我) realized by real ideal entity(良知) and Sin Chae-Ho supposed that entity with modernized people which was modern entity of Joseon(朝鮮). Park Eun-Sik could criticized Western savagery by emphasizing national entity and moral judgement of that era. He concluded that if not based on real ideal entity, there were no true meaning of the modernization or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science and even an independence movement. And Sin Chae-Ho discerned the frontier of modernity with the instruments with self(entity:我) and non-self(others:非我). He recognized the modern civilization with the stand-point of national identity. Sin Chae-Ho asserted the meaning of the masses as the new entity original Joseon. He argued even the masses had to jointly struggle to survive of the straw nation in Oreintal colonies not to confined in Joseon. 한국근대는 유학적 도덕문명과 서구 근대 문명(civilization)이 충돌적으로 만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세계적 보편으로 자리잡은 유럽근대문명은 적자생존의 사회진화론과 백인우월주의 그리고 인종주의적 세계인식과 맞물려 있었다. 한국 근대 지식인은 근대성을 이루고 있는 문명 · 인종 · 민족담론을 중심으로 다음 세 가지 문제를 고민하였다. 유길준과 윤치호는 서구문명과 접촉하면서 그들의 문명성을 수용하고자 노력한 대표적인 근대지식인이다. 그들이 서구문명을 至善과 當爲로 받아들이는 순간 전근대적 삶의 양식은 야만이 되고, 우리는 문명화를 실현하기 위해 서구를 이식해야만 했다. 서구근대문명을 보편으로 받아들이는 한 지금 야만적 상태로는 서양과 대등한 권리를 누릴 수 없음은 자명하며, 우리 목표가 문명화를 통한 부국강병 실현에 있음 또한 자연스럽다. 반면 근대문명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민족주체적 시선으로 우리를 바라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의 야만성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는 비판적 시각이 선행되어야 했다. 박은식과 신채호는 문명성의 수용에 초점을 두기보다 민족적 주체성을 정립하는 것이 문명성 수용 못지않게 중요한 선결문제임을 직시했다. 따라서 백인우월주의와 그에 빗댄 일본의 종족적 우월의식 및 그에 기초한 제국주의침략이 갖는 문제점 또한 비판하였다. 박은식은 양지를 구현한 眞我를, 신채호는 고유한 조선의 근대주체인 新國民을 한국 근대주체로 상정하였다. 박은식은 시대에 대한 도덕적 판단과 민족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서구근대문명이 갖는 야만성을 비판할 수 있었다. 그는 양지에 근본하지 않으면, 신학문의 수용이나 문명화는 물론 독립운동조차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없다고 하였다. 신채호는 근대적 경계를 我[주체]와 非我[타자]란 개념을 통해 명쾌하게 통찰하였다. 그는 고유한 조선[我]의 주체적 입장에서 근대문명을 이해하였다. 한국은 일본 및 서양의 문명성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그 근대성이 지닌 야만성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통해 그를 넘어서는 새로운 이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야만적 침략성에 대한 비판이 그들 시선 안에서는 불가능했다면, 그리고 박은식 주장처럼 근대공간에서 유학은 평등과 인도주의에 입각한 민중중심 유학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이념을 제시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그들과 새롭게 만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가 제시한 사해동포주의는 인종적 차별화나 인종주의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신채호는 국가주의의 폐해를 체인하고 고유한 조선의 새로운 주체로서 민중개념을 제시하였다. 민중은 조선의 국경에 국한되지 않고 동방 각 식민지의 무산민중의 생존을 위해 야만적 약탈과 강도적 착취에 맞서 연대투쟁해야 한다고 주장하기에 이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